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담론적 역량 개발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에서 예비수학교사의 인식 분석
An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Cognition in Curriculum for Developing their Discursive Competency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v.34 no.2, 2020년, pp.41 - 68  

김동중 (고려대학교) ,  최상호 (고려대학교) ,  이주희 (고려대학교 대학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담론적 역량 개발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한 예비교사의 수업 계획과 수업 실행 간 관계 및 수업 과정에서 요구되는 담론적 역량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예비수학교사 15명을 대상으로 담론적 역량 개발을 위한 [수학교수론]을 경험하게 하고, 직접 수업을 실행하고 담론을 분석하는 과정을 포함한 파이널 프로젝트를 연구 자료로 수집·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교사들은 예상치 못한 교수·학습 상황을 경험함으로써 수업 계획과 수업 실행 간 차이를 인식하였으며, 프로그램을 통해 학습한 담론적 역량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자신의 수업과 연결시켜 반성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식과 실행을 통합하는 교수법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담론적 역량의 존재가능성과 이를 함양해야 하는 중요성과 필요성을 수학교사가 인식하는 데 기여했다고 볼 수 있으며, 향후 담론적 역량 개발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실질적인 아이디어를 제공하였다고 볼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gnition of per-service teachers, who experienced a teacher education process for developing their discursive competency, about relations between class plan and class practice as well as discursive competency required in class process. For this purpose, 1...

주제어

표/그림 (23)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사가 관여하는 가장 전문적인 활동 중 하나인 수업 계획은 무엇인가? 수업 계획은 교사가 관여하는 가장 전문적인 활동 중 하나로(Young, Reiser, & Dick, 1998), 실제 수업을 운영하기 위해 교사가 설계한 결과물이자 수업 과정에 대한 가이드라인이라고 볼 수 있다. 수업 계획은 ‘단순히 어떤 수학 내용을 가르칠 것인가?’라는 질문보다 다차원적인 것으로, 수업 목표와 학습 내용뿐만 아니라 관련 교수 · 학습 활동 순서, 수업 형태를 결정하고, 미시적으로는 특수 상황에서의 교수상의 유의점, 제시할 문제 혹은 발문은 무엇인지, 나아가 학생 입장에서 생각할 수 있는 개념까지도 망라하는데, 이에 관하여 교사가 심사숙고할수록 양질의 수업이 계획될 가능성은 높아진다.
전통적 관점에서 교사의 수업 전문성은 어떻게 결정됐는가? 전통적인 관점에서 우리가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교사의 수업 전문성은, 교사가 주도적으로 개념을 제시하면 학생은 이를 수용한다는 일방향적인 교사 중심 수업의 특성으로 인해, 교과 내용 지식을 얼마나 많이 함양하고 있는가에 따라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이후 Shulman(1986)에 의해 교과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지식 또는 전략으로 보는 교수학적 내용 지식(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이하 PCK)이 등장하면서 교과 내용 지식 이외에 고려해야 할 교수적 차원의 지식에 대해 인식하게 되었고, 수학 교육학에서도 PCK가 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소라는 점을 이론적․실제적 연구를 통해 보이면서, 자연스럽게 PCK는 교수를 위해 교사가 함양해야 할 지식으로 강조되었다(곽주철, 류희수, 2008; 김방진, 류성림, 2011; 김보민, 류성림, 2011; 김성경, 2015; 안선영, 방정숙, 2006; 최승현, 황혜정, 2008; Ball, Thames, & Phelps, 2008; Marks, 1990; Tatto, Schwille, Senk, Ingvarson, Peck, & Rowley, 2008).
교사의 담론적 역량이란? 다양한 소통을 통한 교수․학습이 강조됨에 따라(교육부, 2015; NCTM, 2000) 수업 과정에서 교사를 비롯한 학생들의 담론이 양산되는 의사소통 활동은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교사의 담론적 역량이란 이 과정에서 학생들의 유의미한 담론을 조성할 수 있도록 담론적 전략과 실행을 구사하는 역량이라고 볼 수 있다(최상호, 2018). 교사가 교수를 위한 담론적 역량을 개발한다면, 수업 과정에서 학생들의 담론 형성을 조성하고 소통을 촉진시키며 다양한 의견을 공유하는 학습을 유도할 수 있는 능력이 발달할 수 있음을 의미하므로, 궁극적으로 지식을 바탕으로 실행을 통합하는 교수법을 실현함으로써 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신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Kwak, J., & Ryu, H. (2008).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CK of teachers on plane figure and their educational practice, School Mathematics, 10(3), 423-441. 

  2. Ministry of Education (2015), Researchers in the Curriculum Development Policy fo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3rd Workshop book, Ministry of Education. 

  3. Kim, D.-J., Shin, J., Lee, J., Lim, W., Lee, Y., & Choi, S. (2019). Conceptualizing discursive teaching capacity: A case study of a middle school mathematics teacher, School Mathematics, 21(2), 291-318. 

  4. Kim, M. J. (2012). A comparative analysis of Teacher's PCK(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n similar figures and classroom practices,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5. Kim, B., & Ryu, S. (2011). An analysis of the PCK of teachers and their educational practice about division of decimals,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15(3), 533-557. 

  6. Kim, B., & Ryu, S. (2011). Comparative analysis of teachers' PCK and their educational practice about fraction, School Mathematics, 13(4), 675-696. 

  7. Kim, S. K. (2015).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of mathematics classes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revealed in classes, Doctorate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8. Pang, J. (2001). A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eaching methods of a mathematics teacher.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12, 331-347. 

  9. An, S., & Pang, J. (2006).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teaching practice: Focusing on the area of plane figur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16(1), 25-41. 

  10. Jung, J. W. (2015). Analysis on the inconsistency between pre-service secondary science teachers' lesson plans and their teaching practices,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11. Jin, S. M. (2012). Analysis on mathematical communication and questioning types in the videos of excellent classes of middle schools,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2. Choi, S. H. (2018). Mathematics teachers' discursive competency -Based on the formation process of social norm and sociomathematical norm-, Doctorate thesis, Korea University. 

  13. Choi, S., Ha, J., & Kim, D.-J. (2016). A communicational approach to mathematical process appeared in a peer mentoring teaching method,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30(3), 375-392. 

  14. Choi, S., & Kim, D.-J. (2017). Effects of a communicational approach to teacher education on cognitive changes in mathematical beliefs,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3(4), 25-50. 

  15. Choi, S., & Kim, D.-J. (2019). A mathematics teacher's discursive competence on the basis of mathematical competencies,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33(3), 377-394. 

  16. Cheo, S., & Hwang, H. (2008). The research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athematics teaching,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1(4), 569-593. 

  17. Choi, Y., Choi, S., & Kim, D.-J. (2014). An investigation of beginning and experienced teachers' PCK and teaching practices -Middle school functions-,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7(2), 251-274. 

  18. Ball, D. L., Thames, M. H., & Phelps, G. (2008). Content knowledge for teaching: What makes it special?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59(5), 389-407. 

  19. Cochran, K. L., DeRuiter, J. A., & King, R. A. (1993). Pedagogical content knowing: An integrative model for teacher prepar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4(4), 263-272. 

  20. Marks, R. (1990).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rom a mathematical case to a modified concep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1(3), 3-11. 

  21. Merriam, S. B. (2010). 정성연구방법론과 사례연구, (강윤수, 고상숙, 권오남, 류희찬, 박만구, 방정숙, 이중권, 정인철, 황우형 역). 서울: 교우사. (영어초판은 1988년 출판). 

  22.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CTM. 

  23. Sfard, A. (1998). On two metaphors for learning and the dangers of choosing just one, Educational Researcher, 27(2), 4-13. 

  24. Sfard, A. (2008). Thinking as communicating: Human development, the growth of discourses, and mathematizing.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 Shulman, L. S.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2), 4-14. 

  26. Smith, J. P., diSessa, A. A., & Roschelle, J. (1993). Misconceptions reconceived: A constructivist analysis of knowledge in transition.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3(2), 115-163. 

  27. Smith, M. S., & Stein, M. K. (2011). 5 practices for orchestrating productive mathematics discussion. Reston, VA: NCTM. 

  28. Tatto, M. T., Schwille, J., Senk, S., Ingvarson, L., Peck, R., & Rowley, G. (2008). Teacher education and development study in mathematics(TEDS-M): Policy, practice and readiness to teach primary and secondary mathematics, East Lansing, MI: Teacher Education and Development International Study Center, College of Education, Michigan State University. 

  29. Vygotsky, L. S. (1986). Thought and language. Cambridge, M. A.: MIT Press. 

  30. Wittgenstein, L. (1953/2003).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The German text, with a revised English translation(3rd ed., G. E. M. Anscombe, Trans.). Malden, MA: Blackwell. 

  31. Yackel, E., & Cobb, P. (1996). Sociomathematical norms, argumentation, and autonomy in mathematic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7(4), 458-477. 

  32. Young, A. C., Reiser, R. A., & Dick, W. (1998). Do superior teachers employ systematic instructional planning procedures? A descriptive study.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46(2), 65-7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