$\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버지 되어가기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영유아 자녀를 양육하는 남성을 대상으로
A Phenomenological Study on Becoming a Father: Experience in Parenting Young Children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6 no.2, 2020년, pp.179 - 194  

이은수 (원광대학교 마음인문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In this study, the author aimed to explore the meaning of fathers' parenting experience by interviewing and analyzing their experience qualitatively. Methods: Ten fathers who had infants or young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individual in-depth intervi...

주제어

표/그림 (2)

참고문헌 (26)

  1. 권혜진 (2013). 아버지교육 참여자 경험을 통해 살펴본 아버지 교육의 의미.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5), 461-488. 

  2. 김낙흥 (2011). 바람직한 아버지의 역할과 역할수행의 어려움, 사회적 지원에 대한 고찰.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2), 79-98. 

  3. 김영희, 채영문, 신희정 (2007). 원가족의 정서분위기, 결혼만족도 및 부모역할 자신감이 유아기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2(2), 67-87. 

  4. 김정환, 이선이 (2014). 한국 30대 고학력 남성들의 아버지상과 아버지 역할 실천방식에 대한 연구. 가족과 문화, 26(3), 71-104. doi:10.21478/family.26.3.201409.003 

  5. 김헤라 (2013). 아버지의 어린이집 등.하원 참여 및 가정에서의 자녀양육 참여와 부부의 가정생활만족도 : 직장어린이집과 비직장어린이집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65-66. 

  6. 나성은 (2014). 남성의 양육 참여와 평등한 부모 역할의 의미 구성: 육아휴직제도 이용 경험을 중심으로. 페미니즘 연구, 14(2), 71-112. 

  7. 류희정, 이진희 (2013). 유아 성별에 따른 아버지의 놀이참여와 유아의 행동적 자기조절력의 관계. 육아지원연구, 8(2), 47-64. doi:10.16978/ecec.2013.8.2.003 

  8. 박철순, 고은미 (2018). 아빠 육아 참여와 제도에 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육아지원연구, 13(1), 197-220. doi:10.16978/ecec.2018.13.1.008 

  9. 박하얀, 배선영 (2018). 아버지의 놀이성과 놀이참여도가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4(6), 123-141. doi:10.14698/jkcce.2018.14.06.123 

  10. 서석원, 이대균 (2014).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9(2), 157-178. 

  11. 신효미, 유미숙 (2015).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자기성찰이 자녀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역할만족감과 긍정적 양육태도의 순차적 매개효과.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8(2), 115-132. doi:10.17641/KAPT.18.2.3 

  12. 여윤재, 황혜신 (2019). 아버지의 놀이성과 놀이참여수준이 자녀의 사회적능력과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5(1), 107-125. doi:10.14698/jkcce.2019.15.01.107 

  13. 이남인 (2014). 현상학과 질적 연구. 서울: 한길사. 

  14. 임인숙 (2006). 한국 언론의 부권상실론의 변화와 정치성. 가족과 문화, 18(4), 65-92. 

  15. 장영애, 이영자 (2008). 아버지의 양육행동, 양육참여도가 유아의 자아개념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3(1), 187-206. 

  16. 정미라, 강수경, 이혜진 (2012). 임신기 부부의 부부관계 질과 태아애착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50(4), 51-61. doi:10.6115/khea.2012.50.4.051 

  17. 조형숙, 김지혜, 김태인 (2008). 영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가 추구하는 아버지상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2(1), 239-264. 

  18. 최은영, 최소연, 김유정, 안선희 (2017). 원가족 아버지로부터의 양육태도 경험과 아버지의 양육 참여. 아동과 권리, 21, 331-352. 

  19. 함인희 (1997). 현대사회 아버지상의 재발견. 가족과 문화, 2, 1-24. 

  20. Bahn, G. H. (2013). From attachment theory to mentalization: Historical background and clinical implications. Korean Association of Psychoanalysis, 24(1), 9-20. 

  21. Bowlby, J. (1979). The making and breaking of affectional bonds. London: Tavistock. 

  22. Colaizzi, P. F. (1978).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sees it. In R. S. Valley & M. King (Ed.), Existential-pheno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 (pp.48-71).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3. Creswell, J. (2010).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질적 연구 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조홍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옮김). 서울: 학지사(원판 2007). 

  24. Lamb, M. E. (2010). How do fathers influence children's development? Let me count the ways. In M. E. Lamb (Ed.), The role of the father in child development (pp.1-26). Hoboken, NJ: Wiley. 

  25. 통계청 (2020. 1). 성별경제활동인구총괄.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DA7001S&conn_pathI2에서 2020년 1월 20일 인출 

  26. 디지털타임스 (2012. 9). 베이비부머-에코부머세대의 고민.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2090602012351697002에서 2020년 2월 14일 인출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