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네트를 활용한 한국 물리치료사의 임신 관련 허리통증 환자에 대한 치료실태 조사연구
Current Management for Pregnancy-related Low Back Pain by Korean Physical Therapists: A National Cross-sectional Survey Using the Vignette Method 원문보기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Physical Therapy Korea, v.27 no.1, 2020년, pp.53 - 62  

한희주 (대전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김선엽 (대전대학교 보건의료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Pregnancy-related low back pain (PLBP) has fewer systematic guidelines than pregnancy-related pelvic girdle pain, previous studies have not evaluated physical therapy for this ailment in Korea. Objects: We aimed to provide a detailed account of clinical decision making by Korean physio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맥락으로 본 연구에서는 임신 관련 허리통증환자 치료경험 유무에 대한 제한을 두지 않고 조사를 수행하였다. 나아가 여성 건강 물리 치료에 대한 인지 및 관심도를 조사하여 이에 따라 치료 유형을 선택하는데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로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네트 연구기법을 채택하여 설문을 구성하고 현재 임신 관련 허리통증 환자에 대한 치료방법과 조언, 적용방법을 조 사하여 그 결과를 영국의 사례와 비교하여 차이점을 알아보기로 하였다. 또한 선택된 치료방법들의 이론적 근거 유무를 조사, 비교하여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개선할 사항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적인 한국의 물리치료사가 임신 관련 허리통증 환자에 대해 제공하고자 하는 치료 및 조언의 내용을 세부적으로 알아보고 다양한 특성들과 비교ㆍ분석함으로써 국내 물리치료사의 임상적 의사결정 관련 실태를 유추하고 향후 연구 및 지침에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네트 연구기법을 채택하여 설문을 구성하고 현재 임신 관련 허리통증 환자에 대한 치료방법과 조언, 적용방법을 조 사하여 그 결과를 영국의 사례와 비교하여 차이점을 알아보기로 하였다. 또한 선택된 치료방법들의 이론적 근거 유무를 조사, 비교하여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개선할 사항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영국의 경우 침술 치료와 일반적 치료를 중점으로 임신 관련 허리통증환자 치료의 유경험자들만을 대상으로 비네트 기법에 기반한 조사연구를 하였다.
  • 현재 근무하는 직장형태는 국민건강보험의 적용을 받는 의료기관과 그렇지 않은 비의료기관의 형태로 구분하여 제시하였고, 교육수준에 대한 지표로써 최종학력을 조사하였고, 임신 관련 허리 통증에 대한 치료경험 여부와 경험빈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일반적인 허리통증 환자와 임신 관련 허리통증과 관련된 임상 교육 프로그램의 이수 여부를 조사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최근 대두되고 있는 여성 건강 물리치료 영역에서 다루는 대표적인 건강 문제라 할 수 있는 임신 관련 허리통증에 대해서 물리치료사의 관점에서 실행할 수 있는 치료 및 조언들을 세부적으로 조사함으로써 기존에 전무한 실태 상황을 파악할 수 있었다는 점 에서 의미 있는 연구이다. 영국의 선행 연구결과와 비교하여서도 더욱 상세한 자료와 분석을 통해 결과를 보다 면밀하게 볼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물리치료 분야에서 국내 최초로 비네트 기법을 이용하여 국내 물리치료사의 임신 관련 허리통증 환자 치료에 대한 현황을 알아보고자 실시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Bishop 등[11]이 시행 한 영국의 단면 연구에서는 정확한 원자료(raw data)가 제시되지 않았지만 비네트 환자의 물리치료 방법 중 가장 높은 중재방법은 자가운동치료 프로그램(93%), 자세조절/안정화 운동(92%), 골반저근육 운동 (78%)의 순이었다.
  • 본 연구는 한국의 물리치료사 520명을 대상으로 비네트 기법을 활용 한 임신 관련 허리통증환자에 대한 물리치료 적용 실태에 대한 조사이며 더불어 여성 건강 물리치료 분야에 대한인지 및 관심 수준과 임상 적 애로사항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조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다 양한 조합의 물리치료 형태와 조언들이 임신 관련 허리통증환자 치료 에 선택되고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임상 환경에서 물리치료사가 임산부 환자를 치료하는 데 있어 겪는 애로사항과 그 해결방안에 대해서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89.
  • 본 연구에서는 여성 건강 전문물리치료사 제도가 아직 시행되지 않은 국내의 임상 환경을 감안하여 응답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주관적 인지수준과 관심수준을 조사하고 이에 따라 선택하는 치료 유형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조사 결과 국내에서 임신 관련 허리통증 환자를 한번이라도 치료한 경험이 있는 물리치료사는 67% (346명) 로 나타났다.
  • 여성 건강 물리치료 분야에 대한 주관적 인지수준과 관심수준이 일 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주관적 인지수준은 “귀하 는 지금까지 여성 건강 물리치료라는 분야에 대해 어느 정도 알고 계셨습니까?”에 대한 대상자의 응답을, 주관적 관심수준은 “여성 건강 물리 치료 전문분야에 대해 관심을 가져볼 의향이 있으십니까?”에 대한 응답을 리커트형 5점 척도화한 것이다.
  • 영국에서 이루어진 연구의 경우, 본 연구와는 달리 임신 관련 허리통증환자를 치료한 경험이 한 번 이라도 있는 치료사를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더욱이 의뢰 및 처방권의 유무 등 두 나라 간에 임상적 환경이 다르다는 점에서 단편적인 비교에는 한계가 있다. 이를 고려하여 같은 비네트 환자를 놓고 동일한 치료 선택지를 기준으로 비교함으로써 이러한 괴리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또한 설문 조사의 특성상 실제 물리치료 현황이 아닌 보고된 자료로 현황을 유추하는 것이므로 실제의 치료 실태와 비교하여 간극이 있을 수 있다.
  • 그러나 한ㆍ영 양국 간에 임상 조건의 차이를 고려할 때 결과에 대한 단편적 비교는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비경험자라도 의사결정이 가능한 비네트 기법의 장점을 활용하여 제한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맥락으로 본 연구에서는 임신 관련 허리통증환자 치료경험 유무에 대한 제한을 두지 않고 조사를 수행하였다.
  • 환자(비네트 환자)에 대해 선택한 물리 치료 및 관련 조언 임신 관련 허리통증으로 제시된 비네트 환자를 어떻게 치료하고 조언할 것인지 여러 가지 유형의 선택 사항을 제시하고 응답하게 하였다. 이에 앞서 이 환자를 치료할 것인지를 묻는 질문에 7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신 관련 허리통증(pregnancy-related low back pain)은 어느정도비율로 여성에게 영향을 미치는가? 허리통증(low back pain)은 일반인보다 임신한 여성에게서 빈번하게 나타나며[1] 임신 중에 허리통증은 매우 흔한 질환이다. 임신 관련 허리통증(pregnancy-related low back pain)은 약 45%–75%의 여성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2,3]. Pierce 등[2]은 임신 중 허리통증을 가진 임산부는 그렇지 않은 건강한 여성과 비교하여 삶의 질이 낮고 통증으로 인하여 직장을 쉬는 경우도 적잖게(20%–23%) 나타난다고 하였다.
임신 관련 허리통증(pregnancy-related low back pain)을 가진 임산부가 겪을 수 있는 일은? 임신 관련 허리통증(pregnancy-related low back pain)은 약 45%–75%의 여성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2,3]. Pierce 등[2]은 임신 중 허리통증을 가진 임산부는 그렇지 않은 건강한 여성과 비교하여 삶의 질이 낮고 통증으로 인하여 직장을 쉬는 경우도 적잖게(20%–23%) 나타난다고 하였다. Katonis 등[4]은 임신 관련 허리통증이 분만 후 병가의 가장 흔한 원인이며 여성의 삶에 극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였다.
허리통증(low back pain)은 누구에게 빈번히 나타나는가? 허리통증(low back pain)은 일반인보다 임신한 여성에게서 빈번하게 나타나며[1] 임신 중에 허리통증은 매우 흔한 질환이다. 임신 관련 허리통증(pregnancy-related low back pain)은 약 45%–75%의 여성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Gutke A, Ostgaard HC, Oberg B. Predicting persistent pregnancy-related low back pain. Spine (Phila Pa 1976) 2008;33(12):E386-93. 

  2. Pierce H, Homer CS, Dahlen HG, King J. Pregnancy-related lumbopelvic pain: listening to Australian women. Nurs Res Pract 2012;2012:387428. 

  3. Wu WH, Meijer OG, Uegaki K, Mens JM, van Dieen JH, Wuisman PI, et al. Pregnancy-related pelvic girdle pain (PPP), I: terminology, clinical presentation, and prevalence. Eur Spine J 2004;13(7):575-89. 

  4. Katonis P, Kampouroglou A, Aggelopoulos A, Kakavelakis K, Lykoudis S, Makrigiannakis A, et al. Pregnancy-related low back pain. Hippokratia 2011;15(3):205-10. 

  5. Stuge B, Hilde G, Vollestad N. Physical therapy for pregnancyrelated low back and pelvic pain: a systematic review. Acta Obstet Gynecol Scand 2003;82(11):983-90. 

  6. Vermani E, Mittal R, Weeks A. Pelvic girdle pain and low back pain in pregnancy: a review. Pain Pract 2010;10(1):60-71. 

  7. Bastiaanssen JM, de Bie RA, Bastiaenen CH, Essed GG, van den Brandt PA. A historical perspective on pregnancy-related low back and/or pelvic girdle pain. Eur J Obstet Gynecol Reprod Biol 2005;120(1):3-14. 

  8. Kovacs FM, Garcia E, Royuela A, Gonzalez L, Abraira V. Prevalence and factors associated with low back pain and pelvic girdle pain during pregnancy: a multicenter study conducted in the Spanish National Health Service. Spine (Phila Pa 1976) 2012;37(17):1516-33. 

  9. van Benten E, Pool J, Mens J, Pool-Goudzwaard A. Recommendations for physical therapists on the treatment of lumbopelvic pain during pregnancy: a systematic review. J Orthop Sports Phys Ther 2014;44(7):464-73, A1-15. 

  10. Gutke A, Betten C, Degerskar K, Pousette S, Olsen MF. Treatments for pregnancy-related lumbopelvic pain: a systematic review of physiotherapy modalities. Acta Obstet Gynecol Scand 2015;94(11):1156-67. 

  11. Clinton SC, Newell A, Downey PA, Ferreira K. Pelvic girdle pain in the antepartum population: physical therapy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linked to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from the section on women's health and the orthopaedic section of the American Physical Therapy Association. J Women Health Phys Ther 2017;41(2):102-25. 

  12. Bishop A, Holden MA, Ogollah RO, Foster NE. Current management of pregnancy-related low back pain: a national crosssectional survey of U.K. physiotherapists. Physiotherapy 2016;102(1):78-85. 

  13. Steiner PM, Atzmuller C, Su D. Designing valid and reliable vignette experiments for survey research: a case study on the fair gender income gap. J Methods Meas Soc Sci 2016;7(2):52-94. 

  14. Corkery MB, Edgar KL, Smith CE. A survey of physical therapists' clinical practice patterns and adherence to clinical guidelines in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whiplash associated disorders (WAD). J Man Manip Ther 2014;22(2):75-89. 

  15. Peabody JW, Luck J, Glassman P, Dresselhaus TR, Lee M. Comparison of vignettes, standardized patients, and chart abstraction: a prospective validation study of 3 methods for measuring quality. JAMA 2000;283(13):1715-22. 

  16. Buchbinder R, Jolley D, Wyatt M. 2001 Volvo Award Winner in Clinical Studies: Effects of a media campaign on back pain beliefs and its potential influence on management of low back pain in general practice. Spine (Phila Pa 1976) 2001;26(23):2535-42. 

  17. Evans DW, Breen AC, Pincus T, Sim J, Underwood M, Vogel S, et al. The effectiveness of a posted information package on the beliefs and behavior of musculoskeletal practitioners: the UK Chiropractors, Osteopaths, and Musculoskeletal Physiotherapists Low Back Pain ManagemENT (COMPLeMENT) randomized trial. Spine (Phila Pa 1976) 2010;35(8):858-66. 

  18. Keskin EA, Onur O, Keskin HL, Gumus II, Kafali H, Turhan N.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improves low back pain during pregnancy. Gynecol Obstet Invest 2012;74(1):76-83. 

  19. Galfat DR, Mishra A. Management of low back pain in pregnancy with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a prospective study. Obstet Gynecol 2019;7(4):645-8. 

  20. Kluge J, Hall D, Louw Q, Theron G, Grove D. Specific exercises to treat pregnancy-related low back pain in a South African population. Int J Gynaecol Obstet 2011;113(3):187-91. 

  21. Belogolovsky I, Katzman W, Christopherson N, Rivera MJ, Allen DD. The effectiveness of exercise in treatment of pregnancy-related lumbar and pelvic girdle pain: a meta-analysis and evidence-based review. J Women Health Phys Ther 2015;39(2):53-64. 

  22. Bullock JE, Jull GA, Bullock MI. The relationship of low back pain to postural changes during pregnancy. Aust J Physiother 1987;33(1):10-7. 

  23. Yousef AM, Hanfy HM, Elshamy FF, Awad MA, Kandil IM. Postural changes during normal pregnancy. J Am Sci 2011;7(6):1013-8. 

  24. Schauberger CW, Rooney BL, Goldsmith L, Shenton D, Silva PD, Schaper A. Peripheral joint laxity increases in pregnancy but does not correlate with serum relaxin levels. Am J Obstet Gynecol 1996;174(2):667-71. 

  25. Hall H, Cramer H, Sundberg T, Ward L, Adams J, Moore C, et al. The effectiveness of complementary manual therapies for pregnancy-related back and pelvic pain: a systematic review with meta-analysis. Medicine (Baltimore) 2016;95(38):e4723. 

  26. Robinson HS, Balasundaram AP. Effectiveness of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s for pregnancy-related pelvic girdle pain (PEDro synthesis). Br J Sports Med 2018;52(18):1215-6. 

  27. Carr CA. Use of a maternity support binder for relief of pregnancy-related back pain. J Obstet Gynecol Neonatal Nurs 2003;32(4):495-5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