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위험 미숙아 자녀의 아버지 되어감 경험
Experience of Becoming a Father of a High Risk Premature Infant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7 no.2, 2017년, pp.277 - 288  

박정언 (위덕대학교 간호학과) ,  이병숙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experience of becoming a father of a high risk premature infant. Methods: Grounded theory was used for this research. The participants were 12 fathers who had premature infants lighter than 2,500g of birth weight, less than 37 weeks of gestational ag...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숙아란? 그러나 정상 신생아의 아버지가 된 남성과는 달리 미숙아를 출산한 경우 아버지가 되었다는 기쁨보다는 그들 자녀의 생존 가능성과 정상적인 성장발달 등에 대한 두려움으로 상황적 위기에 직면하게 된다[2]. 미숙아란 재태기간 37주 미만에 출생한 신생아를 일컫는 것으로 우리나라에서의 미숙아 출생률은 2005년 4.8%, 2010년 5.
미숙아 자녀를 위해 아버지로서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자신의 무능함을 느끼는 배경은 무엇인가? 이들은 미숙아 자녀를 위해 아버지로서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자신의 무능함에 좌절감을 느끼고 있었다. 이 현상은 고위험 미숙아의 출생이 참여자들에게는 받아들이기 어려운 매우 낯설게 느끼지는 상황이며, 동시에 이 상황을 스스로 통제할 수 있는 힘이 없음으로 인해 이를 부정하고 싶은 심리적 상태를 반영하고 있는 것이라 하겠다. 이는 미숙아 아버지들이 자녀 출생 후 느끼는 통제감 상실, 양가감정 등을 느끼지만 자신들의 감정을 표현할 수 없음과 자녀를 위해 할 수 있는 일이 없음에 무력감을 느끼고 있다는 결과와 매우 유사하다[24].
임신과 출산과 함께 아버지가 된다는 것이 남성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나? 임신과 출산과 함께 아버지가 된다는 것은 남성에게 있어 발달적 위기를 유발하는 사건으로, 이 시기의 남성들은 자녀가 건강한 모습으로 태어날 수 있을 지와 아내의 순산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게 된다. 그러나 아버지들은 건강한 자녀와의 만남을 통해 임신 중 가졌던 출산에 대한 불안감 대신 아버지됨의 기쁨을 온몸으로 느끼게 된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im YD, Lee DK. The parenting characteristics of inexperienced father and the process of becoming father. Journal of Children's Literature and Education. 2011;12(1):353-380. 

  2. Valizadeh L, Zamanzadeh V, Rahiminia E. Comparison of anticipatory grief reaction between fathers and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Scandinavian Journal of Caring Sciences. 2013;27(4):921-926. http://dx.doi.org/10.1111/scs.12005 

  3. Statistics Korea. Birth statistics in 2015 [Internet]. Daejeon: Author; 2016 [cited 2016 August 24].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2/1/index.board?bmoderead&aSeq355736. 

  4. Statistics Statistics Korea. Birth statistics in 2015 [Internet]. Daejeon: Author; 2016 [cited 2016 August 24].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2/1/index.board?bmoderead&aSeq355736. 

  5. Sung MH, Ahn RS, Chang MS. Study on the perceived stress of father of high-risk infant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NICU).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2004;10(3):251-261. 

  6. Lee TY, Lin HR, Huang TH, Hsu CH, Bartlett R. Assuring the integrity of the family: Being the father of a very low birth weight infant.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9;18(4):512-529.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8.02487.x 

  7. Schappin R, Wijnroks L, Uniken Venema MM, Jongmans MJ. Rethinking stress in parents of preterm infants: A meta-analysis. PLoS One. 2013;8(2):e54992. http://dx.doi.org/10.1371/journal.pone.0054992 

  8. Min HS, Son MJ. The change of the mother's stress pattern with time elapse after giving birth to premature babie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4;34(7):1265-1276. 

  9. Gressens P, Rogido M, Paindaveine B, Sola A. The impact of neonatal intensive care practices on the developing brain. The Journal of Pediatrics. 2002;140(6):646-653. http://dx.doi.org/10.1067/mpd.2002.123214 

  10. Gu BN, Kim MY. A study on the maternal role confidence and nursing educational needs of premature infant mothers. The Journal of Kyungbook Nursing Science. 2002;6(1):39-56. 

  11. Kim JS, Shin HS. Effects of a discharge education program using on-line community for parents of premature inf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10;16(4):344-351. https://doi.org/10.4094/jkachn.2010.16.4.344 

  12. Doering LV, Dracup K, Moser D. Comparison of psychosocial adjustment of mothers and fathers of high-risk infants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Perinatology. 1999;19(2):132-137. 

  13. Jackson K, Ternestedt BM, Schollin J. From alienation to familiarity: Experiences of mothers and fathers of preterm infant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3;43(2):120-129. http://doi.org/10.1046/j.1365-2648.2003.02686.x 

  14. Han SY, Chae SM. Perceived parental stress and nursing support of fathers with high risk infant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6;22(3):190-198. http://dx.doi.org/10.4094/chnr.2016.22.3.190 

  15. Lee SN, Long A, Boore J. Taiwanese women's experiences of becoming a mother to a very-low-birth-weight preterm infant: A grounded theory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09;46(3):326-336. http://dx.doi.org/10.1016/j.ijnurstu.2008.10.004 

  16. Goncalves Vieira Fernandes N, Batoca Silva EM. Parents'experience during the hospitalisation of the preterm infant. Revista de Enfermagem Referencia. 2015;4(4):107-115. http://dx.doi.org/10.12707/RIV14032 

  17. Lindberg B, Axelsson K, Ohrling K. Adjusting to being a father to an infant born prematurely: Experiences from Swedish fathers. Scandinavian Journal of Caring Sciences. 2008;22(1):79-85. http://dx.doi.org/10.1111/j.1471-6712.2007.00563.x 

  18. Lundqvist P, Westas LH, Hallstrom I. From distance toward proximity: Fathers lived experience of caring for their preterm infants.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2007;22(6):490-497. http://dx.doi.org/10.1016/j.pedn.2007.04.008 

  19. Choi EJ. A phenomenological study on mothers' experience of premature infants [master's thesis]. Busan: Pusan National University; 1999. p. 1-160. 

  20. Chon MY, Ji ES, Lee SH. Mothers' parenting experience of premature infants: Q methodological approach.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6):704-713. http://dx.doi.org/10.4040/jkan.2013.43.6.704 

  21. Lee JY, Park JH, Chun BY. Perinatal mortality rate and associated risk factors in Daegu c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1998;2(1):65-82. 

  22. Corbin J, Strauss A.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4th ed. Thousand Oaks, CA: Sage; 2015. 

  23. Sandelowski M. The problem of rigor in qualitative research. ANS Advances in Nursing Science. 1986;8(3):27-37. 

  24. Hugill K, Letherby G, Reid T, Lavender T. Experiences of fathers shortly after the birth of their preterm infants.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2013;42(6):655-663. http://dx.doi.org/10.1111/1552-6909.12256 

  25. Kim JY. The degree of paternal attachment to neonate. The Journal of Nurses Academic Society. 1995;25(2):330-340. 

  26. Park HS, Rhee CW. Post-discharge adjustment of families with pre-term infa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2007;24:151-175. 

  27. Shin HS. Maternal identity in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admitted in NICU.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2004;10(1):117-125. 

  28. Matricardi S, Agostino R, Fedeli C, Montirosso R. Mothers are not fathers: Differences between parents in the reduction of stress levels after a parental intervention in a NICU. Acta Paediatrica. 2013;102(1):8-14. http://dx.doi.org/10.1111/apa.12058 

  29. Stern M, Hildebr K, Karraker T. The prematurity stereotype: Empirical evidence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 Infant Mental Health Journal. 1990;11(1):1-11. http://dx.doi.org/10.1002/1097-0355(199021)11:1 3.0.CO;2-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