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형 환자참여 간호사 침상인계 프로토콜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Protocol for Bedside Nursing Handoff with Patient Engagement in a Tertiary Hospital in South Korea 원문보기

임상간호연구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26 no.1, 2020년, pp.117 - 130  

이태화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  지윤정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  장연수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  도현옥 (Joint Commission International.연세대학교 간호대학) ,  오경환 (세브란스병원 간호담당부) ,  김창경 (세브란스병원 수석부) ,  천자혜 (세브란스병원 적정진료관리팀) ,  신혜경 (세브란스병원 간호팀) ,  조미영 (세브란스병원) ,  배정임 (세브란스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bedside nursing shift report protocol and evaluate the effect of the protocol in a tertiary hospital in South Korea. Methods: The bedside nursing handoff protocol with patient engagement was develop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validation of an expe...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간호인계는 간호사가 독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행위가 많지 않은 의료 환경 가운데 온전히 간호사의 숙고와 판단으로 이루어지는 간호사만의 고유 영역이다. 간호사가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인수인계라는 정보공유 과정을 정보의 주체인 환자와 함께함으로써 의료사고 예방뿐만 아니라 환자와 의료진 양측의 만족도를 증진시켜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국내 환자참여 간호서비스 활성화 방안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일반 병동을 대상으로 환자참여 개념을 적용한 간호사 침상인계 프로토콜을 개발하여 실제 임상에 시행 후 임상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환자 참여 간호사 침상인계의 프로토콜 시행을 통해 기존의 인계시간은 지연되지 않으면서 침상인계 과정을 통해 환자의 평가점수는 증가한 결과를 보였으며, 이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논의 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미 해외에서 그 효과가 입증되어 활발하게 시행되고 있는 간호사 침상인계를 국내 병원에 시행 하여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으나, 국내 의료 환경은 해외의 상황과 매우 달라 이미 만들어진 프로토콜을 적용하는 데는 인적, 물적 자원의 차이와 한계가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를 통해 국내 임상 상황에 적합한 환자참여 모델을 적용하여 환자안전뿐만 아니라 환자권리를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프로토콜을 개발하여 임상 실무에 적용할 수 있도록 그 효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간호인계는 간호사가 독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행위가 많지 않은 의료 환경 가운데 온전히 간호사의 숙고와 판단으로 이루어지는 간호사만의 고유 영역이다.
  • 기존의 인계 방법과의 소요시간 차이 및 프로토콜의 단계별 소요시간의 측정을 위해 개발하였으며, 인계 시작 시간부터 인계를 마치는 시간을 측정하는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실제 소요시간을 측정하는 도구로 임상경력 5년 이상의 간호사 5인의 검토를 통해 수정 및 보완되었다.
  • Laptop을 사용한 EMR이 보편적으로 활용 되고 있는 미국과는 달리 국내의 경우 간호사실에 EMR을 열람할 수 있는 자원이 한정적으로 모든 것을 다 기억하여 환자 앞에서 인계하는 것은 한계가 있었으므로 꼭 확인해야 하는 항목들을 간략히 병동 특성별로 정리하여 매뉴얼을 배부하였고, 실제 침상인계 수행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연구에서는 간호사 간의 통일된 의사소통 방법과 내용을 구성 하여 정확한 정보의 전달로 환자안전사고 예방을 도모하였으며, 동시에 환자를 인수인계에 참여시킴으로써 환자중심의 간호서비스를 제공하고 환자의 권리를 신장시키고자 하였다.
  • 사전 조사는 서울 소재의 1,0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 2개 (A, B)의 병동에서 파일럿 테스트가 시행되기 2주 전 편의표본 추출 간호사 및 환자에게 일반적으로 시행되는 간호사 인계에 대한 평가를 설문하였다. 본 설문은 간호서비스 만족도와는 별개로 간호사들의 인계 방법에 대한 평가로 간호인계에 관한 내용만을 염두에 두고 응답해줄 것을 설명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일반 병동을 대상으로 환자참여 개념을 적용한 간호사 침상인계 프로토콜을 개발하여 실제 임상에 시행 후 임상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환자 참여 간호사 침상인계의 프로토콜 시행을 통해 기존의 인계시간은 지연되지 않으면서 침상인계 과정을 통해 환자의 평가점수는 증가한 결과를 보였으며, 이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논의 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한국형 환자참여 침상인계 프로토콜 개발 및 임상 적용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한국형 환자참여 간호사 침상인계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프로토콜의 적용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한국형 환자참여 간호사 침상인계 시행 전후의 환자용 간호사 침상인계 평가, 간호사용 간호사 침상인계 평가와 인계 소요시간을 측정하였다.
  • JCI는 다수의 문헌을 바탕으로 임상에서 환자참여를 극대화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방법으로 환자와의 의사소통을 꼽았다 [2]. 의료진의 의사소통에 있어 정보의 주체인 환자를 직접 참여시킴으로써 환자가 자신의 정보가 전달되는 과정을 지켜보며 확인하고, 바로 질문하고, 수정하여 가장 정확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임상에서 환자를 포함한 의료진의 의사소통은 환자의 건강증진을 위한 효과적이고 필수적인 방법으로, 의료진의 좋은 의사소통 기술은 환자의 예후뿐만 아니라 환자의 만족도에도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온다[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침상 인수인계의 장점은 무엇이 있는가? 이미 미국, 호주와 같은 의료선진국에서는 간호 분야에 있어 인수인계 동안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지각을 통해 인수인계 과정 및 내용의 변화로 침상 인수인계라는 방법을 새롭게 시도하였고, 많은 장점을 보고하였다[18]. 가장 괄목할만한 점은 의료진들만 공유했던 정보에 환자가 접근하고, 질문하고 대화할 수 있는 시간을 만들어줌으로써 환자가 자기 자신의 정보에 대해 더 잘 알게 되었다는 점이었으며, 두 번째로는 간호서비스에 대한 환자만족도가 증가하였다는 것이다. 또한, 간호사 측면에서도 환자참여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19]. Bradley와 Mott [20]의 연구에서는 침상인계를 통해 화상, 투약오류, 피부 손상, 낙상과 같은 환자안전 사고가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외에도 환자-간호사 관계의 개선[21], 인수인계과정을 선후배가 함께 진행할 수있는 시간을 통해 멘토링 기회의 증가, 환자와의 의사소통 시간이 증가함으로써 주치의가 묻는 환자 상태에 대해 대답할 수 있는 능력의 증진[22], 인수인계에 대한 간호사 만족도 증가, 침상인계를 통해 환자 교육의 질이 높아지며 퇴원시간 단축, 전통적 인수인계 방법보다 시간 단축, 근무시간 감소가 있었다[23].
인수인계란? 인수인계란 사전적으로 환자의 정보를 의료진 간에 교환하는 것을 의미하며, 임상적 의미는 환자 정보의 이동과 함께 전문적 책임, 권한의 이임을 뜻한다[10]. 실제 임상에서 이루어지는 인수인계는 매우 다양하고 복잡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고, 미치는 영향 요인 또한 다양하다[11].
침상인계 시행에 있어 가장 큰 문제점은? 반대로 침상인계 시행에 있어 가장 큰 문제점은 환자 개인의 사생활 보호로 침상인계 동안 제공되는 정보를 어디까지 환자 에게 공개해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였다[24]. 간호사 측면의 문제는 간호사들이 새로운 방법에 적응하는 데 겪는 어려움과 저항으로 침상인계를 실제로 시행한 간호사들이 효과 및 효율성이 적다는 의견을 피력하였다[1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World Health Organization. The world health report 2007: A safer future: Global public health security in the 21st century.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7. 

  2. The Joint Commission (US). 2012 Joint commission. " national patient safety goals [Internet]. Washington DC: Department of Vetarans Affairs(US), Federal Health Care Center; 2012 [cited 2013 May 25]. Available from: https://www.lovell.fhcc.va.gov/about/2012patientsafetygoals.pdf. 

  3. Manojlovich M, DeCicco B. Healthy work environments, nurse-physician communication, and patients' outcomes.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2007;16(6):536-543. 

  4.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Guide to patient and family engagement in hospital quality and safety [Internet]. Rockville(MD):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2017 [cited 2019 Jul 01]. Available from: https://www.ahrq.gov/professionals/systems/hospital/engagingfamilies/guide.html. 

  5. Olsson E, Ingman P, Ahmed B, Kalvemark Sporrong S. Pharmacist-patient communication in Swedish community pharmacies. Research in Social and Administrative Pharmacy. 2014;10(1):149-155. https://doi.org/10.1016/j.sapharm.2013.03.001 

  6. World Health Organization. Global strategic directions for strengthening nursing and midwifery 2016-2020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6 [cited 2019. Aug. 03]. Available from: https://www.who.int/hrh/nursing_midwifery/global-strategic-midwifery2016-2020.pdf. 

  7. Mokoka KE, Ehlers VJ, Oosthuizen MJ. Factors influencing the retention of registered nurses in the Gauteng Province of South Africa. Curationis. 2011;34(1):E1-9. https://doi.org/10.4102/curationis.v34i1.16 

  8. Sibiya MN. Effective communication in nursing. In: Ulutasdemir N, editor. Nursing. London: IntechOpen Limited; 2018. p. 19. 

  9. Friesen MA, White SV, Byers JF. Handoffs: Implications for nurses. In: Hughes RG, editor. Patient safety and quality: An evidence-based handbook for nurses. Rockville(MD):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2008. 

  10. Cohen MD, Hilligoss PB. Handoffs in hospitals: 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information exchange while transferring patient responsibility or control [Internet]. Ann Arbor(MI): University of Michigan; 2009 [cited 2019. Sep. 05]. Available from: https://deepblue.lib.umich.edu/handle/2027.42/61498. 

  11. Hansson L, Isaksson M. Bedsiderapportering: Inneliggande patienters upplevelse. [Internet]. Halstad(Swedish): Halmstad University, School of Health and Welfare; 2018 Spring [cited 2019. Dec. 09]. Available from: http://www.diva-portal.org/smash/get/diva2:1211685/FULLTEXT02.pdf. 

  12. Ernst KM, McComb SA, Ley C. Nurse-to-nurse shift handoffs on medical-surgical units: A process within the flow of nursing care.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18;27(5-6):e1189-e1201. https://doi.org/10.1111/jocn.14254 

  13. Sorra J, Famolaro T, Dyer MN, Nelson D, Khanna K. Hospital survey on patient safety culture: 2010 user comparative database report. Rockville(MD):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2010. 

  14. Maurer M, Dardess P, Carman KL, Frazier K, Smeeding L. Guide to patient and family engagement: Environmental scan report. Rockville(MD):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2012. 

  15. Joint Commission. Hot topics in health care: Transitions of care: The need for a more effective approach to continuing patient care [Internet]. Joint Commission, Center for Transforming Healthcare; 2012 [cited 2019. Nov. 11]. Available from: http://www.jointcommission.org/assets/1/18/hot_topics_transitions_of_care.pdf. 

  16. Friesen MA, Susan VW, Jacqueline FB. Handoffs: Implications for nurses. In: Hughes RG, editor. Patient safety and quality: An evidence-based handbook for nurses. Rockville (MD):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2008. 

  17. Mardis T, Mardis M, Davis J, Justice EM, Riley Holdinsky S, Donnelly J, et al. Bedside shift-to-shift handoffs: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Nursing Care Quality. 2016;31(1):54-60. https://doi.org/10.1097/NCQ.0000000000000142 

  18. Radtke K. Improving patient satisfaction with nursing communication using bedside shift report. Clinical Nurse Specialist. 2013;27(1):19-25. https://doi.org/10.1097/NUR.0b013e3182777011 

  19. Sand-Jecklin K, Sherman J. A quantitative assessment of patient and nurse outcomes of bedside nursing report implementation.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14;23(19-20):2854-2863. https://doi.org/10.1111/jocn.12575 

  20. Bradley S, Mott S. Adopting a patient-centred approach: An investigation into the introduction of bedside handover to three rural hospital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14;23(13-14):1927-1936. https://doi.org/10.1111/jocn.12403 

  21. Thomas L, Donohue-Porter P. Blending evidence and innovation: Improving intershift handoffs in a multihospital setting. Journal of Nursing Care Quality. 2012;27(2):116-124. https://doi.org/10.1097/ncq.0b013e318241cb3b 

  22. Trossman S. Shifting to the bedside for report. The American Nurse. 2009;41(2):7-7. 

  23. Dearmon V, Roussel L, Buckner EB, Mulekar M, Pomrenke B, Salas S, et al. Transforming Care at the Bedside(TCAB): Enhancing direct care and value-added care.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3;21(4):668-678. https://doi.org/10.1111/j.1365-2834.2012.01412.x 

  24. Laws D, Amato S. Incorporating bedside reporting into changeof- shift report. Rehabilitation Nursing. 2010;35(2):70-74. https://doi.org/10.1002/j.2048-7940.2010.tb00034.x 

  25. Kim J, Kim S, Park E, Jeong S, Lee E. Policy issues and new direction for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i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7;23(3):312-322. https://doi.org/10.11111/jkana.2017.23.3.312 

  26. Lim J, Han JO. Health care personnel policies and measures for securing workforce. Seoul: Korean Health and Medical Industry Workers' Union; 2017. 

  27. Ferguson TD, Howell TL. Bedside reporting: Protocols for improving patient care. Nursing Clinics of North America. 2015;50(4):735-547. https://doi.org/10.1016/j.cnur.2015.07.011 

  28. Baker SJ. Bedside shift report improves patient safety and nurse accountability.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2010;36(4):355-358. https://doi.org/10.1016/j.jen.2010.03.009 

  29. Johnson C, Carta T, Throndson K. Communicate with me: Information exchanges between nurses. Canadian Nurse. 2015;111(2):24-27. 

  30. Schirm V, Banz G, Swartz C, Richmond M. Evaluation of bedside shift report: A research and evidence-based practice initiative. Applied Nursing Research. 2018;40:20-25. https://doi.org/10.1016/j.apnr.2017.12.00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