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급사슬관리 국내연구동향 분석: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in Supply Chain Management in Korea using Network Text Analysis 원문보기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25 no.1, 2020년, pp.41 - 53  

나진성 (인하대학교 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공급사슬관리는 기업 경영의 핵심 성공요소 중 하나가 되었다. 이에 따라서 많은 연구자들이 지속적으로 공급사슬관리와 관련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난 10년 동안 국내 학술지에 발표한 공급사슬관리 분야 연구논문을 대상으로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 방법으로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RISS 학술 데이터 베이스에서 총 586편의 관련 논문을 검색하여 개별 연구논문의 키워드 노드를 중심으로 키워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지난 10년 동안 국내 공급사슬관리 연구는 물류, 정보시스템, 파트너십, 위험관리, 지속가능 분야를 중심으로 연구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upply chain management (SCM) became a critical success factor for firms. As a result, researchers have carried out related research on SCM.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esearch trends in SCM in Korea using network text analysis. We collected the information of 586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jo...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공급사슬의 변동성, 복잡성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공급사슬의 유연성과 민첩성 확보 방안을 탐색한 연구가 다수를 이루었다. 공급사슬의 유연성과 민첩성 확보를 위해서는 공급사슬의 가시성 확보와 보안에 대한 연구도 관련하여 진행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급사슬관리 분야의 연구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기존 공급사슬분야 연구동향 분석이 해외저널 논문 중심이거나 특정 분야를 집중하여 한 것이라면 본 연구에서는 국내학술지에 게재된 공급사슬관리 분야 전반을 다루고 있는 논문들을 대상으로 분석하여 지난 10여년 동안 국내학계에서 공급사슬관리 분야를 어떻게 연구해왔는지 파악하고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난 10년 동안 국내 주요 학술지에 게재된 586편의 공급사슬관리 관련 연구논문을 대상으로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활용하여 연구동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기존의 계량서지학적 연구동향 분석이 주로 방법론의 분류, 고려하고 있는 변수에 따른 분류 등 주로 단순 기술통계학적으로 분석결과들을 제시하고 있다면,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 (Network text analysis)은 텍스트 분석과 네트워크 분석을 결합하여 연구동향을 입체적으로 분석한다(Rha and Choi, 2015).
  • 텍스트의 주요 요소들을 네트워크의 노드 (Node)로 추출하여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텍스트의 숨겨진 의미와 동향을 파악하는 탐색적인 연구 방법에 가깝다 (Rha, 2016; Pyun and Jeong, 2018; Pyun and Rha, 2018). 또한 기존 공급사슬관리 연구동향 분석 연구들이 해외저널에 게재된 논문들을 대상으로 하였다면,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개년 동안 국내에 개제된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하여 국내 공급사슬관리 연구동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급사슬관리 분야의 연구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기존 공급사슬분야 연구동향 분석이 해외저널 논문 중심이거나 특정 분야를 집중하여 한 것이라면 본 연구에서는 국내학술지에 게재된 공급사슬관리 분야 전반을 다루고 있는 논문들을 대상으로 분석하여 지난 10여년 동안 국내학계에서 공급사슬관리 분야를 어떻게 연구해왔는지 파악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급사슬관리란? 공급사슬관리는 기업의 성패를 좌우하는 주요 핵심 요소 중 하나이다. 공급사슬관리는 제품의 설계, 수요예측 및 생산계획 수립, 원재료 및 자재의 구매, 조립 및 생산, 배송, 역물류에 이르기까지 기업이 생산하는 제품과 서비스의 창출 과정 전반을 다루는 영역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공급사슬관리를 기업의 가치 사슬 (Value chain)에서의 가치 창출 (Value creation) 과정과 직결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기도 하다(Horvath, 2001).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은 어떠한 연구 방법에 가까운가? 기존의 계량서지학적 연구동향 분석이 주로 방법론의 분류, 고려하고 있는 변수에 따른 분류 등 주로 단순 기술통계학적으로 분석결과들을 제시하고 있다면,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 (Network text analysis)은 텍스트 분석과 네트워크 분석을 결합하여 연구동향을 입체적으로 분석한다(Rha and Choi, 2015). 텍스트의 주요 요소들을 네트워크의 노드 (Node)로 추출하여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텍스트의 숨겨진 의미와 동향을 파악하는 탐색적인 연구 방법에 가깝다 (Rha, 2016; Pyun and Jeong, 2018; Pyun and Rha, 2018). 또한 기존 공급사슬관리 연구동향 분석 연구들이 해외저널에 게재된 논문들을 대상으로 하였다면,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개년 동안 국내에 개제된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하여 국내 공급사슬관리 연구동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공급사슬관리는 기존 생산운영관리와 다른 점은 무엇인가? 또한 공급사슬관리 성과의 향상을 위해 기업에서 신기술 도입과 적용 등 꾸준히 노력하고 있다 (Kim and Song, 2011). 기존 생산운영관리와 구분되는 점은 공급사슬관리는 공급사와 구매사의 글로벌한 네트워크로 인식하여 기업 간 네트워크 관점에서 구매, 생산, 배송 등의 활동을 분석하는 것이다. 개별 기업이 제품 설계와 생산운영방식에서 경쟁기업과 차별화되는 핵심역량을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좋은 자재들을 납품받지 못하거나, 고객들에게 배송할 수 있는 물류시스템을 제대로 갖추지 못했다면 시장에서 살아남기 어렵다는 점을 공급사슬관리 관점에서 설명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Blondel, V. D., Guillaume, J. L., Lambiotte, R., and Lefebvre, E. (2008). Fast Unfolding of Communities in Large Networks, Journal of Statistical Mechanics: Theory and Experiment, 2008(10), 2-11. 

  2. Burgess, K., Singh, P. J., and Koroglu, R. (2006). Supply Chain Management: A Structured Literature Review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International Journal of Operations and Production Management, 26(7), 703-729. 

  3. Chang, B. (2001). Operations Research Models for Supply Chain Management: A Review, Korean Journal of Logistics, 9(2), 80-104. 

  4. Colichia, C., and Strozzi, F. (2012). Supply Chain Risk Management: A New Methodology for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Supply Chain Management: An International Journal, 17(4), 403-418. 

  5. Croom, S., Romano, P., and Giannakis, M. (2000). Supply Chain Management: an Analytical Framework for Critical Literature Review, European Journal of Purchasing and Supply Management, 6(1), 67-83. 

  6. Fahimnia, B., Sarkis, J., and Davarzani, H. (2015a). Green Supply Chain Management: A Review and Bibliometric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Production Economics, 162, 101-114. 

  7. Fahimnia, B., Tang, C. S., Davarzani, H., and Sarkis, J. (2015b). Quantitative Models for Managing Supply Chain Risks: A Review,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247(1), 1-15. 

  8. Horvath, L. (2001). Collaboration: The Key to Value Creation in Supply Chain Management, Supply Chain Management: An International Journal, 6(5), 205-207. 

  9. Jung, C. (2005). On the Performance of Supply Chain Management, The Journal of Social Sciences, 20, 1-12. 

  10. Kim, S. H., and Song, Y. M. (2011). The Effect of Factors Influencing RFID Adoption and Performanc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Environment Uncertainty within Supply Chain, Journal of the Korea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16(3), 101-119. 

  11. Pyun, J., and Jeong, E. (2018). A Study on Recent Research Trend in New Product Development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23(5), 119-134. 

  12. Pyun, J., and Rha, J. (2018). Bibliometric Network Analysis on Supply Chain Risk Management Research, Journal of the Korea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23(6), 125-138. 

  13. Rha. J. (2016). Bibliometric Network Analysis on the Recent Green Supply Chain Management Research, Korean Journal of Logistics, 24(1), 63-81. 

  14. Rha, J., and Choi, D. (2015). Bibliometric Network Analysis on Low Cost Carrier Research,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viation and Aeronautics, 23(1), 14-23. 

  15. Sachan, A., and Datta, S. (2005). Review of Supply Chain Management and Logistics Research, International Journal of Physical Distribution and Logistics Management, 35(9), 664-705. 

  16. Seuring, S., and Gold, S. (2012). Conducting Content-Analysis Based Literature Reviews in Supply Chain Management, Supply Chain Management: An International Journal, 17(5), 544-555. 

  17. Suh, C., and Gim, T. (2013). Meta-Analysis on Supply Chain Management Research from RISS and NDSL Databases,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12(2), 155-16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