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응급실 간호사의 방사선 방어행위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Radiation Protection Behaviors among Emergency Room Nurses 원문보기

중환자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13 no.1, 2020년, pp.15 - 26  

이수진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실) ,  부선주 (아주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  안정아 (아주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  유미애 (아주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factors affecting radiation protective behaviors among emergency room nurses by assessing knowledge, attitude, and environment for radiation protection. Methods : The study employed a cross-sectional design. Subjects were a convenience sample of 129 nurses work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의 방사선 방어지식, 방사선 방어 태도와 방사선 방어환경이 방사선 방어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의 방사선 방어행위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응급실 간호사를 방사선 피폭으로부터 보호하고자 시도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3개 지역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수행되었기에 그 결과를 확대 적용하는데 주의가 필요하다.
  •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의 방사선 방어행위의 영향요인을 파악해 방사선 피폭으로부터 응급실 간호사를 보호하고 응급실 간호사의 건강증진 및 환경 개선을 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응급실 간호사의 방사선 방어행위의 영향요인은 방사선 방어환경, 방사선 방어 태도와 방어 용구 유무로 나타났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방사선 방어지식, 방사선 방어 태도와 방사선 방어환경이 방사선 방어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방사선 방어행위의 관련 요인들인 방사선 방어지식, 방사선 방어 태도와 방사선 방어환경이 응급실 간호사의 방사선 방어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응급실 간호사의 방사선 방어행위를 높이는 방안 마련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응급실은 빠르고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고 환자의 상태가 시시각각 변하는 곳으로 개방된 공간에서 환자의 상태 변화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는 이동형 X선 발생장치의 사용이 빈번한 곳임에도 불구하고 응급실 간호사의 방사선 방어행위에 관한 연구는 Lee (2014)의 연구 외에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이에 본 연구는 방사선 방어행위의 관련 요인들인 방사선 방어지식, 방사선 방어 태도와 방사선 방어환경이 응급실 간호사의 방사선 방어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응급실 간호사의 방사선 방어행위를 높이는 방안 마련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hoi, J. K., Kim. K. S., Kim, B. K., Ahn, N. J., Kim, H. S., Kim, S. G., & Im, S. E. (2007). Improvement way for mobile X-ray examinations by rule revision about safety management of diagnosis radiation occurrence syste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adiological Technology, 30(1), 53-59. 

  2. Division of Medical Radiation, Korea Center for Disease Prevention. (2018). Status of diagnostic X-ray equipment management in Korea. Retrieved January 25, 2018, from https://www.cdc.go.kr/board/board.es?mida20602010000&bid0034&list_no77809&actview 

  3. Do, K. H. (2011). The health effects of low-dose radiation exposure.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54(12), 1253-1261. 

  4. Gim, A. T., & Bruce, V. E. (2005). Staff exposure to ionizing radiation in a major trauma centre. ANZ Journal of Surgery, 75(3), 136-137. 

  5. Han, E. O. (2008). A protective behavior model against the harmful effects of radiation for radiological technologists in medical cent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6. Hong, S. M. (2014). A study on factors that affect the protective behavior of endoscopy nurses against radiation exposur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7. Hong, S. S., & Kim, D. Y. (2010). Measurement of skin dose distribution for the mobile X-ray unit collimator shielding device. Korean Journal of Digital Imaging in Medicine, 12(1), 5-8. 

  8. Kang, S. G., & Lee, E. N. (2013). Knowledge of radiation protection and the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radiation protection behavior among perioperative nurses. The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0(3), 247-257. 

  9. Kim, B. H., & Kim, H. J. (2017). A Study on knowledge, perception,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on radiation protection among perioperative workers in terms of radiation protec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5), 343-354. 

  10. Kim, H. J. (2010). A study on guidance for medical radiation safety.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1-50. Retrieved December 4, 2019, from http://www.nl.go.kr/nl/search/bookdetail/online.jsp?contents_idCNTS-00067639911 

  11. Kim, J., Kim, J. S., & Kim, H. L. (2016). Factors affecting radiation protection behaviors among operating room nurs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8(6), 680-690. 

  12. Kim, S. U., & Han, B. J. (2018). Shielding capability evaluation of mobile X-ray generator through the production assembled Shiel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12(7), 895-908. 

  13. Kim, Y. J., Ahn, H. C., Sohn, Y. D., Ahn, J. Y., Park, S. M., Lee, W. W., & Lee, Y. H. (2013). Correlation between the portable X-ray and the radiation exposure dose in the emergency department: Cohort Stud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inical Toxicology, 11(2), 101-105. 

  14. Koo, B. Y., & Kim, G. J. (2018). Development of radiation restrictor for secondary radiation shielding of mobile X-ray generator.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41(5), 397-403. 

  15.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2018). 2017 Report occupational radiation exposure in diagnostic radiology. Retrieved December 13, 2018, from http://www.cdc.go.kr/board.es?mida20305050000&bid0003 

  16. Kweon, D. C., Kwon, L. S., Chung, K. S., Hong, M. H., Chung, K. M., & Park. H. J. (1999). A study on the response of nurses to the radiation (on portable). Journal of The Korean Radiological Technologists Association, 25(1), 377-388. 

  17. Lee, Y. J. (2014).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for radiation protection of nurses in university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Seoul, Korea. 

  18. Lee, Y. J. (2018). Occupational radiation exposure and health effects among medical workers.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93(3), 237-246. 

  19. Ministry of Drug and Food Safety. (2006). The interventional radiology guideline. Retrieved April 19, 2010, from https://www.nifds.go.kr/brd/m_15/view.do?seq3153 

  20. Mohamed, K. B., Kam, S. M., Lykhun, U. P., & Pradip, D. (2016). An assessment of nursing staffs' knowledge of radiation protection and practice. Journal of Radiological Protection, 36(1), 178-26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