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세기 초 혼례물목에 기록된 한복 소재
Korean traditional textiles recorded in lists of goods for weddings in the early 20th century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28 no.1, 2020년, pp.62 - 75  

조임선 (경상대학교 의류학과) ,  이은진 (경상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clothing items recorded in Nappyemulmok (納幣物目) and Ugwimulmok (于歸物目) in the early 20th century were examined. These clothing items were recorded on the lists of goods for wedding gifts from the 1910s to the 1930s. A large quantity of these lists were organized into eight categories by...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혼례 물목은 무엇인가? 혼례의 과정에서 신랑 측과 신부 측은 청혼서, 허혼서, 사주단자, 연길, 혼서지, 납폐물목과 우귀물목 등 여러 종류의 문서를 주고받았다. 두 집안에서 오가는 물품의 목록, 즉 물목(物目)을 작성하였는데, 혼례 물목은 혼례 때 사용되거나 주고받은 모든 물품목록을 의미한다(Cho & Lee, 2017). 다양한 혼례물목 중에서도 의복과 소재가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는 문서는 납폐물목(納幣物目)과 우귀물목(于歸物目)이다.
혼례물목에 기록된 물품에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무엇인가? 혼례물목에 기록된 물품을 분석해 보면 의복이나 소재가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다. 혼인을 위해 준비 하는 물품 중 소재의 중요성은 현대의 결혼에서도 인사의 의미로 신부가 시댁에 선물하는 혼수품을 ‘예로 보내는 비단’이라는 의미를 지닌 ‘예단(禮緞)’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는 언어 습관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20세기 초 혼례의 과정은 어떠한 절차로 진행되었는가? 20세기 초 전통혼례는 의혼(議婚), 납채(納采), 연길(涓吉), 납폐(納幣), 대례(大禮),  현구고례(見舅姑禮), 우귀(于歸)의 절차로 진행되었다(Lee, 1990). 혼례의 과정에서 신랑 측과 신부 측은 청혼서, 허혼서, 사주단자, 연길, 혼서지, 납폐물목과 우귀물목 등 여러 종류의 문서를 주고받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heongju Hanssi. (1915). 納幣物目 [Nappyemulmok]. 

  2. Cho, I. S., & Lee, E. J. (2017). Wedding culture & lists of wedding gifts from the Gyungnam area in the 20th century.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5(2), 159-174. doi:10.7741/rjcc.2017.25.2.159. 

  3. Goseong Jeonju Choessi. (1938). 納幣物目 [Nappyemulmok]. 

  4. Haman Issi. (1915). 于歸物目 [Ugwimulmok]. 

  5. Honam Culture Heritage. (1910s). Boseong, Jeonnam the lists of goods for wedding. Retrieved February 2, 2016, from http://www.memoryhonam.co.kr/sub09/sub02_detail.php?seq266 

  6. Honam Culture Heritage. (1920s). Gochang Jeonbuk the lists of goods for wedding. Retrieved February 2, 2016, from ttp://www.memoryhonam.co.kr/sub09/sub02_detail.php?seq233 

  7. Honam Culture Heritage. (1934). Gochang Jeonbuk the lists of goods for wedding. Retrieved February 2, 2016, from http://www.memoryhonam.co.kr/sub09/sub02_detail.php?seq282 

  8. Jeon, J. H. (1999). 전주(전라도 지역) 혼례복식 [Jeonju (Jeondo region) traditional wedding ceremony]. Korea Royal Costume Research Institute, 1, 21-40. 

  9. Jung, J. S. (1999). On the process and meanings of marriage - Focused on iteratures of marriage from 1920 to 1940 at Woonjorhu in Kurye -. Korean Journal of Folk Studies, 6, 1-74. 

  10. Kim, J. N. (2011). A study on folk custom concerning the traditional wedding ceremony based on old documentary, wedding - catalogs of goods. The Review of Korean Cultural Studies, (38), 361-389. doi:10.17329/kcbook.2011..38.013 

  11. Kim, J. T. (1982). 傳統婚俗에서의 納徵禮에 대하여 [On nuptial presenting in traditional wedding]. Journal of the Women's Problems Research Institute, 11, 17-29. 

  12. Korean Culture and Information Service. (1969). 韓國民俗綜合調査報告書(全羅南道 編) [Korean Folkore Comprehensive Investigation Report(Jeollanam-do)]. Seoul: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13. Korean Culture and Information Service. (1971). 韓國民俗綜合調査報告書(全羅北道 編) [Korean Folkore Comprehensive Investigation Report(Jeollabuk-do)]. Seoul: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14. Korean Culture and Information Service. (1972). 韓國民俗綜合調査報告書(慶尙南道) [Korean Folkore Comprehensive Investigation Report(Gyeongsangnam-do)]. Seoul: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15. Korean Culture and Information Service. (1974). 韓國民俗綜合調査報告書(慶尙北 編) [Korean Folkore Comprehensive Investigation Report(Gyeongsangbuk-do)]. Seoul: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16. Korean Culture and Information Service. (1986). 韓國民俗綜合調査報告書(衣生活篇) [Korean Folkore Comprehensive Investigation Report(A life of righteousness)]. Seoul: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17. Lee, J. W. (1990). A study on everyday wear of Korean common woman with folklore.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28(4), 15-30. 

  18. Moon, O. P., & Lee, C. G. (2014). 增補四禮便覽 [Jeungbosaryepyeollam]. Seoul: The academy Korean Studies. 

  19.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1988). 求禮 雲鳥樓 [Gurye Unjoru]. Seoul: Author. 

  20. Park, J. Y., & Jung, J. Y. (2007a). 물목.보부상 물목 [Mulmok.Bobusang Mulmok]. Chungnam Asan: Chinese translation and literature institute & Midominsokgwan. 

  21. Park, J. Y., & Jung, J. Y. (2007b). 홍천읍 송화선 보부상 물목 [Hongcheon-eup Songhwaseon Bobusang Mulmok]. Chungnam Asan: Chinese Translation and Literature Institute & Daegubang. 

  22. Society for the Study of Living Etiquette. (2003). 冠婚喪祭 [Guan Yu Sang-je]. Seoul: Maeil. 

  23.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2002a). 古文書集成 四十七券 [Gomunseojipseong]. Seoul: Author. 

  24.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2002b). 古文書集成 六十二券 [Gomunseojipseong]. Seoul: Author. 

  25. Yu H, G., & Kim. M. J. (1988). The history of Korean dress culture. Seoul: Gyomuns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