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테오얀센의 자율적 기계 생명체와 다리 메커니즘
Theo Jansen's Autonomous Mechanical Life and Leg Mechanism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6 no.1, 2020년, pp.23 - 29  

김태은 (동양대학교 공연영상학부)

초록

기계가 움직일 때의 동작들은 일정한 원리에 의해 움직이기 때문에 아무리 복잡하고 다양한 기계라 할지라도 기계의 운동을 지배하는 근원적 원리가 있다. 자율적 움직임은 반복을 피할 수 있고, 더 인간적이며 더 자연적인 요소에 근접하는 길이다. 복제가 아닌 독창적인 움직임은 더더욱 그러하다. 따라서 현재, 기계의 역동성은 인간의 참여에 의해 더욱 다감각적으로 표현될 수 있는 가능성에 도전하고 있으며 사실과 복제의 경계에서 그 표현영역을 점점 확대시키고 있다. 테오얀센의 작품들은 각각의 시기별로 다른 환경에 적응토록 변화하여 그의 수십 년에 걸친 연구는 초기에서 현재까지 계속 진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진화의 초점은 무엇보다 개체를 구성하는 부품들 간의 유기적 결합이 가진 원리로부터 반복되는 원형운동과 수평적 왕복운동이라는 동일한 근원지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the movements of a machine are driven by a certain principle, there is a fundamental principle that governs the movement of the machine, no matter how complex and diverse it may be. Autonomous movements are a way to avoid repetition, to approach more humane and more natural factors. That's all...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탈리아, 스위스, 벨기에 3국이 참여한 swarm-bots 프로젝트[4]에 의하면 여러 대의 로봇들이 각자 흩어져서 정보를 탐색하여 움직이다 장애물이 발견되면 하나로 이어져 장애물을 피해가거나 건너가는 행동패턴들을 수행한다. 이러한 연구들은 로봇이 어떠한 생명체를 모방하여 새로운 생명체를 창조해 나가는 인공생명체로서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러한 예들을 미루어 볼 때, 테오얀센의 20년간 제작된 해변동물(strandbeest)시리즈는 좀 더 자연에 가까우며 생태학적 환경 속에서 인간과 함께 살아갈 수 있는 기능들을 점점 갖추며 진화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인공생명체로써의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http://sdrc.lib.uiowa.edu/dada/De_Stijl/index.htm 

  2. Jansen, T. (2011). Theo Jansen's strandbeest. Retrieved February, 26, 2011. 

  3. Becker, H. (2014). Zoobots: Wild robots inspired by real animals. Kids Can Press Ltd. 28p. 

  4. http://www.swarm-bots.org/ 

  5. Jansen, T. (2007). The great pretender. 010 Publishers. 65p. 

  6. Jansen, T. (2007). The great pretender. 010 Publishers. 149p. 

  7. https://librewiki.net/wiki/%ED%8C%8C%EC%9D%BC:5_wingdatcom.jpg 

  8. Ingram, A. J. (2004). Numerical kinematic and kinetic analysis of a new class of twelve bar linkage for walking machines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Johannesburg). p. 9 

  9. Ingram, A. J. (2004). Numerical kinematic and kinetic analysis of a new class of twelve bar linkage for walking machines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Johannesburg). p. 10-11 

  10. http://www.strandbeest.com/beests_leg.php 

  11. Nam, K. W., Kwon, U. J., & Han, S. C. (2019).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a Robotics curriculum based on.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7(3), 79-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