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이용한 스마트도시계획이 도시동태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안양시를 중심으로
The Effect Analysis of Smart City Planning on Urban Dynamics Using System Dynamics Method - Focused on Anyang-city, Korea 원문보기

한국측량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38 no.1, 2020년, pp.57 - 67  

이미숙 (Dept. of Urban Information Engineering, Anyang University) ,  여관현 (Dept. of Public Administration, Anyang University) ,  김창훈 (Dept. of Industrial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스마트도시는 교통, 환경, 안전, 에너지 등 다양한 도시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도시의 개념, 동향, 정책 및 법제도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는데 비해서, 도시의 성장·정체·쇠퇴 과정 등 전 단계를 고려한 동태적 관점에서 스마트도시 서비스가 실제로 도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도시를 인구, 산업, 교통, 환경, 주택, 토지 등의 하위 구성요소들이 상호간에 밀접하게 상호작용 하는 하나의 전체 시스템으로 보는 시각을 바탕으로, 도시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시스템 다이내믹스 기법을 활용하여 안양시의 도시동태성이 장기적으로 어떠한 행태로 나타나는지 규명하고, 안양시의 스마트도시계획 등 관련 사업예산 투자가 도시동태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안양시는 성숙·안정형 도시에 해당되며 2040년까지 인구가 서서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안양시 인구는 2030까지 55만3천명 수준으로 감소하고 2040년까지 54만3천명 수준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양시 스마트도시계획(안)에 따라 스마트도시 사업예산을 투입하면 투자하지 않을 경우에 비해서 인구감소 완화, 사업체수 증가, 도시안전지수 개선, 평균 주행속도 개선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는 2040년 기준으로 예산 투입 이전보다 4000명 정도 증가하고 사업체수는 761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스마트도시 관련 정책의 효과를 파악하고 예측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smart cities are attracting attention as a solution for a plethora of urban problems, including transportation, environment, safety, and energy. However, despite a substantial body of research dealt with the concept, trends, policy, and legal institutions of smart cities, few researchers h...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 다이내믹스 기법을 이용하여 안양시를 대상으로 도시 시스템의 하위 구성요소와 이들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고, 도시의 인과순환적 피드백루프에 의해서 도시동태성이 장기적으로 어떠한 행태로 나타나는가를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규명한 인과순환적 피드백구조를 시뮬레이션 모형으로 구축하고 정책 모의실험을 수행하여 안양시의 스마트도시계획 등 관련 사업예산 투자가 안양시의 도시동태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안양시의 도시동태성을 파악하기 위한 인과지도를 작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시뮬레이션 모형을 구축하여 안양시의 스마트도시 정책효과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그러나, 도시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상호 작용하는 매우 복잡한 시스템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모형에 반영되지 않은 주요 변수들이 존재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2010년을 시뮬레이션 시작년도로 설정하고 2040년까지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수들의 변화와 시스템의 행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변수의 초기값은 2010년을 기준으로 입력한 후 30년간의 변화 패턴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산업 부문, 교통 부문, 안전 부문, 환경 부문으로 투입되는 예산을 구분하여 기본모형에 예산투입시 안양시 도시동태성에 어떠한 변화가 발생하는지 예산 투입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산업 부문의 스마트도시 서비스는 주로 일자리 정책으로 창의교육 프로그램, 청년 공유 오피스, 일자리 스튜디오, 생생 체험서비스 등이며 25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 다이내믹스 기법을 이용하여 안양시를 대상으로 도시 하위 구성요소인 인구, 산업, 안전, 환경, 토지, 교통, 주택 부문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고, 도시의 인과순환적 피드백루프에 의해서 도시동태성이 장기적으로 어떠한 행태로 나타나는가를 분석하였다. 또한 안양시 도시동태성 모형을 구축하고 정책실험을 수행하여 안양시의 스마트도시계획 등 관련 사업예산 투자가 안양시의 도시동태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 다이내믹스 기법을 이용하여 안양시를 대상으로 도시 시스템의 하위 구성요소와 이들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고, 도시의 인과순환적 피드백루프에 의해서 도시동태성이 장기적으로 어떠한 행태로 나타나는가를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규명한 인과순환적 피드백구조를 시뮬레이션 모형으로 구축하고 정책 모의실험을 수행하여 안양시의 스마트도시계획 등 관련 사업예산 투자가 안양시의 도시동태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lfeld, L.E. and Graham, A.K. (1976), Introduction to Urban Dynamics, Wright-Allen Press, Incorporated, Cambridge, U.K 

  2. Anyang-city. (2017), 2030 Anyang City Master Plan, Anyang City Planning Division, Anyang, Korea. 

  3. Bertuglia, C.S., Leonaridi, G., and Wilson, A.G. (1987), Urban Dynamics : Designing an Integrated Model, Routledge, London, U.K. 

  4. Choi, N.H. (2003), A system dynamics approach in analyzing the dynamics of Seoul metropolitan and finding policy leverages, Korean Public Adminstration Review, Vol. 37, No. 4, pp. 1-3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Forrester, J.W. (1969), Urban Dynamics, M.I.T. Press, Boston, M.A. 

  6. Jeon, Y.S. (2003), A Study on the Development Density Control for Urban Growth Management,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262p. 

  7. Kim, D.H. (2004), Systems Thinking, Sunhaksa Co., Seoul. 

  8. Kim, D.H., Moon, T.H., and Kim, D.H. (1999), System Dynamics, Dae Young Co., Seoul. 

  9. Kim, H.G. and Yi, M.S. (2018), A study on the connectivity between smart city planning and smart city planning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36, No. 6, pp. 601-60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Lee, J.Y. and Han, S.H. (2019), An investigation of a smart city policy change and local government response, Journal of the Korean Urban Geographical Society, Vol. 22, No. 2, pp. 1-1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Lee, Y.H. and Kim, S.R. (2019), Policy and legislative studies on smart city construction, Law Review, Vol. 19, No. 4, pp. 163-20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Lewis, C.D. (1982), Industrial and Business Forecasting Methods, Butterworth Scientific, Boston, M.A. 

  13. Moon, T.H. (2002a), Issues and methodological status of system dynamics, Korean System Dynamics Review, Vol. 3, No. 1, pp. 61-7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Moon, T.H. (2002b), Evaluation of urban growth management policy using urban dynamics model, Korean System Dynamics Review, Vol. 3, No. 2, pp. 5-2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Moon, T.H. (2007), Sustainable City from a System Thinking, Jipmoondang Co., Seoul, Korea. 

  16. Oh, S.U. and Byeon, B.S. (2016), Dynamics analysis of urban functions of the old downtown of Incheon by using system dynamics, 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 Vol. 50, No. 2, pp. 227-23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Park, E.A. (2010), Evaluation of Urban Growth Management Measures Using Urban Dynamics Model-Focused on the case of Namyangju,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eoul, Seoul, Korea, 109p. 

  18. Park, Y.J. (2008), Study on Application of Urban Dynamics Model to Daejeon Metropolitan City, Master's thesis, Hannam University, Seoul, Korea, 89p. 

  19. Richardson, G.P. and Pugh, A.L. (1981), Introduction to System Dynamics Modeling with Dynamo, The MIT Press, Cambridge, M.A. 

  20. Saeed, K. (1998), Towards Sustainable Development: Essays on System Analysis of National Policy, Ashgate Publishing, Burlington, V.T. 

  21. Sancar, F. and Onaran, K.S. (1997), Modeling the dynamics of informalization in land use controls: using system dynamics to formulate research in land use planning, University of Colorado Proceedings for the 15th International System Dynamics Conference, 19-22 August, Istanbul, Turkey, pp. 219-222. 

  22. Yi, M.S. (2018), A structural analysis between overseas opening of geospatial information and the promotion of geospatial information industry using the systems think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36, No. 4, pp. 213-22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