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SO를 이용한 테오얀센 기반의 보행로봇 다리설계
Design of Leg Length for a Legged Walking Robot Based on Theo Jansen Using PSO 원문보기

한국지능시스템학회 논문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v.21 no.5, 2011년, pp.660 - 666  

김선욱 (경남대학교대학원 첨단공학과) ,  김동헌 (경남대학교 전기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절 기구(bar linkage)형 다관절 보행로봇(multi-legged walking robot)의 최적다리 길이선정을 위하여 입자군집 최적화(PSO: Particle Swarm Optimization) 기법을 사용하였다. PSO 알고리즘을 적용하기 위해서 제안한 보행로봇의 기구학적인 해석이 필요하다. 게 로봇은 4절 링크 이론(four-bar linkage)과 얀센 메커니즘(Jansen mechanism)을 기반으로 설계되었다. 이러한 기구학적인 해석을 바탕으로 로봇의 보행보폭을 정의한다. 그리고 PSO의 학습 및 군집 특성을 이용하여 최대의 보행보폭을 가지는 10개(EA)의 링크(link)길이를 구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각 링크의 위치와 다리 끝단의 보행보폭을 확인할 수 있다. 결과로서, PSO기법이 절 기구형 다관절 보행로봇의 최적다리 길이 선정에 효율적임을 보여 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we proposed a Particle Swarm Optimization(PSO) to search the optimal link lengths for legged walking robot. In order to apply the PSO algorithm for the proposed, its walking robot kinematic analysis is needed. A crab robot based on four-bar linkage mechanism and Jansen mechanism is im...

주제어

참고문헌 (12)

  1. M. Gorner and G. Hirzinger, "Analysis and evaluation of the stability of a biologically inspired, leg loss tolerant gait for six and eight-legged walking robots,"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obotics and Automation, pp. 4728-4735, May 2010. 

  2. Y. Yanagihara, T. Takubo, K. Ohara, and T. Arai, "Optimization of grid wall walking by genetic algorithm," Proc.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echatronics and Automation, pp. 1466-1470, Aug. 2009. 

  3. K. Okada, M. Inaba, and H. Inoue, "Walking navigation system of humanoid robot using stereo vision based floor recognition and path planning with multi-layered body image," Proc. IEEE/RSJ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lligent Robots and Systems, pp. 2155-2160, Oct. 2003. 

  4. 김선욱, 김연균, 정하민, 이세한, 황승국, 김동헌, "얀센키네틱스를 기반으로 한 보행 로봇 개발," 한국 지능시스템학회 논문지, 제 20권, 4호, pp. 509-515, 2010. 

  5. R. L. Norton, Design of Machinery, New York, Mc Graw-Hill, 1991. 

  6. Theo Jansen,"Theo Jansen's strandbeest," Available: http://www.strandbeest.com/, [Accessed: December 7, 2009]. 

  7. D. Giesbrecht, Design and optimization of a one-de gree-of-freedom eight-bar leg mechanism for a walking machine, Canada, University of Manitoba: M. S. Thesis, 2010. 

  8. A. J. Ingram, A new type of mechanical walking machine , South Africa, University of Johannesburg: Ph. D. Thesis, 2006. 

  9. 김선욱, 김동헌, "4절 링크 이론과 얀센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한 보행 로봇의 운동학 해석," 한국지능 시스템학회 논문지, 제 21권, 2호, pp. 159-164, 2011. 

  10. Y. Shi and R. Eberhart, "A modified particle swarm optimizer," Proc.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volutionary Computation, pp.69-73, May 1998. 

  11. T. Cristina, O. Erika, C. Marco, and D. R. Alessandro, "Analysis and Design of a 1-DOF Leg for Walking Machines," Robotics in Alpe-Adria-Danube Region, pp. 183-188, 2006. 

  12. Joe Klann, "Klann linkage," Available: http://www.mechanicalspider.com/index.html, 2010, [Accessed: October 15,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