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레를 갖는 6개 어종의 광대역 음향산란특성에 대한 부레 가스 제거의 효과
The Effect of Removing Swimbladder Gas on the Broadband Acoustic Backscattering Characteristics of Six Species of Swimbladdered Fish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53 no.2, 2020년, pp.218 - 230  

이대재 (부경대학교 해양생산시스템관리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ingle anatomical attribute that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acoustic scattering from fish i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wimbladd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removing the gas from the swimbladder on the broadband backscattering characteristics of six species of swimbladdered fish: ...

주제어

표/그림 (1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Table 1에 나타낸 어류들이 중성부력을 얻기 위해서는 몸체 체적의 5%에 상당하는 부레 체적을 유지해야만 침강력(음성부력)에 대응하는 부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나, 부레 체임버에 수용되어있는 gas는 주위 생체조직이나 해수와의 음향 임피던스의 차이가 매우 커서 체내에는 음향학적 불연속 경계층이 항상 존재하게 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 점에 주목하여 각 어종에 대한 반사강도의 주파수 의존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실험에 사용한 6개 어종에 대한 어체의 X-ray 사진을 촬영한 결과는 Fig.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종에 따라 어체의 해부학적 내부조직, 부레의 체적공간 및 형상 등이 서로 다른 점을 고려하여 우리나라 주변해역에서 어획된 6개 어종을 대상으로 100-200 kHz의 주파수 대역에서 부레 체임버(chamber)에 gas가 존재할 때와 존재하지 않을 때에 대한 음향산란특성을 서로 비교, 분석하였다.
  • 6의 100-200 kHz의 주파수 범위에서는 어류의 척추골(backbone)과 두개골(skull) 등이 근육조직(flesh)과 함께 존재하거나, 또한 아가미 등이 어체의 두부(head) 조직과 함께 존재하는 경우, 주파수 의존적인 산란특성이 나타난다고 보고한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점에 주목하여 다른 어떤 생체 조직과의 밀도 및 음속 contrast가 매우 큰 부레를 대상으로 부레가 gas 로 충만되어 있을 때와 그렇지 않을 때, 반사강도의 자세각 및 주파수 의존성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서로 비교, 분석하였다. Fig.
  • 이와 같은 실험과정을 통해 성공적으로 부레 gas가 완전히 제거된 각 어종별 개체어는 Table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돌돔 3마리(평균체장 238 mm), 말쥐치 7마리(평균체장 243 mm), 볼락 2마리(평균체장 198 mm), 불볼락 2마리(평균체장 233 mm), 조피볼락 2마리(평균체장 256 mm), 졸복 1마리(평균체장 206 mm) 등으로서 총 6개 어종에 17마리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어종에 대한 실험 데이터를 토대로 광대역 음향산란특성에 대한 부레 gas의 제거 효과를 평가, 분석하였다. 또한, Table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험에 사용한 돌돔, 말쥐치, 볼락, 불볼락, 조피볼락, 졸복에 대한 부레의 평균체적은 각각 1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반적으로 어군 echo 신호로부터 어종 고유의 특징적인 식별지표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선행되어야 하는가? , 2009). 일반적으로 어군 echo 신호로부터 어종 고유의 특징적인 식별지표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어류의 내부 생체조직에 대한 음향학적 응답특성에 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한다(Lee, 2015a, 2015b; Lee, 2016, 2017; Lee et al., 2016).
부레의 음향 임피던스의 특징은 무엇인가? 그 중에서도 특히 근육, 뼈, 비늘, 부레 등과 같은 어체 조직과 주위 매질(해수) 사이에 대한 밀도 및 음속 contrast가 가장 큰 생체기관이 바로 부레이다. 부레의 음향 임피던스는 주위 매질이나 다른 어체 조직과 비교하여 그 값이 매우 작기 때문에 음향산란을 매우 강하게 유발시키는 음향학적 어종식별요소가 된다(Foote, 1980). 따라서, 어류의 부레 체임버(chamber) 내부에 있는 gas의 양이 감소하거나, 또는 증가하여 부레의 체적과 형상이 변화하면, 어류로부터의 음향산란특성의 변동이 필연적으로 수반된다.
어류의 부레는 무엇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인가? 어류의 부레는 어종에 따라 매우 다양한 기능을 담당하는 생체기관이다. 그 중에서 유영 수심의 변화에 따른 부력조절기능이나 외부자극에 대한 청각 및 발성기능, 또한, 매우 낮은 주파수에 대한 공진특성 등은 어류의 음향산란현상을 해석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Lovik and Hovem, 1979; Fassler et al.,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lay CS and Horne JK. 1994. Acoustic models of fish: The Atlantic cod (Gadus morhua). J Acoust Soc Am 96, 1161-1668. 

  2. Davison P. 2011. The specific gravity of mesopelagic fish from the northeastern Pacific Ocean and its implications for acoustic backscatter. ICES J Mar Sci 68, 2064-2074. http://doi.org/10.1093/icesjms/fsr140. 

  3. Davison PC, Koslow JA and Kloser RJ. 2015. Acoustic biomass estimation of mesopelagic fish: backscattering from individuals, populations, and communities. ICES J Mar Sci 72, 1413-1424. 

  4. Fassler SMM, Fernandes PG, Semple SIK and Brierley AS. 2009. Depth-dependent swimbladder compression in herring Clupea haengus observed us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J Fish Bio 74, 296-303. https://doi.org/10.1111/j.1095-8649.2008.02130.x. 

  5. Fassler SMM, Gorska N, Ona E and Fernandes PG. 2008. Difference in swimbladder volume between Baltic and Norwgian spring-spawning herring: Consequences for mean target strength. Fish Res 92, 314-321. 

  6. Foote KG. 1980. Importance of the swimbladder in acoustic scattering by fish: A Comparison of gadoid and mackerel target strengths. J Acoust Soc Am 67, 2084-2089. 

  7. Forland TN, Hoback H and Korneliussen RJ. 2014. Scattering properties of Atlantic mackerel over a wide frequency range. ICES J Mar Sci 71, 1904-1912. 

  8. Gorska N and Ona E. 2003. Modelling the effect of swimbladder compression on the acoustic backscattering from herring at normal or near-normal dorsal incidences. ICES J Mar Sci 60, 1381-1391. https://doi.org/10.1016/S1054-3139(03)00142-5. 

  9. Heisler N. 1995. Advances in comparative and environmental physiology (Book 21). Springer, Berlin, Germany, 41-59. 

  10. Jones FRH and Pearce G. 1958. Acoustic reflexion experiments with Perch (Perca Fluviatilis Linn.) to determine the proportion of the echo returned by the swimbladder. J Exp Biol 35, 437-450. 

  11. Lee DJ, Kang HY and Kwak MS. 2015. Analysis and classification of broadband acoustic echoes from individual live fish using the pulse compression technique. Korean J Fish Aquat Sci 48, 207-220. https://doi.org/10.5657/KFAS.2015.0207. 

  12. Lee DJ. 2015a. Time-frequency analysis of broadband acoustic scattering from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as, goldeye rockfish Sebestes thompsoni, and fat greenling Hexagrammos otakii. Korean J Fish Aquat Sci 48, 221-232. https://doi.org/10.5657/KFAS.2015.0221. 

  13. Lee DJ. 2015b. Changes in the orientation and frequency dependence of target strength due to morphological differences in the fish swim bladder. Korean J Fish Aquat Sci 48, 233-243. https://doi.org/10.5657/KFAS.2015.0233. 

  14. Lee DJ, Kang HY and Pak YY. 2016. Time-frequency feature extraction for species identification in broadband echo signals from individual live fish. Korean J Fish Aquat Sci 49, 214-223. https://doi.org/10.5657/KFAS.2016.0214. 

  15. Lee DJ. 2016. Acoustic identification of six fish species using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Korean J Fish Aquat Sci 49, 224-233. https://doi.org/10.5657/KFAS.2016.0224. 

  16. Lee DJ. 2017. Identification of fish species using affine transform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time-frequency images of broadband acoustic echoes from individual live fish. Korean J Fish Aquat Sci 50, 195-206. https://doi.org/10.5657/KFAS.2017.0195. 

  17. Lovik A and Hovem JM. 1979.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swimbladder resonance in fishes. J Acoust Soc Am 66, 850-854. 

  18. McClatchie S, Alsop J and Coombs RF. 1996. A re-evaluation of relationships between fish size, acoustic frequency, and target strength. ICES J Mar Sci 53, 780-791. 

  19. Tait RV and Dipper FA. 1998. Elements of marine ecology. Butterworth-Heinemann, Oxford, UK, 127-134. 

  20. Towler RH, Jech JM and Horne JK. 2003. Visualizing fish movement, behavior, and acoustic backscatter. Aquat Living Resour 16, 277-282. https://doi.org/10.1016/S0990-7440(03)00011-1. 

  21. Webber DM, Aitken JP and O’Dor RK. 2010. Costs of locomotion and vertic dynamics of Cephalopods and fish. Physiol Bioch Zoo 73, 651-662. https://doi.org/10.1086/31810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