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녹두(Phaseolus aureus L.) 급여가 당뇨 유발 흰쥐의 혈당 및 지질성분 개선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ung Bean (Phaseolus aureus L.) on Blood Glucose and Lipid Composition Improvement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37 no.2, 2020년, pp.162 - 172  

박시우 (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한수 (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녹두(Phaseolus aureus L.)가 당뇨 유발 흰쥐에 있어서 혈당 및 지질성분, 단백질, 전해질 농도 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기본 식이를 섭취시킨 BD군, 기본 식이군에 5% 녹두 급여군(BM군), 당뇨 유발 실험군(BS군)과 BS군에 5% 녹두를 섭취시킨 실험군(SM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수행하였다. 혈청 지질성분(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중성지질, 인지질, 유리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 에스테르), 혈당 및 유리지방산(non esterified fatty acid, NEFA)의 농도와 동맥경화지수(atherosclerotic index, AI), 심혈관 위험지수(cardiac risk factor, CRF)는 당뇨 유발군에서 여타 실험군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증가를 나타내었고(p<0.05), 5% 녹두 급여군에서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뇨유발군인 BS군에 비해 5% 녹두를 첨가시킨 SM군에서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HDL-콜레스테롤) 및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의 농도 비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증가를 나타내었다(p<0.05). 혈청 단백질 농도에 있어서, 당뇨 유발군(BS군)에 5% 녹두를 급여(SM군)한 흰쥐의 혈청 알부민(albumin) 농도와 알부민/글로불린 비(albumin/globulin ratio, A/G 비)는 증가 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나트륨(Na) 및 염소(Cl)는 SM군에서 BS군 보다 농도가 감소된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 5% 녹두는 흰쥐의 혈당 및 지질대사 기능 개선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rovement effect of 5% mung bean (phaseolus aureus L.) on the blood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function of streptozotocin (STZ, 45 mg/kg body weight)-induced diabetic rats. Seven-week-old male ra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n=6), and fed expe...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녹두의 선행연구로는 이소플라본(isoflavone)과 항산화 및 혈전용해 활성[16], 항염증 및 항비만활성[17,18], 녹두 껍질에 함유된 vitexin과 isovitexin 항산화 활성[19,20] 등의 기능성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당뇨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5% 녹두 급여가 streptozotocin (STZ)으로 유도된 Sprague Dawley계 당뇨성 흰쥐의 혈당 저하와 지질성분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후,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 방안을 제공하기 위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가설 설정

  • 2)The data are presented as mean±SD of 6 independent rats.
  • 3)The data are presented as mean±SD of 6 independent rats.
  • 7)The data are presented as mean±SD of 6 independent rat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당뇨병이 합병증을 유발하는 원인과 증상? 제 2형 당뇨병은 다양한 원인에 고혈당을 나타내는 질환으로 인슐린 저항성을 공통적 특성으로 보인다. 또한, 고혈당이 오래 지속될 경우 혈관손상으로 혈관질환 등의 합볍증이 유발될 수 있으며, 특히 혈중 중성지질 및 LDL-콜레스테롤, 과산화물의 증가, HDL-콜레스테롤의 감소 등에 의하여 지질대사와 함께 모세혈관의 상피세포막이 두꺼워져 심장 순환 기계질환(Coronary Heart Disease, CHD)등 많은 합병증 유발이 문제시 되고 있다[3-5]. 지질 및 당질, 단백질 대사 장애와 고혈당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은 신체의 모든 세포에 필수적인 생화학적 과정에 영향을 주며,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6],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의하면 당뇨병 유병률은2005년 9.
녹두(Phaseolus aureus L.)는 무엇인가? 녹두(Phaseolus aureus L.)는 콩과(Leguminosae)에 속하는 1년생 작물로서 인도와 미얀마가 원산지로 주로 아열대 기후에서 생육하며[12,13], 당질 45~62%, 조단백질 20~28%, 조지방이 1~3%함유되어 있고, 아미노산 중 arginine, glutamicacid, asparagine 은 풍부하며 methionine, tyrosine, isoleucine 등은 소량 존재하고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14]. 또한, 녹두는 대두나 강낭콩 등에 비하여 무기질, 비타민, 아미노산, 플라보노이드, 페놀성 화합물 등 기능성 성분이 다량 함유 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5].
당뇨병의 분류? 당뇨병은 자가 면역반응에 의한 췌장 β cell의 기능 상실에 의해 발생하는 제 1형 당뇨병과 인슐린 저항성과 함께 β cell의 기능부전으로 발생하는 제 2형 당뇨병으로 분류되는데, 제 2형 당뇨병이 전체 환자의 90-95%를 차지한다[1,2].제 2형 당뇨병은 다양한 원인에 고혈당을 나타내는 질환으로 인슐린 저항성을 공통적 특성으로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M. A. Connelly, J. D. Otvos, Q. Zhang, S. Zhang, C. J. Antalis, A. M. Chang, B. J. Hoogwerf, "Effects of hepato preferential basal peglispro on nuclear magnetic resonance biomarkers lipoprotein insulin resistance index and GlycA in patients with diabetes", Biomark. Med., Vol.11, No.11 pp. 991-1001, (2017). 

  2. S. M. Kim, D. K. Yoon, J. S. Lee, J. Lee, J. K. Na, J. H. Han, S. H. Baik, D. S. Choi, K. M. Choi, "Prevalence of diabetes and impaired fasting glucose in Korea", Diabetes Care., Vol.29, No.2 pp. 226-231, (2006). 

  3. A. V. Tol, "Hyperglyceride in the diabetic rats effective removal of serum very low density lipoprotein", Atherosclerosis Diabetes Care, Vol.26, No.1 pp. 117-128, (1977). 

  4. A. E. Butler, J. Janson, S. Bonner-Weir, R. Ritzel, R. A. Rizza, P. C. Butler, " ${\beta}$ -cell deficit and increased ${\beta}$ -cell apoptosis in humans with type 2 diabetes", Diabetes, Vol.52, No.1 pp. 102-110, (2003). 

  5. E. Selvin, S. Marinopoulos, G. Berkenblit, T. Rami, F. L. Brancati, N. R. Powe, S. H. Golden, "Meta-analysis: glycosylated hemoglobin and cardiovascular disease in diabetes mellitus", Ann. Intern. Med., Vol.141, No.6 pp. 421-431, (2004). 

  6. S. Ramachandran, A. Rajasekaran, N. Adhirajan, "In vivo and in vitro antidiabetic activity of Terminalia paniculata bark : an evaluation of possible phytoconstituents and mechanisms for blood glucose control in diabetes", ISRN. Pharmacol., Vol.2013, No. pp. 1-10, (2013). 

  7. Korean Diabetes Association, "Diabetes fact sheet in Korea 2018", Korean diabetes association, Seoul, Korea, (2018). 

  8. R. J. Pickering, C. J. Rosado, A. Sharma, S. Buksh, M. Tate, J. B. Haan, "Recent novel approaches to limit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ion in diabetic complications", Clin. transl. Immunoligy., Vol.7, No.4 pp. 1-20, (2018). 

  9. D. H. Kang, E. M. Park, J. H. Kim, J. W. Yang, J. H. Kim, M. Y. Kim, "Bioactive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jeju camellia mistletoe (Karthalsella japonica Engl.)", J. Life Sci., Vol.26, No.9 pp. 1074-1081, (2016). 

  10. E. J. Kim, J. Y. Choi, M. R. Yu, M. Y. Kim, S. H. Lee, B. H. Lee, "Total polyphenols,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itivity of korean natural and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44, No.3 pp. 337-342, (2012). 

  11. J. L. Rios, F. Francini, G. R. Schinella, "Natural products for the treatment of type 2 diabetes mellitus", Planta. Med., Vol.81, No.12-13 pp. 975-994, (2015). 

  12. Y. A. Gu, S. Y. Jang, N. Y. Park, C. R. Mun, O. M. Kim, Y. J. Jeong, "Property changes of mung bean depending on hydrolysis conditions", Korean J. Food Preserv., Vol.13, No.5 pp. 563-568, (2006). 

  13. D. K. Kim, S. U. Chon, K. D. Lee, K. H. Kim, Y. S. Rim, "Effect of seeding times on yield and flavonoid contents of mungbean", Korean J. Crop Sci., Vol.53, No.3 pp. 273-278, (2008). 

  14. Y. G. Lee, S. W. Bark, H. S. Kim, "Physicochemical propreties of the mung bean (Phaseolus aureus L.) as biohealth functional substance", J. Korean Appl. Sci. Technol., Vol.36, No.4 pp. 1096-1107, (2019). 

  15. F. Lai, Q. Wen, L. Li, H. Wu, X. Li, "Antioxidant activities of water-soluble polysaccharide extracted from mung bean (Vigna radiata L.) hull with ultrasonic assisted treatment", Carbohy. Polym., Vol.81, No.2 pp. 323-329, (2010). 

  16. H. S. Oh, J. H. Kim, M. H. Lee, "Isoflavone content, actioxidative, and fibrinolytic activities of red bean and mung bean". Korean J. Food Cook Sci., Vol.19, No.3 pp. 263-271, (2003). 

  17. J. Y. Imm, S. J. Kim, "Anti-cancer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mung bean and soybean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42, No.6 pp. 755-761, (2010). 

  18. H. R. Wi, M. J. Choi, S. L. Choi, A. J. Kim, M. S. Lee, "Effects of vitexin from mung bean on 3T3-L1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regulation according to adipocytokine secre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41, No.8 pp. 1079-1085, (2012). 

  19. D. K. Kim, S. U. Chon, K. D. Lee, J. B. Kim, Y. S. Rim, "Variation of flavonoids contents in plant parts of mungbean", Korean J. Crop Sci., Vol.53, No.3 pp. 279-284, (2008). 

  20. D. K. Kim, D. M. Son, J. K. Choi, S. U. Chon, K. D. Leem Y. S. Rim, "Growth property and seed quality of mungbean cultivars appropriate for labor saving cultivation", Korean J. Crop Sci., Vol.55, No.3 pp. 239-244, (2010). 

  21. D. H. Jin, D. Y. Oh, D. S. Kang, H. S. Chung, D. S. Kim, Y. G. Lee, J. H. Seong, H. S. Kim, "Effects of krill (Euphausia superba) on free fatty acid and electrolyte concentrations in rats", J. Korea Oil Chem. Soc., Vol.35, No.1 pp. 186-193, (2018). 

  22. B. Matkovics, M. Kotorman, I. S. Varga, D. Q. Hai, C. Varga, "Oxidative stress in experimental diabetes induced by streptozotocin", Acta. Physiol. Hung., Vol.85, No.1 pp. 29-38, (1997). 

  23. C. R. Kahn, "The molecular mechanism of insulin action", Annu. Rev. Med., Vol.36, No.1 pp. 429-451, (1985). 

  24. S. H. Kim, J. S. Kang, S. J. Lee, Y. J. Chung, "Antidiabetic effect of Korean red ginseng by puffing proces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37, No.6 pp. 701-707, (2008). 

  25. J. Betteridge, "Dyslipidaemia and diabetes", Prac. Diabetes Intern., Vol.18, No.6 pp. 201-207, (2001). 

  26. U. N. Tripathi, D. Chandra, "The plant extracts of Momordica charantia and Trigonella foenum graecum have antioxidant and antihyperglycemic properties for cardiac tissue during diabetes mellitus", Oxid. Med. Cell Longev., Vol.2, No.5 pp. 290-296, (2009). 

  27. E. B. Smith, "The relationship between plasma and tissue lipid in human atherosclerosis", Adv. Lipid Res., Vol.11, No.0 pp. 1-7, (1974). 

  28. K. H. Kim, "A translation: the clinical application of the result of the test", Komoonsa. Seoul, Korea, pp. 164-209, (1980). 

  29. G. Boden, "Role of fatty acids in pathogenesis of insulin resistance and NIDDM", Diabetes, Vol.46, No.1 pp. 3-10, (1997). 

  30. D. I. Feig, D. H. Kang, R. J. Johnson, "Uric acid and cardiovascular risk", N. Engl. J. Med., Vol.359, No.17 pp. 1811-1821, (2008). 

  31. M. H. Rho, M. A. Choi, J. B. Koh, "Effects of raw soy flour (yellow and black) on serum protein concentrations and enzyme activity in streptozotocindiabet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27, No.4 pp. 724-730, (1998). 

  32. H. A. Mansour, A. A. Newairy, M. I. Yousef, S. A. Sheeweita, "Biochemical study on the effects of some egyptian herbs in alloxan-induced diabetic rats", Toxicol., Vol.170, No.3 pp. 221-228, (2002). 

  33. B. F. Palmer, D. J. Clegg, "Electrolyte and acid-base disturbances in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Engl. J. Med., Vol.373, No.6 pp. 548-559,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