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령전기 장애 아동 부모와 비장애 아동 부모의 놀이 인식과 놀이 참여 비교 연구
Comparison of Play Perception and Play Participation of Parents of Disabled Children and Non-disabled Children in Preschool Age 원문보기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 재활치료과학, v.9 no.1, 2020년, pp.69 - 78  

박다솔 (연세 소울 정신건강의학과 의원) ,  이은영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이선희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박혜연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기 전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 부모들에게 자녀의 놀이에 관한 포괄적인 설문을 시행하여 놀이 인식을 알아보고 각 부모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놀이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제작된 설문지를 설문요청에 동의한 대상자 700명에게 발송하였다. 미회수 및 불성실한 설문을 제외하고 총 596부의 설문지가 분석되었으며 이 중 106부가 장애아동 부모의 설문지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Window 23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빈도분석독립표본 T 검정이 시행되었다. 결과 : 장애 아동 부모는 비장애 아동 부모에 비해 자녀와의 놀이를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자녀와의 놀이에 대한 즐거움 인식은 장애 아동과 비장애 아동 부모 간에 큰 점수 차이를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p=0.053). 자녀와의 놀이 참여시간은 장애아동과 비장애 아동 모두 부 보다 모와의 참여시간이 많았다. 모의 경우 장애아동의 모가 놀이참여 시간이 더 많았고, 부의 경우 비장애 아동의 부가 더 많았다. 장애아동과 비장애 아동 부모 모두 장난감을 사주는 빈도는 '보통' 정도가 가장 많았으며 두 집단 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장애아동과 비장애 아동 부모 모두 놀이 정보를 습득하기 위해 인터넷을 주로 이용하였으며, 놀잇감을 살 때 고려사항은 흥미 유발, 발달수준, 안전 순이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학령전기 장애 아동과 비장애 아동 부모의 놀이 인식 및 참여 실태를 비교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토대로 부모들이 놀이 시 실질적으로 필요한 부분을 알 수 있고, 추후 아동을 대상으로 한 놀이 연구의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comprehensive survey of children's play in parents of disabled and non-disabled children prior to commencing school. This study aimed to further understanding play recognition and to present a specific direction of play necessary to each parent....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학령전기 장애아동 부모와 비장애아동 부모들에게 자녀의 놀이에 관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자녀의 놀이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참여 실태를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김성희, 이연희, 오욱찬, 황주희, 오미애, 이민경, ... 이선우. (2017). 2017년 장애인 실태조사. 서울: 보건복지부. 

  2. Choung, E. H. (2010).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anger express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gang University, Seoul. 

  3. Case-Smith, J., & O'Brien, J. C. (2015).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St. Louis, Missouri: Elsevier. 

  4. Choi, H. H. (2016). Parents' perception and actual situation of playing childhood earth(Master's thesis). Chongshin University, Seoul. 

  5. Choi, M. S. (1992). A study on young children's play behavior (Doctoral dissertation). Jeonnam University, Gwangju. 

  6. Fogel, A., Shapiro, A. F., Hsu, H. C., & Secrist, C.(2006). Effect of normal and perturbed social play on the duration and amplitude of different types of infant smiles. Developmental Psychology, 42 (3), 459-473. doi:10.1037/0012-1649.42.3.459 

  7. Grossmann, K., Grossmann, K. E., Fremmer-Bombik, E., Kindler, H., Scheuerer-Englisch, H., & Zimmermann, A. P. (2002). The uniqueness of the child-father attachment relationship: Fathers' sensitive and challenging play as a pivotal variable in a 16-year longitudinal study. Social Development, 11(3), 301-337. doi:10.1111/1467-9507.00202 

  8. Hamner, T., & Turner, P. (1985). Parenting in contemporary society. Englewood Cliff, NJ: Pren-tice-Hall. 

  9. Hughes, F. P. (2010). Children, play, and development. California, CA: Sage. 

  10. Hong, S. H. (2016). Psychological exercise interventions based on social experience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resilience of infant mothers effect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Yongin. 

  11. Hong, S. K. (2010). Parents' perception on the play of infants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12. Jang, H. J., & Yun, E. J. (2014). The current status of parental capacity for childrens happiness.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10(2), 295-317. doi:10.14698/ jkcce.2014.10.2.295 

  13. Jo, S. Y., & Park, E. H. (2014). An image of play at a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seen through a child's picture.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18(2), 35-57. 

  14. Jeong, D. Y., & Choi, J. A. (2010). Psychological well-being comparison of parents with disabilities and children with parents. Korea Society for the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26(3), 319-343. 

  15. Kim, J. S. (2000). A study on parent '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early childhood play (Master 's thesis). Gyeonggi University, Suwon. 

  16. Kim, J. W. (2012). A study on par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and actual situations of nature-friendly outdoor activities (Master's thesis). Kunsan National University, Gunsan. 

  17. Kim, K. R. (2003).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ist on stress reduction of parents with disabilities: Focused on mothers (Master's thesis). Wonkwang University, Iksan. 

  18. Kim, K. W., & Lee. I. S. (1998).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 rearing involvement of fathers and children's social-emotional competence.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19(2), 65-75. 

  19. Kim, M. N. (2013). Parents' perception and participation in play for infants and toddlers(Master's thesis). Kangnam National University, Seoul. 

  20. Kim, M. S., Jo, H. R., Park, Y. R., & Sin, H. Y. (2013). The study of parents and children regarding play: Focused on parental play beliefs and play participation. Journal of Parent Education, 5(1), 37-53. 

  21. Kim, Y. S. (1991).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and importance of mother's play(Master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2. Lee, H. J., & Chung, H. W. (2016). The relationship among the parents' play beliefs, play participation and the child's happiness: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s' play participation. The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11(4), 77-95. doi:10.16978/ecec.2016.11.4.004 

  23. Lee, J. H. (1992). Education for the mentally retarded through play. Seoul, Korea. 

  24. Lee. J. Y., & Lee, S. H. (2010). The acquisition of parenting information and knowledge levels of mothers with infants and toddler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1(4), 179-197. 

  25. Lee, S. E., & Lee, J. L. (2010). The moderating role of young children's playfulness and the association between maternal parenting and young children's peer competency.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1(6), 71-85. 

  26. Lee, S. Y., Wui, Y. H., Yoo, J. R., Chyung, Y. J., Lee, Y. A., & Kim, L. J. (2018). The validation of the play participation attitude scale for parents of preschoolers. Korean Journal of Play Therapy, 21(4), 491-507. doi:10.17641/KAPT.21.4.4 

  27. Lee, Y. N., Lee, Y. M., Park, Y. S., Kim, H. S., Beak, H. Y., & Mun, H. J. (2009). Study on the parental perceptions of children's play and multicultural play. A Study on the Transformed Infants Education, 63(1), 77-102. 

  28. Lee, Y. S.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style and children's self-regulation.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 Disorders, 26(3), 63-90. 

  29. Noh, Y. S., Jung, Y. S., & Jang, H. J. (2004). Study on parental perception of preschool children's play. Journal of Human Ecology, 8(2), 87-105. 

  30. Park, H. S. (2003). The comparison of the awareness of children's play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and parents. The Korea Association of Child Care and Education, 35(35), 221-240. 

  31. Park, Y. A., & Kim, R. J. (2011). Childhood play experience, play-related perceptions and child perception of mothers of children between preschool through third grade and their mother-child play condition. Korean Journal of Play Therapy, 14(2), 37-56. 

  32. Pellegrini, A. D. (1995). School recess and playground behavior: Education and developmental roles. Albany, New York: SUNY Press. 

  33. Rothlein, M., & Brett, A. (1987). Children's teacher and parent's perception of play.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 45-53. 

  34. Slade, A. (1987). A longitudinal study of maternal involvement and symbolic play during the toddler period. Child development, 367-375. 

  35. Snarey, J. (1993). How fathers care for the next generation: A four decade study.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36. Won, H. Y. (1998).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level of play and infant's social ability (Master's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37. Yang, K. H. (2001). A study on the marital satisfaction and parenting stress of mothers with children with autism and children with autism(Master's thesis). Honam University, Gwangju. 

  38. Yoon, S. O. (2009) A Study on acceptance factors of internet information upon the evaluation of information value and the level of participatory recognition. Korean Political Communication Association, 14, 85-1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