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류학 관련 학과의 소속 단과 대학과 학과 명칭 및 교과과정에 대한 연구
Research on the Names of Colleges and Departments Affiliated with the Department of Clothing & Textiles and Analysis of Curriculum 원문보기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22 no.2, 2020년, pp.158 - 169  

유화숙 (울산대학교 의류학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urrent status of the curricula of departments related to Clothing & Textiles was checked. The names of colleges and departments affiliated with Clothing & Textiles were also examined. Data on introduction of curricula and subjects disclosed on the website of 60 universities were collected,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의류학의 새로운 교과과정 확립을 위한 기본 연구로 현재의 의류학 교과과정을 이해하고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여 의류학 관련 학과들의 교과과정 현황을 파악하였다. 특히, 현재 의류학이 처한 상황과 지향하는 바를 사실적으로 나타내 줄 수 있는 지표는 소속 단과대학과 학과 명칭이라고 생각되어 의류학이 소속된 단과대학과 의류학 관련 학과 명칭을 살펴보고 학과 명칭이 교과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 본 연구는 의류학의 새로운 교과과정 확립을 위한 기본 연구로 현재의 의류학 교과과정을 이해하고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여 의류학 관련 학과들의 교과과정 현황을 파악하였다. 특히, 현재 의류학이 처한 상황과 지향하는 바를 사실적으로 나타내 줄 수 있는 지표는 소속 단과대학과 학과 명칭이라고 생각되어 의류학이 소속된 단과대학과 의류학 관련 학과 명칭을 살펴보고 학과 명칭이 교과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또한, 다른 대학에서는 개설되지 않은 특이교과목과 미래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화두로 생각되는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하기 위한 교과목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류학이 소속된 단과대학의 비율과 그 변화는 어떠한가? 1993년도 Kim(1993)은 의류 관련 학과가 소속된 단과대학을 조사하였는데, 생활과학대학 전신인 가정대학에 소속된 경우가 가장 많다고 하였다. 그러나 2008년도 65개의 패션 관련 학과를 조사한 결과(Rha et al., 2008)에서는 예술계가 40%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생활과학계 30.7%, 자연과학계 18.7%, 인문사회계 4.6%, 섬유/의류/패션뷰티 6.6%로 나타나 패션 관련 전공은 예술계 소속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고 하였다. 또한, 전국 58개 의류 및 의상 관련 학과를 대상으로 한 연구(Ju et al., 2011), 의복구성 분야 교육과정 분석을 위해 실시된 Kim and Cho(2017)의 연구와 테크니컬 디자이너 양성을 위한 교과 과정에 대한 연구(Kim & Lee, 2017)에서도 예술군에 소속된 비율이 가장 높다고 하였다. 이와 같은 추세는 교육부에서 시행하고 있는 대학 평가 및 프라임 사업 등으로 인한 대학 구조조정 중 단과대학의 통폐합과정에서 생활과학대학 소속의 의류패션 관련 학과들이 예술대학으로 편입된 결과로 생각된다고 하였다.
대학 팽창기는 몇 년대를 지칭하는가? 즉, 대학 팽창기인 198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산업사회 구조는 주로 제조업에 바탕을 두었고 대학교육도 제조업에 종사 할 전문 기술인력 양성과 이를 뒷받침할 사무직 종사자들을 양 성하였었다. 그러나 2000년대 들어서면서 첨단지식산업과 서비스업의 발달은 대학교육에서의 새로운 변화를 요구하기 시작하였고 현대 산업사회에서는 산업구조의 빠른 개편과 더불어 평생 종사할 직업이 7-8개 이상일 것이라고 예견되기도 하였다(Shin, 2016).
의류학의 증설 양상은 어떠한가? 1960년대 가정대학이 설립되면서 가정학은 의생활, 식생활, 주생활, 가정관리 등 계열학과로 분리되어 학문의 세분화, 구체화를 이루었고 1964년 연세대학교 의생활학과를 시작으로 의류학 관련 학과들이 꾸준히 대학에 생겨나면서 의류학 분야의 전문적인 교육체제를 형성하였다(Kim, 1993). 이후 의류학은 발전을 거듭하면서 4년제 대학의 경우 1980년도에는 29개 의류 관련 학과가 생겼고 1991년도에는 49개 의류학과로 증대되었으며(Ministry of Education, 1980 & 1991, as cited in Kim, 1993), 2016년도 의류패션 관련 학과에 대한 교과과정 연구 (Kim & Lee, 2017)에서는 81개 대학을 조사 발표할 만큼 크게 성장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hn, I. S., & Lee, H. J. (2014). A study on the curriculum of fashion design in USA - Focus on the field of clothing construction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15(1), 347-355. 

  2. Choi, S. H. (1994).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in clothing textile science. Sanghwalkwahakyeonkunonchong [생활과학연구논총], 14(1), 103-110. 

  3. Do, K. H., Choi, K. S., Lee, K. O., & Cho, C. (1994). A study on fashion professional education for apparel industry develop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stume, 23, 225-248. 

  4. Hwang, J. S. (2006). Foreign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trend - Fashion marketing field-. Proceedings of the 26th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Fall Conference, Korea, pp. 45-48. 

  5. Ji, H. K., & Lee, S. J. (2017). Trends of research and college education program in fashion marketing : An analysis of JKSC & IJCF, 2006-2015.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7(1), 74-94. doi:10.7233/jksc.2017.67.1.074 

  6. Ju, J. A., Ryu, H. S., & Kim, H. N. (2011).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to industrial wor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5(3), 325-335. doi:10.5850/JKSCT.2011.35.3.325 

  7. Kim, H. S. (1993). A study on the curriculum for the department of clothing and textiles. Yeonkubogo, 16(1), 93-116. 

  8. Kim, K. A., & Cho, K. S. (2017). Analysis of curriculum in the field of clothing construction fashion related courses - Focusing on four-year domestic university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41(2), 242-253. doi:10.5850/JKSCT.2017.41.2.242 

  9. Kim, Y. H., & Lee, J. H. (2017). A study on the related curriculum for preparing technical designers - Focusing on clothing and fashion related courses and graduate school curriculum in domestic university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Design Culture, 23(4), 187-195. 

  10. Kim, Y. I. (2006). Foreign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trend - Design field -. Proceedings of the 26th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Fall Conference, Korea, pp. 42-44. 

  11. Ku, Y. S., Kim. J. W., Park K. A., Park, K. H., & Choo, T. G. (1999). Analysis of fashion curriculum in 4-year colleges: Cross-national comparison of Korea, USA, UK, Japan, & Hong Kong.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7(11), 19-32. 

  12. Lee, H. Y., Lee, J. H., & Chung, K. Y. (1993). A study on the curriculum for the related clothing. Natural Science(Taejon Univ.), 4(1), 117-132. 

  13. Lee, H. Y., & Lee, J. H. (1999). A study on the university curriculum of clothing related sciences in Korea. Journal of Daejeon University, 10(1), 197-204. 

  14. Lee, J. R. (2006). Foreign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trend - Clothing construction field -. Proceedings of the 26th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Fall Conference, Korea, pp. 49-51. 

  15. Lee, Y. L., & Lee, M. Y. (2007). A comparison between the fashion marketing field in university curricula and in research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stume, 57(5), 123-139. 

  16. Ministry of Education. (2019, August 6). A report on the support of university innovation for the response of demographic change and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Retrieved December 10, 2019, from http://www.kcue.or.kr/index.htm 

  17. Naver. (2018, September 1). Academic name encyclopedia. Naver. Retrieved September 1, 2018, from https://terms.naver.com/list.nhn?cid44418&categoryId44418 

  18. Park, J. H. (2006). Foreign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trend - Textile science field-. Proceedings of the 26th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Fall Conference, Korea, pp. 52-54. 

  19. Park, K. H., & Yoo, H. S. (2019). Investigation on current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for curriculum development - Focused on four- year universities in Seoul and Daegu-Gyeongsangbuk-do provinc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9(2), 122-139. doi:10.7233/jksc.2019.69.2.122 

  20. Rha, S. I., Kwaon, H. S., & Lee, J. S. (2008). Analysis of the major curriculum of fashion-related courses.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2(5), 54-66. 

  21. Shin, J. C. (2016, June 7). Structural reform of university and evaluation. Discussion on the University Structural Reform Act,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Retrieved December 11, 2019, from http://www.kcue.or.kr/index.htm 

  22. Woo, J. H., Yoo, H. S., Lee, M. Y., & Jeon, E. K. (2018). Understanding fashion and textiles. Paju: Kyomunsa. 

  23. Yoo, H. A. (2015). A study on the fiber art and textile design training status of university in Korea.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16(2), 323-3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