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기업가형 대학(Entrepreneurial University)을 위한 대학의 창업 성과 영향요인 분석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Entrepreneurial Performance at the University Level for Becoming Entrepreneurial Universities 원문보기

벤처창업연구=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and venturing, v.15 no.2, 2020년, pp.19 - 32  

임한려 (이화여자대학교 인재개발원) ,  홍성표 (서울대학교 진로직업교육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기업가형 대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대학생과 전임교원의 창업 성과를 중심으로 대학 차원의 영향 요인을 구명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5년부터 2018년까지 대학알리미 공시자료를 바탕으로 최소 2개년도 대학생 및 전임 교원 창업자 수에 대한 자료가 확보되어 있는 대학을 대상으로 패널을 구축하였다. 이를 통해 154개 대학의 4개년도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대학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실시하였으며, 이후 자료의 종단적 성격과 분포를 고려하여 패널 음이항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Hausman test를 통해 확률효과를 중심으로 결과를 해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 대학의 창업성과와 변화 추이에 대한 분석 결과, 최근 4년간 대학의 창업 성과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대학생 창업자 수의 증가폭이 더 높았다. 둘째, 대학생의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서 경제적, 교육적 접근이 병행될 필요가 있다. 대학생의 창업을 촉진하는 대학 차원의 요인은 학생 1인당 장학금, 창업 지원금, 창업 강의, 창업 동아리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학교의 개방성 및 지역적 특성이 대학생의 창업을 촉진할 수 있다. 넷째, 전임교원에 대한 연구 환경 조성 및 창업 지원이 이들의 창업 성과를 높일 수 있다. 전임교원의 창업을 촉진하는 대학 차원의 요인은 전임 교원 1인당 연구비, 창업 지원인력 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결론의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가형 대학으로 발전하기 위한 국내 대학 전반의 노력이 요구된다. 둘째, 기업가형 대학으로 변화하기 위해 창업에 대한 직접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기업가형 대학으로서, 지역, 규모에 따른 대학별 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넷째, 대학의 연구 성과를 창업으로 연계할 수 있는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전임교원의 창업에 대한 분위기 마련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factors of the university level centering on the entrepreneurial performance of the university students and full-time faculties in the situation of increasing interest in entrepreneurial universit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은 연구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대학알리미에 공시된 종단자료를 활용하여, 기업가형 대학으로서 국내 대학의 수준을 진단하고, 향후 대학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기업가형 대학의 성과로서 대학의 창업성과와 대학의 창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기업가형 대학을 위한 창업성과 영향요인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이와 같은 연구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대학알리미에 공시된 종단자료를 활용하여, 기업가형 대학으로서 국내 대학의 수준을 진단하고, 향후 대학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기업가형 대학의 성과로서 대학의 창업성과와 대학의 창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기업가형 대학을 위한 창업성과 영향요인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삼중나선 이론을 바탕으로 대학 내부의 자원 간에 발생하는 역동적인 과정에 주목하여 기업가형 대학의 성과(효과성)에 미치는 내부 자원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접근은 기업가형 대학 내부에서 나타나는 복합성과 동태성을 분석하는 틀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기업가형 대학에 대한 적절하고 실질적인 이해와 설명을 제공할 수 있다.
  • 이 연구에서는 국내 대학의 기업가형 대학으로서의 변화 수준을 살펴보기 위해 창업 성과를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대학의 창업 성과를 대표하는 지표와 이러한 창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 이 연구의 목표는 2015년∼2018년 기간 동안 학생과 전임교원의 창업에 미치는 대학 차원의 요인을 분석하는데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기업가형 대학을 위한 대학 창업성과 영향요 인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최근 4년간(2015~2018년) 대학 알리미에 공시된 대학별 종단자료를 활용한 패널 음이항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 설정

  • 다음으로 대학 설립유형은 사립과 국공립 및 특수법인으로 구분하여 창업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투입하였는데, 기술사업화 성과에 있어서 국공립대학이 사립대학보다 더 높은 성과를 보인다는 선행연구 한승환·권기석(2009)의 연구에 따라 국공립대학일수록 대학생 창업성과가 높을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 창업지원 영역은 학생 창업 지원금, 창업 전담 인력 규모, 창업 강의 수, 창업 동아리 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다수의 선행연구에서 대학의 창업지원이 대학생 창업의도, 대학생 창 업자 수와 정적인 영향관계에 있다는 결과에 따라, 학생 창업 지원금, 창업 전담인력 규모, 창업 강의 수, 창업 동아리 수는 학생들의 창업 성과와 정적인 관계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윤용중·박대식, 2015; 이정미·이길재, 2018).
  • 또한 전공과 관련하여 이공계 및 예체능 계열 대학생이 인문사회 계열에 비해 창업 의도가 높다는 선행연구가 존재한다(이윤석, 2017).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대학 내 남학생 비율과 상대적으로 이공계 및 예체능계열 학생들의 재학 비율이 높은 특목고 출신 학생 비율을 대학의 창업 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 또한 대학의 세계화 수준과 학생들의 교육 성취 및 교육의 질적 측면이 창업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는데, 대학의 세계화 수준이 높을수록 개방적인 대학문화를 형성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고, 활발한 해외 교류를 통해 구성원 간 교류를 촉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창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백서인(2017)의 연구에서도 아시아 대학들이 경쟁력을 강화하고 창업 성과를 높이기 위해 세계화에 집중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학생 1인당 장학금은 학생들이 창업에 있어 경제적 제약을 느끼지 않고 자유롭게 도 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대학의 지원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학생 1인당 장학금 액수가 높을수록 대학생 창업성과가 높을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류주희·한유경, 2015; 이원철·최종인, 2017). 학생 1인당 장서 수는 대학의 연구 및 학문 역량을 대표하는 지표로 활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대학이 학생들의 연구와 학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할수록 대학의 창업성과가 높을 것이라는 점에서 학생 1인당 장서 수가 많을수록 대학생 창업성과는 높을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 선행연구에서는 전임교원 1인당 국제 학술지 논문 수와 대학생 창업 성과에 대한 연구 결과가 상반되게 나타나고 있는데, 윤용중·박대식(2015)의 연구에서는 부적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이정미·이길재(2018)의 연구에서는 정적인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전임교원 1인당 국제 학술지 논문 수가 많을수록 대학생 창업성과가 높을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또한 특허 출원 건수로 대표되는 기술 사업화 활동성과가 학생 또는 전임교원의 창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전임교원 1인당 국제 학술지 논문 수가 많을수록 대학생 창업성과가 높을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또한 특허 출원 건수로 대표되는 기술 사업화 활동성과가 학생 또는 전임교원의 창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전임교원 1인당 연구비는 전임교원에게 지원되는 연구 환경을 대표하는 변인으로 연구를 촉진하는 환경에서 전임교원의 창업 성과가 높을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 또한 특허 출원 건수로 대표되는 기술 사업화 활동성과가 학생 또는 전임교원의 창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전임교원 1인당 연구비는 전임교원에게 지원되는 연구 환경을 대표하는 변인으로 연구를 촉진하는 환경에서 전임교원의 창업 성과가 높을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에서 기업가형 대학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이유는? 국외에서 기업가형 대학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는 것에 비해, 국내에서 기업가형 대학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상태이다. 그동안 국내에서 대학에 대한 연구는 주로 대학 구조개혁 및 재정지원 사업 등 정부의 정책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온 경향이 있다(김규태 외, 2010). 이는 중앙집권적이고 하향식으로 추진되어 온 고등교육정책을 5·31 교육개혁을 분 기점으로 대학의 자율권을 보장하고 대학 간 경쟁을 야기하는 정책으로 변화를 추구했음에도 불구하고(신현석, 2018), 여전히 대학의 운영, 평가에 대한 정부의 영향력이 높다는 점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국외 유수의 대학에서 기업 가형 대학을 통한 대학 경쟁력 강화를 추구하고 있고(Clark, 1998, 2001, Gibb Hannon, 2006, O’Reilly Robbins, 2018), OECD(2012)는 대학 평가를 위한 분석 틀로 기업가형 대학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업가형 대학에 대한 연구를 통해 글로벌 교육 환경에서 대학의 생존과 경쟁력 강화를 도모해야 한다.
기업가형 대학이란 어떠한 개념인가? 학자들은 이와 같은 개인 또는 조직의 특성을 ‘기업가 정신(Entrepreneurship)’으로 설명한다. 최근 국내 대학가에서는 기업가정신을 바탕으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 내는 ‘기업가형 대학(Entrepreneurial University)’ 이라는 개념이 각광받고 있다(한국대학신문, 2018). 미국의 스탠퍼드, 하버드, MIT 등 유수의 대학은 이미 기업가형 대학으로 운영되고 있고, 세계적 명문으로 손꼽히는 옥스퍼드 대학도 창업지원 체계 구축, 창업에 대한 우호적 문화 확산 등을 바탕으로 기업가형 대학으로 변화를 추구하고 있다.
대학생과 전임교원의 창업 성과로는 무엇이 있는가? 구체적으로 대학생의 창업 성과는 창업 기업의 수, 창업자 수, 창업기업 매출액 등으로 연구되었으며, 전임교원의 창업 성과는 전임교원 창업 기업 수, 창업자 수, 창업기업 매출액, 기업의 특허 및 기술제휴 건수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대학생과 전임교원의 창업성과를 측정함에 있어 기업, 창업자, 기업의 매출액과 같은 정량적인 지표를 활용하는 경향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Beak, S. I.(2017). Comparative Research on University Start-up Policy: Tsinghua University, Tokyo Institute of Technology and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Cases. Asia Pacific Journal of Small Business, 39(3), 93-116. 

  2. Byun, C. R.(2004). Assessing the Impact Factors on the Performance of University-Industry Research Collaboration: Focusing on the Research Function of Universities. Doctoral dissert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3. Charney, A., & Libecap, G. D.(2000). Impac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p. 45-60). Kansas City, MO: Kauffman Center for Entrepreneurial Leadership. 

  4. Cho, S. E.(2015). Factors Affecting University Students' startup Intention: Comparative study on Korean and Chinese Universities. Journal of the Korean Entrepreneurship Socieity, 10, 130-152. 

  5. Choi, D. S., & Sung, C. S.(2017). Effect of Entrepreneurial Competencie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IT Competency, Creativity Competency, Social Competency, Market Perception Competency.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2(1), 101-109. 

  6. Chung, J. Y., Sun, M. S., & Kim, H. J.(2017). Analysis of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the Crisis University.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35(4), 47-72. 

  7. Clark, B. R.(1998). The entrepreneurial university: Demand and response. Tertiary Education and Management, 4(1), 5-16. 

  8. Clark, B. R.(2001). The entrepreneurial university: New foundations for collegiality, autonomy, and achievement. Higher Education Management, 13(2). 

  9. Department of Education(2018). The 2nd University Entrepreneurship Five-Year Plan. Press release. 

  10. Gibb, A., & Hannon, P.(2006). Towards the entrepreneurial university. International Journal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4(1), 73-110. 

  11. Han, S. H., & Kwon, K. S.(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Funding Structure, and Knowledge-Transfer Performance of Korean Universities Engaged in Science and Engineering.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43(3), 307-325. 

  12. Hostager, T. J., & Decker, R. L.(1999). The effects of an entrepreneurship program on achievement motivation: A preliminary study. SBIDA, San Francisco, CA: Small Business Institute Director's Association, in http://www.sbaer.uca.edu/Research/1999/SBIDA/sbi28.htm. 

  13. Jang, D. H.(2009). A Study on the Analysis and Trend of the Higher Education Reform of EU. Korean Journal of Comparative Education, 19, 123-146. 

  14. Kim, B. J., & Seo, H. J.(2013). Analysis on Student and University Variables Affecting First Employment of College Graduates. The Journal of Economics and Finance of Education, 22(4), 243-268. 

  15. Kim, C. H., & Lee, S. D.(2007). A Study on Relationships between Performance of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s and Competency Factors of University.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10(2), 629-653. 

  16. Kim. J. U.(2017). An Analysis on the Effects of University Capacity and Resources on the Professor Startups Performance.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20(3), 642-663. 

  17. Kim, K. H.(2005). Effects of Institutional Environments and Strategic Resources of University TLOs and nterprises of o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Doctoral dissert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18. Kim, K. T., Sohn, B. R., & Lee, S. Y.(2010). An Analysis and Reflection of Higher Education Research Published in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8(3), 181-204. 

  19. Kim, Y. J.(2014).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University's Technology-based Startups and Supporting Policy. KISTEP. 

  20. KISTEP(2016). US University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 Policy Change. KISTEP. 

  21. Lee, J. M., & Lee, G. J.(2018).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n University Entrepreneurship Performance. Korean Education Society Conference Papers. 3-19. 

  22. Lee, Y. S.(2017). Key to technology startup. SCIENCE & TECHNOLOGY POLICY, 27(8), 62-67. 

  23. Lee, W. C., & Choi, J. I.(2017). A Study on the Direct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Universities linked to Community.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12(6), 89-98. 

  24. Leydesdorff, L.(2012). The Triple Helix of University-Industry-Government Relations (February 2012). Encyclopedia of Creativity,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 New York: Springer. 

  25. McGregor, S. L.(2015). Transdisciplinary entrepreneurship and transdisciplinary ethics. Journal of Ethics & Entrepreneurship, 5(2), 113-121. 

  26. Soares, V. A., & Amaral, A. M.(1999). The entrepreneurial university: A fine answer to a difficult problem?. Higher Education in Europe, 24(1), 11-21. 

  27. OECD(2012). A guiding Framework for Entrepreneurial University. version 18th. 

  28. O'Reilly, N. M., & Robbins, P.(2018). Dynamic capabilities and the entrepreneurial university: a perspective on the knowledge transfer capabilities of universities. Journal of Small Business & Entrepreneurship, 1-21. 

  29. Park, J. S., & Hong, H. J.(2009). Educational Performance and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The Journal of Economics and Finance of Education, 18(1), 59-80. 

  30. Park, S. I., Kim, J. H., Jo, C. S., & Ryu, J. S.(2016). Analysis on the Employment Effect of the Policy for University Entrepreneurship Education Ecosystem.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19(2), 109-136. 

  31. Peterman, N. E., & Kennedy, J.(2003). Enterprise education: Influencing students' perceptions of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28(2), 129-144. 

  32. Rinne, R., & Koivula, J.(2005). The changing place of the university and a clash of values the entrepreneurial university in the European knowledge society a review of the literature. Higher Education Management and Policy, 17(3), 91. 

  33. Rothaermel, F. T., Agung, S. D., & Jiang, L.(2007). University entrepreneurship: a taxonomy of the literature. Industrial and corporate change, 16(4), 691-791. 

  34. Ryu, J. H., & Han, Y. K.(2015). Study of the Effect of Scholarship on the Persistence and Performance of Low Income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33, 1-13. 

  35. Shattock, M.(2005). European universities for entrepreneurship: Their role in the Europe of knowledge the theoretical context. Higher Education Management and Policy, 17(3), 13. 

  36. Shin, H. S.(2018). An Analysis of Moon Jae-in Administration's Higher Education Policy and Its Tasks According to the Policy Environment Changes. The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 31, 227-272. 

  37. Slaughter, S., & Leslie, L. L.(1997). Academic capitalism: Politics, policies, and the entrepreneurial university.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715 North Charles Street, Baltimore, MD 21218-4319. 

  38. Yi, P. N.(2015). Examining Accountability of Higher Education in South Korea: A Value-added Model.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33(2), 343-368. 

  39. Yoon, G. S.(2016.3.23.). Oxford, England has also transformed into an entrepreneurial university. Korean Economic, Retried from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6032320071. 

  40. Yoon, Y. J., & Park, D. S.(2015). The Impact of the University's Capacity for the Industry-Academia Collaboration on the Performance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Journal of Social Science, 26(3), 157-177. 

  41. 이용준.정기철.장병열.김선우.이민규.김영훈.김서균.정우진.이승호(2012). 기업가 정신 고취를 통한 기술창업 활성화 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