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직장인 당뇨병 환자의 성별에 따른 삶의 질 영향요인의 차이
Gender difference in Quality of Life Among Workers with Diabetes Mellitu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8, 2020년, pp.281 - 291  

장은희 (인천가톨릭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성별 특성을 고려한 직장인 당뇨병 환자의 삶의 질 및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2010~2017년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19세 이상의 직장이 있는 당뇨병 환자 1693명으로 남자 1082명, 여자 61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3.0 program을 이용하여 복합표본 linear regression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남자가 전체적인 삶의 질과 5개의 삶의 질 하위요인 모두에서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남자와 여자 모두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공통적인 요인은 경제수준, 교육수준, 직업, 스트레스 여부, 당뇨병 유병기간. 당뇨병 합병증 여부였다. 성별에 따라서는, 남자는 근무형태가 영향요인인 반면, 여자는 연령, 결혼상태, 음주, 당뇨병 치료방법, 당뇨병 관리가 삶의 질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직장인 당뇨병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성별에 따른 개별화된 중재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며, 정부 및 사회적 차원의 정책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dentifies the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QoL) in both male and female workers with diabetes mellitus and examin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Using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for 2010-2017, 1693 workers (1082 males; 611 fema...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성별 특성을 고려한 효율적인 삶의 질 관리에 도움이 되고자 직장인 당뇨병 환자를 남자와 여자로 구분하여 차이를 확인하고, 성별에 따른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17년까지(제 5기, 제 6기, 제 7기)의 국민건강영양조사(KNHANES)자료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직장인 당뇨병 환자의 삶의 질 정도와 영향 요인을 성별에 따라 분석하고 그 차이를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만 19세 이상 직장인 당뇨병 환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을 성별에 따라 분석하기 위하여 국민 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차 분석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직장인 당뇨병 환자의 삶의 질을 성별에 따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직업군을 하나의 변수로 분석하였으나, 직업군에 따른 생활환경, 건강상태 등을 파악해보는 것을 제언한다.
  • 본 연구는 직장인 당뇨병 환자의 성별에 따른 삶의 질의 차이와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으며, 2010 년부터 2017년까지의 8개년간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질병관리본부의 조사에 의한 2018년 만 30세 이상의 당뇨병 유병률은? 우리나라의 기대수명과 건강수명은 OECD 선진국과 비슷하지만, 당뇨병의 발생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1]. 질병관리본부의 조사에 의하면 만 30세 이상의 당뇨병 유병률은 2018년 남자 12.9%, 여자 7.9%였으며, 치료율이 66.2%인데 반해 조절률은 25.
직장인의 경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장인의 경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월평균 수입, 결혼 만족도, 우울, 자아존중감[6], 정규직과 비정규직 같은 고용형태[6, 7] 등이다. 반면, 질병이 있는 직장인은 질병에 대한 관리라는 부담을 가지고 있으면서 동시에 직무에 대한 책임이 있어 일반 직장인과는 다르다.
성별 특성을 고려한 직장인 당뇨병 환자의 삶의 질 및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된 본 연구의 결과는? 0 program을 이용하여 복합표본 linear regression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남자가 전체적인 삶의 질과 5개의 삶의 질 하위요인 모두에서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남자와 여자 모두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공통적인 요인은 경제수준, 교육수준, 직업, 스트레스 여부, 당뇨병 유병기간. 당뇨병 합병증 여부였다. 성별에 따라서는, 남자는 근무형태가 영향요인인 반면, 여자는 연령, 결혼상태, 음주, 당뇨병 치료방법, 당뇨병 관리가 삶의 질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직장인 당뇨병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성별에 따른 개별화된 중재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며, 정부 및 사회적 차원의 정책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National Statistical Office of Korea. (2019). Korean Social Trends 2019. http://kostat.go.kr/sri/srikor/srikor_pbl/3/index.board 

  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8). Korea Health Statistics 2018: Korea Nat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3) 

  3. V. B. Prajapati, R. Blake, L. D. Acharya, & S. Seshadri. (2017). Assessment of Quality of Life in Type II Diabetic Patients using the Modified Diabetes Qquality of Life (MDQoL)-17 questionnaire. Brazilian Journal of Pharmaceutical Sciences, 53(4), 1-9. 

  4. A. Trikkalinou, A. K. Papazafiropoulou, & A. Melidonis. (2017). Type 2 Diabetes and Quality of Life. World journal of diabetes, 8(4), 120-129. DOI : 10.4239/wjd.v8.i4.120 

  5. National Statistical Office of Korea. (2017). National Quality of Life Index 2017. 

  6. E. H. Park & H. S. Kim. (2017).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on Worker's Quality of Lif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11), 581-589. DOI : 10.14400/JDC.2017.15.11.581 

  7. Y. L. Jeong, S. H. Jeong & S. S. Han. (2018). Factors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Women Work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28(1), 117-123. DOI : 10.15269/JKSOEH.2018.28.1.117 

  8. T. Y. Han. (2007). The Relationship among Illness, Stress, and Work Outcome: A biopsychosocial Perspective for Employees with Diabetes.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20(3), 197-218. DOI : 10.24230/ksiop.20.3.200708.197 

  9. Y. J. Park. (2018). Diabetes, Returning to Work, and Your Right for Health. Journal of Korean Diabetes, 19(1), 53-57. DOI : 10.4093/jkd.2018.19.1.53 

  10. E. K. Lee & J. H. Park. (2016). Converged Study of Influencing Factors on Occupational Stress in Worker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7(3), 15-24. DOI : 10.15207/JKCS.2016.7.3.015 

  11. W. Kim, T. H. Kim, T. H. Lee, J. W. Choi & E. C. Park. (2016). The Impact of Shift and Night work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f Working Women: Findings from the Korea Health Panel.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14(1), 162. DOI : 10.1186/s12955-016-0564-x 

  12. Y. S. Choi & M. H. Jung. (2013). A study on Job Stress of Female Office Workers. Journal of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5(5), 2633-2643. 

  13. J. H. Kim. (2008).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of Employees with Diabetes. M.D.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4. E. H. Jang. (2017). Quality of Life Factors and Comparative Analysis in Workers with Diabetes Mellitus in terms of Convergence: using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2015.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2), 167-178. DOI : 10.15201/JKCS.2017.8.12.167 

  15. I. Yang, J. Jeong & C. Kim. (2020). A Meta-Analysis of Research on Perceived Job Stress of Domestic Corporate Employees. Journal of Competency Development & Learning, 15(1), 1-33. DOI : 10.21329/khrd.2020.15.1.1 

  16. K. Watkins, C. M. Connell. (2004). Measurement of Health related QOL in Diabetes Mellitus, Pharmacoeconomics, 22(17), 1109-1126. DOI : 10.2165/00019053-200422170-00002 

  17.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seven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3), 2018. 

  18. M. Kwon. (2019).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of Worker by Gender.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9(5), 747-759. DOI : 10.21742/AJMAHS.2019.05.69 

  19. Y. M. Lee. (2014). The Affects of Occupational Stress and Musculoskeletal Symptom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Female Labor Workers. M.D.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Daegu. 

  20. R. S. Lazarus & S. Folkman.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 Y.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1. K. H. Ju. (2011). Activity Level of Social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in Korea-Focusing on gender and age difference-.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42(20), 5-39. DOI : 10.16999/kasws.2011.42.1.5 

  22. H. J. Chae & M. J. Kim. (2019). Health Behavior, Health Service Use,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f Adult Women in One-person and Multi-person Household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5(3), 299-314. DOI : 10.4069/kjwhn.2019.25.3.299 

  23. Korean Diabetes Association. (2019). 2019 Treatment Guideline for diabetes. https://www.diabetes.or.kr/pro/publish/guide.php?codeguide&modeview&number73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