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의미 있는 활동의 개념과 참여 평가에 관한 고찰: 연구경향과 활용 전망
A Study on the Concept of Meaningful Activity for the Elderly and the Evaluation of Participation: Research Trends and Prospect for Utilization 원문보기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 재활치료과학, v.9 no.4, 2020년, pp.83 - 93  

박다솔 (연세소울 정신건강의학과) ,  박혜연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는 국외/국내 노인 대상 연구 중 현재 사용되고 의미 있는 활동의 개념을 분석하고 의미 있는 활동 참여 평가에 관한 고찰을 통해 추후 연구에서 의미 있는 활동 참여 개념 확립과 평가의 임상적 적용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RISS, Google Scholar, Pubmed, DBpia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2010년 1월부터 2019년 7월까지 게재된 문헌을 수집하였다. 주요 검색어는 "meaningful activity" OR "의미 있는 활동" 을 사용하였으며 182개의 논문 중 최종적으로 10편의 논문이 분석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선정된 논문은 질적 수준 평가를 통해 Level I~ Level V로 분류되었다. 결과 : 10편 중 5편이 최근 5년 이내에 발표된 연구로 의미 있는 활동 관련 연구는 비교적 최근에 시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는 주로 작업치료사에 의해 미국에서 시행되었으며 연구대상은 비질환군 노인, 성인과 질환군 노인이었다.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의미 있는 활동 개념은 '일상생활에서 개인의 가치를 실현하고 목표를 달성하게 하며 긍정적인 감정을 경험하게 하는 활동'으로 정리되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도출된 개념과 평가도구의 방향성은 추후 고령화 사회 노인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으로써의 '의미 있는 활동 참여' 연구에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concepts of current use and meaningful activity in the elderly and provide basic data on establishing concept of participation in meaningful activity and clinical applications. Methods : Using RISS, Google Scholar, Published and DBpia databases, the...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의미 있는 활동에 관한 선행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의미 있는 활동에 관한 연구의 경향과 개념을 명확히 하고 의미 있는 활동 참여 평가도구의 실태와 전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대상으로 선정된 연구는 총 10편이었으며 관련연구 실태와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연구국가, 연구 설계와 규모, 연구자의 전공 등의 일반적 정보를 확인하였으며 의미 있는 활동 참여 평가도구의 종류와 특징을 파악하여 추후 전망을 분석하였다.
  • 선행연구에서도 이러한 도구가 필요하다고 하였지만 현재 의미 있는 활동 참여 평가를 위한 연구는 그 수가 적고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지 알 수 없다(Clarke, Stack, & Martin, 2018; Everard, Lach, Fisher, & Baum, 2000). 본 연구에서는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 중 현재 사용되고 의미 있는 활동의 개념을 정리하고 기존의 의미 있는 활동 참여 평가도구에 관한 고찰과 활용 전망을 분석하여 추후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 중 현재 사용되고 의미 있는 활동의 개념을 정리하고 기존의 의미있는 활동 참여 평가도구에 관한 고찰과 활용 전망을 분석하여 추후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의미 있는 활동에 대한 연구는 여러 국가에서 최근까지 시행되고 있었으며 추후에도 지속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 분석 대상 연구 10편 중 5편에서 ‘의미 있는 활동’의 개념에 대해 서술하거나 인용한 내용을 분석하여 공통된 개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통계청. (2016). 2015년 사망원인통계. Retrieved from https://www.police.go.kr/portal/main/contents. 

  2.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2008).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Domain and practice (2nd ed.).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2, 625-683. doi:10.5014/ajot.62.6.625 

  3. Arbesman, M., Scheer, J., & Lieberman, D. (2008). Using AOTA's Critically Appraised Topic (CAT) and Critically Appraised Paper (CAP) series to link evidence to practice. OT Practice, 13(12), 18-22. 

  4. Bohn, L., Kwong See, S. T., & Fung, H. H. (2018). Preference for emotionally meaningful activity in Alzheimer's disease. Aging & Mental Health, 23(11), 1-8. doi:10.1080/13607863.2018.1506750 

  5. Carstensen, L. L. (2006). The influence of a sense of time on human development. Science, 312(5782), 1913-1915. doi:10.1126/science.1127488 

  6. Clarke, C., Stack, C., & Martin, M. (2018). Lack of meaningful activity on acute physical hospital wards: Older people's experiences. British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81(1), 15-23. doi:10.1177/0308022617735047 

  7. Clark, F. A., Carlson, M. E., & Eakman, A. M. (2010). Factor structure, reliability and convergent validity of the Engagement in Meaningful Activities Survey for older adults. OTJR: Occupation, Participation and Health, 30(3), 111-121. doi:10.3928/15394492-20090518-01 

  8. Dutra, S., Eakman, A. M., & Schelly, C. (2016).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of student veterans with service-related disabilities: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and occupational therapy involvement. Occupational Therapy in Mental Health, 32(2), 146-166. doi:10.1080/0164212X.2015.1104274 

  9. Eakman, A. M. (2011). Convergent validity of the Engagement in Meaningful Activities Survey in a college sample. OTJR: Occupation, Participation and Health, 31(1), 23-32. doi:10.3928/15394492-20100122-02 

  10. Eakman, A. M. (2012). Measurement characteristics of the Engagement in Meaningful Activities Survey in an age-diverse sampl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6(2), doi:10.5014/ajot.2012.001867 

  11. Eakman, A. M. (2013). Relationships between meaningful activity,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meaning in life: Test of the meaningful activity and life meaning model. OTJR: Occupation, Participation and Health, 33(2), 100-109. doi:10.3928/15394492-20130222-02 

  12. Eakman, A. M. (2014). A prospective longitudinal study testing relationships between meaningful activities, basic psychological needs fulfillment, and meaning in life. OTJR: Occupation, Participation and Health, 34(2), 93-105. doi:10.3928/15394492-20140211-01 

  13. Eakman, A. M., Kinney, A. R., & Reinhardt, R. (2019). Participation, meaningful activity, and social support among U. S. student service members/veterans. OTJR: Occupation, Participation and Health, 39(4), 222-231. doi:10.1177/1539449219833351 

  14. Everard, K. M., Lach, H. W., Fisher, E. B., & Baum, M. C. (2000). Relationship of activity and social support to the functional health of older adults.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55(4), 208-212. doi:10.1093/geronb/55.4.S208 

  15. Goldberg, B., Brintnell, E. S., & Goldberg, J. (2002). The relationship between engagement in meaningful activities and quality of life in persons disabled by mental illness. Occupational Therapy in Mental Health, 18(2), 17-44. doi:10.1300/J004v18n02_03 

  16. Jedrziewski, M. K., Lee, V. M. Y., & Trojanowski, J. Q. (2007). Physical activity and cognitive health. Alzheimer's & Dementia, 3(2), 98-108. doi:10.1016/j.jalz.2007.01.009 

  17. Kielhofner, G. (2002). Motives, patterns, and performance of occupation: Basic concepts. In G. Kielhofner (Ed.), Model of Human Occupation (3rd ed., pp. 13-27). Chicago, Illinois: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8. Kim, D. H. (1994). Study on the concept of health promotion.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11(2), 1-17. 

  19. Koralewski, A., Newcomer, A., & Schmelzer, L. (2019). Uncovering aspects of meaningful engagement in relation to time use across varying socioeconomic level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3. doi:10.5014/ajot.2019.73S1-PO1015 

  20. Lee, G. S. (2011).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family function on life satisfaction of the middle-aged and old-aged for the policy implication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16(4), 243-252. doi:10.9708/JKSCI.2011.16.4.243 

  21. Lim, K. C. (2011).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CHAMPS questionnaire for older Korean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3(2), 142-153. 

  22. Lu, Y. Y. F., & Haase, J. E. (2011). Content validity and acceptability of the daily enhancement of meaningful activity program intervention for mild cognitive impairment patient-spouse dyads. The Journal of Neuroscience Nursing: Journal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Neuroscience Nurses, 43(6), 317-328. doi:10.1097/JNN.0b013e318234e9dd. 

  23. Mallinson, T., Niemiec, S. L. S., Carlson, M., Leland, N., Vigen, C., Blanchard, J., & Clark, F. (2014).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activity significance personal evaluation (ASPE n) scale. Australian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61(6), 384-393. doi:10.1111/1440-1630.12155 

  24. Mansbach, W. E., Mace, R. A., Clark, K. M., & Firth, I. M. (2017). Meaningful activity for long-term care residents with dementia: A comparison of activities and raters. The Gerontologist, 57(3), 461-468. doi:10.1093/geront/gnv694 

  25.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17). Resident registration demographics. Retrieved from https://www.mois.go.kr/frt/a01/frtMain.do 

  26. Nam, H. J., Kang, S. J. & Nam, S. I. (2018).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Engagement Meaningful Activity Survey.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73(2), 79-105. doi:10.21194/kjgsw.73.2.201806.79 

  27. Park, Y. Y. (2019). Amendment of the law on supporting the underprivileged housing support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he elderly in accordance with the community care policy.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21, 10(3), 415-430. doi:10.22143/HSS21.10.3.29 

  28. Pergolotti, M., Cutchin, M. P., & Muss, H. B. (2015). Predicting participation in meaningful activity for older adults with cancer. Quality of Life Research, 24(5), doi:10.1007/s11136-014-0849-7 

  29. Petruseviciene, D., Surmaitiene, D., Baltaduoniene, D., & Lendraitiene, E. (2018). Effect of community-based occupational therapy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engagement in meaningful activities of women with breast cancer. Occupational Therapy International, 2018, 1-13. doi:10.1155/2018/6798697 

  30. Reinhardt, R. (2016).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and community participation, meaningful activity participation, and social support for student service members/Veterans. (Doctoral dissertation). Colorado State University, Cololado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