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 당뇨병 인지자의 연령에 따른 삶의 질 수준 분석: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elderly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according to age: based on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3 no.2, 2020년, pp.129 - 140  

강예지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경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2008-2016년 자료를 이용하였고, 그중 자신이 당뇨병을 앓고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총 2,353명을 대상으로 세부 연령 그룹별 정신건강 특성, 식이 섭취수준 및 HRQoL 수준을 비교하였다. 노인 당뇨병 인지자들을 65-69세, 70-74세, ≥ 75세로 분류하여 EQ-5D 개별 항목과 index 수준을 비교 분석한 결과 5가지 항목 중, 연령이 높을수록 운동능력, 자기관리, 일상활동, 통증/불편 항목의 수준이 낮은 결과를 보였고, EQ-5D index 또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 당뇨병 환자의 경우, 질환을 통해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것과 노화로 인해 나타나는 여러 기능장애들이 함께 동반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를 반영한 개별적인 치료 및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노인 당뇨병 환자들의 건강관리에서 HRQoL 측정의 중요성은 강조되며, 지속적인 추적 조사를 통해 노인 당뇨병 환자들의 건강에 영향을 주는 특정 요인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및 파악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를 고려하여 국내 당뇨병 환자의 HRQoL 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은 개인의 건강관리뿐만 아니라 국가의 보건복지정책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Although the importance of life satisfac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has been emphasized, limited studies have been performed o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among elderly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This study examined the HRQoL among Korean patients with diabe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유병기간이 길고 혈당관리가 잘 이루어지지 못한 환자의 경우 혈당관리가 잘 이루어지는 환자 또는 늦은 나이에 발생된 환자에 비해 젊은 나이에 사망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생존 바이어스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39,40].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시간 종속 변수인 당뇨병 유병기간을 공변량으로 보정함으로써 바이어스를 최소화하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노인 당뇨병 인지자의 삶의 질 수준 비교에 있어 문헌고찰과 예비분석을 통해 정리된 교란인자들을 보정하였으나, 관찰연구 특성상 여전히 남아있는 교란인자의 영향이 있을 수 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자료를 이용하여 65세 이상 노인 당뇨병 인지자들을 초기 노년기 (65–69세), 중기 노년기 (70–74세), 후기 노년기 (≥ 75세)로 세분화 하고, 이들의 일반적인 특성, 식이 섭취수준 및 HRQoL 수준을 비교하여, 노인 당뇨병 인지자의 삶의 질 개선 및 건강증진을 위한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 당뇨병 환자의 개별적인 치료 및 관리가 필요한 이유는? 노인 당뇨병 인지자들을 65-69세, 70-74세, ≥ 75세로 분류하여 EQ-5D 개별 항목과 index 수준을 비교 분석한 결과 5가지 항목 중, 연령이 높을수록 운동능력, 자기관리, 일상활동, 통증/불편 항목의 수준이 낮은 결과를 보였고, EQ-5D index 또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 당뇨병 환자의 경우, 질환을 통해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것과 노화로 인해 나타나는 여러 기능장애들이 함께 동반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를 반영한 개별적인 치료 및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노인 당뇨병 환자들의 건강관리에서 HRQoL 측정의 중요성은 강조되며, 지속적인 추적 조사를 통해 노인 당뇨병 환자들의 건강에 영향을 주는 특정 요인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및 파악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 당뇨병 환자들은 여러 기능장애 증상이 동시에 나타나게 되는데 이것은 노인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되는가? 노인 당뇨병 환자들은 노화와 질병의 유병으로 인해 부적절한 혈당 반응의 촉진 및 노인증후군 (우울증, 불안, 인지 및 기능장애, 사회적 소외감, 통증, 다약제 복용, 요실금 등)과 같은 여러 기능장애 증상이 동시에 나타날 수 있다 [7-10]. 이러한 증상들은 노인인구의 자기관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9-13], 궁극적으로 그들의 삶의 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10,14].
노인 당뇨병 환자들의 건강관리에서 HRQoL 측정으로부터 개인이 기대할 수 있는 효과는? 노인 당뇨병 환자의 경우, 질환을 통해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것과 노화로 인해 나타나는 여러 기능장애들이 함께 동반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를 반영한 개별적인 치료 및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노인 당뇨병 환자들의 건강관리에서 HRQoL 측정의 중요성은 강조되며, 지속적인 추적 조사를 통해 노인 당뇨병 환자들의 건강에 영향을 주는 특정 요인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및 파악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를 고려하여 국내 당뇨병 환자의 HRQoL 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은 개인의 건강관리뿐만 아니라 국가의 보건복지정책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Torrance GW. Utility approach to measur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J Chronic Dis 1987; 40(6): 593-603. 

  2. Greenhalgh T, Clinch M, Afsar N, Choudhury Y, Sudra R, Campbell-Richards D, et al. Socio-cultural influences on the behaviour of South Asian women with diabetes in pregnancy: qualitative study using a multi-level theoretical approach. BMC Med 2015; 13: 120. 

  3. Nam HS, Kim KY, Kwon SS, Koh KW, Poul K. EQ-5D Korean valuation study using time trade off method.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7. 

  4. Watkins K, Connell CM. Measurement of health-related QOL in diabetes mellitus. Pharmacoeconomics 2004; 22(17): 1109-1126. 

  5. Ogurtsova K, da Rocha Fernandes JD, Huang Y, Linnenkamp U, Guariguata L, Cho NH, et al. IDF diabetes atlas: global estimates for the prevalence of diabetes for 2015 and 2040. Diabetes Res Clin Pract 2017; 128: 40-50. 

  6. Korean Diabetes Association. Diabetes Fact Sheet in Korea 2018 [Internet]. Seoul: Korean Diabetes Association; 2018 May 14 [cited 2018 Aug 17]. Available from: http://www.diabetes.or.kr/pro/news/admin.php?categoryA&codeadmin&number1546&modeview. 

  7. Huang ES, Laiteerapong N, Liu JY, John PM, Moffet HH, Karter AJ. Rates of complications and mortality in older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the diabetes and aging study. JAMA Intern Med 2014; 174(2): 251-258. 

  8. Elliott TE, Renier CM, Palcher JA. Chronic pai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correlations and predictive value of the SF-36. Pain Med 2003; 4(4): 331-339. 

  9. Korean Diabetes Association. 2015 Treatment Guideline for Diabetes [Internet]. Seoul: Korean Diabetes Association; 2016 Oct 12 [cited 2018 Jun 18]. Available from: http://www.diabetes.or.kr/pro/publish/guide.php?codeguide&modeview&number625. 

  10.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11. Older adults: standards of medical care in diabetes-2018. Diabetes Care 2018; 41(Suppl 1): S119-S125. 

  11. Kirkman MS, Briscoe VJ, Clark N, Florez H, Haas LB, Halter JB, et al. Diabetes in older adults. Diabetes Care 2012; 35(12): 2650-2664. 

  12. Conn VS, Russell CL. Self-management of chronic illnesses among aging adults. J Gerontol Nurs 2005; 31(5): 4. 

  13. Noh JH, Kim SK, Cho YJ, Nam HU, Kim IJ, Jeong IK, et al. Current status of diabetes management in elderly Koreans with diabetes. Diabetes Res Clin Pract 2007; 77 Suppl 1: S71-S75. 

  14. Genuth S, Eastman R, Kahn R, Klein R, Lachin J, Lebovitz H, et al. Implications of the United Kingdom prospective diabetes study. Diabetes Care 2003; 26 Suppl 1: S28-S32. 

  15. Chew BH, Ghazali SS, Ismail M, Haniff J, Bujang MA. Age $\geq$ 60 years wa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diabetes-related complications despite good control of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Exp Gerontol 2013; 48(5): 485-491. 

  16. Redekop WK, Koopmanschap MA, Stolk RP, Rutten GE, Wolffenbuttel BH, Niessen LW.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treatment satisfaction in Dutch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Diabetes Care 2002; 25(3): 458-463. 

  17. Rubin RR, Peyrot M. Quality of life and diabetes. Diabetes Metab Res Rev 1999; 15(3): 205-218. 

  18. Glasgow RE, Ruggiero L, Eakin EG, Dryfoos J, Chobanian L. Quality of life and associated characteristics in a large national sample of adults with diabetes. Diabetes Care 1997; 20(4): 562-567. 

  19. Wexler DJ, Grant RW, Wittenberg E, Bosch JL, Cagliero E, Delahanty L, et al. Correlate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ype 2 diabetes. Diabetologia 2006; 49(7): 1489-1497. 

  20. Kweon S, Kim Y, Jang MJ, Kim Y, Kim K, Choi S, et al. Data resource profile: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nt J Epidemiol 2014; 43(1): 69-77. 

  21.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6: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1) [Internet].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8 Jan 4 [cited 2018 Jul 15].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sub04/sub04_03.do?classType7. 

  22. Pate RR, Pratt M, Blair SN, Haskell WL, Macera CA, Bouchard C, et al. Physical activity and public health. A recommendation from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nd the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JAMA 1995; 273(5): 402-407. 

  23. Willett W. Nutritional epidemiolog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24. World Health Organization.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Sydney: Health Communications Australia; 2000. 

  2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15. Seoul: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5. 

  26. Rabin R, de Charro F. EQ-5D: a measure of health status from the EuroQol Group. Ann Med 2001; 33(5): 337-343. 

  27. Pirlich M, Schutz T, Norman K, Gastell S, Lubke HJ, Bischoff SC, et al. The German hospital malnutrition study. Clin Nutr 2006; 25(4): 563-572. 

  28. Agarwal E, Miller M, Yaxley A, Isenring E. Malnutrition in the elderly: a narrative review. Maturitas 2013; 76(4): 296-302. 

  29. Bernstein MA, Tucker KL, Ryan ND, O'Neill EF, Clements KM, Nelson ME, et al. Higher dietary variety is associated with better nutritional status in frail elderly people. J Am Diet Assoc 2002; 102(8): 1096-1104. 

  30. Castaneda-Gameros D, Redwood S, Thompson JL. Low nutrient intake and frailty among overweight and obese migrant women from ethnically diverse backgrounds ages 60 years and older: a mixed-methods study. J Nutr Educ Behav 2017; 49(1): 3-10.e1. 

  31. Houston DK, Nicklas BJ, Ding J, Harris TB, Tylavsky FA, Newman AB, et al. Dietary protein intake is associated with lean mass change in older, community-dwelling adults: the Health, Aging, and Body Composition (Health ABC) Study. Am J Clin Nutr 2008; 87(1): 150-155. 

  32. Wu G. Dietary protein intake and human health. Food Funct 2016; 7(3): 1251-1265. 

  33. Oh SW, Baek SH, An JN, Goo HS, Kim S, Na KY, et al. Small increases in plasma sodium are associated with higher risk of mortality in a healthy population. J Korean Med Sci 2013; 28(7): 1034-1040. 

  34. Bertoia ML, Triche EW, Michaud DS, Baylin A, Hogan JW, Neuhouser ML, et al. Mediterranean and dietary approaches to stop hypertension dietary patterns and risk of sudden cardiac death in postmenopausal women. Am J Clin Nutr 2014; 99(2): 344-351. 

  35. Yon M, Lee Y, Kim D, Lee J, Koh E, Nam E, et al. Major sources of sodium intake of the Korean population at prepared dish level-based on the KNHANES 2008 & 2009. Korean J Community Nutr 2011; 16(4): 473-487. 

  36. Tang WL, Wang YM, Du WM, Cheng NN, Chen BY. Assessment of quality of life and relevant factors in elderly diabetic patients in the Shanghai community. Pharmacoepidemiol Drug Saf 2006; 15(2): 123-130. 

  37. Hilleras PK, Jorm AF, Herlitz A, Winblad B. Life satisfaction among the very old: a survey on a cognitively intact sample aged 90 years or above. Int J Aging Hum Dev 2001; 52(1): 71-90. 

  38. Jakobsson U, Hallberg IR, Westergren A. Overall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the oldest old in pain. Qual Life Res 2004; 13(1): 125-136. 

  39. Selvin E, Parrinello CM. Age-related differences in glycaemic control in diabetes. Diabetologia 2013; 56(12): 2549-2551. 

  40. van Walraven C, Davis D, Forster AJ, Wells GA. Time-dependent bias was common in survival analyses published in leading clinical journals. J Clin Epidemiol 2004; 57(7): 672-68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