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성안 증후군의 피내침 치료에 대한 임상연구 동향
Trend of Clinical Trials for Intradermal Acupuncture Treatment on Dry Eye Syndrome 원문보기

韓方眼耳鼻咽喉皮膚科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v.33 no.2, 2020년, pp.12 - 22  

송지훈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교실) ,  박수연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trend of clinical trials conducted with the intradermal acupuncture treatment on dry eye syndrome. Methods : Through 4 foreign online databases(PubMed, Cochrane Library, EMBASE, and CNKI) and 3 domestic online databases(NDSL, RISS, and OASIS), we s...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외 7개의 온라인 데이터베이스에서 2000년도 이후 발간된 논문들을 검색하여, 최종적으로 선별된 4편의 건성안 증후군에 대해 피내침 치료를 시행한 RCT 논문들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총 4편의 RCT 논문들을 살펴본 결과 총 피험자 수는 적어도 각 군당 20명으로 연구 대상자의 포함기준과 배제기준이 명확히 제시되었고, 치료기간은 최소 2주로 나타났으며, 다빈도로 사용된 경혈은 攢竹(BL2), 太陽(EX-HN5), 四白(ST2)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건성안 증후군 환자를 대상으로 한 피내침 치료 관련 임상연구 프로토콜 설계 시, 피험자 수는 군당 최소 20명 정도, 치료기간은 최소 2주, 치료 혈위는 攢竹(BL2), 太陽(EX-HN5), 四白(ST2) 등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서 좋은 프로토콜을 작성하고자 한다. 유효성 평가 지표로는 SIT, BUT가 많이 사용되었지만 국내 임상연구 현장에 맞는 지표를 전문가 회의를 통해 선정할 예정이다.
  • 본 연구의 한계는 검색에 사용된 7개의 데이터베이스를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연구나 현재 진행 중인 임상연구는 포함하지 못한 점이다. 저자들은 건성안 증후군에 임상에서 많이 활용하고 있는 피내침 치료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하는 파일럿 임상연구 프로토콜 작성을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총 4편의 RCT 논문들을 살펴본 결과 총 피험자 수는 적어도 각 군당 20명으로 연구 대상자의 포함기준과 배제기준이 명확히 제시되었고, 치료기간은 최소 2주로 나타났으며, 다빈도로 사용된 경혈은 攢竹(BL2), 太陽(EX-HN5), 四白(ST2)이었다.
  • 저자들은 임상에서 건성안 증후군에 많이 활용하고 있는 피내침 치료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전혀 없는 점에 착안하여, 국내 및 해외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된 피내침 치료와 관련된 무작위 배정 비교임상시험(Randomized Controlled Trial, RCT) 논문들을 조사, 분석하여 건성안 증후군에 대한 피내침 치료의 유의성을 알아보고, 향후 건성안 증후군의 피내침 치료관련 임상연구의 설계에 참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성안 증후군을 가속화시킬 수 있는 요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1%씩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2). 최근 스마트폰 등 시각적 전자기기 사용 증가와 함께 실내에서의 활동 시간이 증가하고, 또한 미세먼지의 증가에 따라 안구의 건조감, 이물감 등의 증상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으며, 콘택트렌즈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안구의 불편감을 호소하는데, 이러한 요인들은 건성안 증후군을 가속화시킬 수있다3-5).
건성안 증후군이란 무엇인가? 건성안 증후군은 눈물이 부족하거나 눈물막이 과도하게 증발하여 안구 표면이 손상되고 눈에 불쾌감, 이물감, 건조감과 같은 자극 증상을 동반하는 눈물막의 질환으로1), 국내에서는 2018년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연간 2.1%씩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2).
임상에서 건성안 증후군의 한의학적 치료인 침치료의 근거에 관한 국내 연구 논문이 존재하는가? 임상에서 건성안 증후군의 한의학적 치료는 침치료 위주로 이루어지며, 이에 관련하여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는 연구들13-16)이 꾸준히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국내에서 발표된 건성안 증후군의 한의학 논문들은 증례 보고 위주이며, 또한 침 치료와 기타 치료의 병행요법을 시행하거나 대증치료를 시행한 논문들이어서, 건성안 증후군에 대한 침 치료의 근거에 대한 무작위 배정 임상연구 논문은 없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Kim HS, Kim HM, Seong GJ, Yoo YS. Ophthalmology. 11th ed. Seoul:Ilchokak. 2017:11. 

  2.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Internet]. 2018[cited 2018 Jun 14]. Available from: http://www.nhis.or.kr/wbdy/retriveWbdy01.xx?query%EC%95%88%EA%B5%AC%EA%B1%B4%EC%A1%B0%EC%A6%9D 

  3. Park JS, Choi MJ, MA JE, Moon JH, Moon HJ. Influence of Cellular Phone Videos and Games on Dry Eye Syndrome in University Students.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014;25(1):12-23. 

  4. Kim HJ, Park CJ, Lim BS, Kim HH. Effects of Dry Eye Symptoms on Work Productivity and General Activity in Newly Building.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4;19(3):389-96. 

  5. Kim DJ, Park MC, Lee SH, Kim HW, Lee HJ, Cha JW. The Influence of Office Indoor Air Qualitys on the Dry Eye Symptom of Contact Lens Wearers.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2;17(2):215-22. 

  6. Perry HD, Donnenfeld ED. Dry eye diagnosis and management in 2004. Curr Opin Ophthalmol. 2004;15(4):299-304. 

  7. Smith RE. The tear film complex: pathogenesis and emerging therapies for dry eyes. Cornea. 2004;24(1):1-7. 

  8. Balaram M, Schaumberg DA, Dana MR. Efficacy and tolerability outcomes after punctal occlusion with silicone plugs in dry eye syndrome. Am J Ophthalmol. 2001;131(1):30-6. 

  9. Behrens A, Doyle JJ, Stern L, Chuck RS, McDonnell PJ, Azar DT, et al. Dysfunctional tear syndrome: a Delphi approach to treatment recommendations. Cornea. 2006;25(8):900-7. 

  10. Jeong DH, Kim JH, Choi JH. A literature of study on Xerophthalmia.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02;15(1):177-97. 

  11. The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Society.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1st ed. Gyeonggi:Globooks. 2019:108-9. 

  12. Kwon DH, Kim YS, Choi DY. Book Research into Acupuncture Treatment for Dry Eye. J Acupunct Res. 2000;17(3):10-24. 

  13. Choi EH, Jeon JH, Kim YI. Clinical Observation on 3 Cases of Dry Eye Syndrome. J Acupunct Res. 2007;24(4):237-45. 

  14. Lee CW, Lee EK, Jeon JH, Kim JH, Kim YI, Kim JI. Effects of Acupuncture Therapy on Dry Eye Syndrome: 43 Case Series. J Acupunct Res. 2010;27(6):85-94. 

  15. Lee SM, Lee CW, Jeon JH, Kim JH, Kim JI, Choi SM, et al. Comparative Study of the Effect of Acupuncture for Dry Eye Syndrome According to Difference of Duration of Treatment. J Acupunct Res. 2012;29(4):55-69. 

  16. Kim BH, Kim MH, Kang SH, Nam HJ. Optimizing acupuncture treatment for dry eye syndrome: a systematic review. BMC Complement Altern Med. 2018;18(1):145. 

  17. Kim MH, Kim JH, Yoon HW, Ko WS.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Skin Diesease. J Korean Oriental Med. 2005;26(3):43-54. 

  18. Lu Y, Chen Q. Observation on the therapeutic effect of intradermal needle combined with artificial tear in the treatment of xerophthalmia. Chinese Community Doctors. 2019;35(28):70-3. 

  19. Ma HJ, Feng L, Wang JL, Yang ZM. Effects of subcutaneous embedding of thumb-tack needle on tear film in patients with dry eye. Zhongguo Zhen Jiu. 2018;38(3):273-6. 

  20. Lee JS, Hwang SH, Shin BC, Park YM. Electrical stimulation of auricular acupressure for dry eye: A randomized controlled-clinical trial. Chin J Integr Med. 2017;23(11):822-8. 

  21. Wu J, Ma XY, He LP. Needle embedding therapy for dry eye patients. Journal of Changchun University of Chinese Medicine. 2016;32(5):1033-5. 

  22. Lee SY. The relationship between dry eye syndrome and vision-specific quality of life [dissertation]. [Seoul]: University of Korea; 2010. 

  23. Nichols KK, Nichols JJ, Mitchell GL. The lack of association between signs and symptoms in patients with dry eye disease. Cornea. 2004;23(8):762-70. 

  24. Hyon JY, Kim HM, Lee D, Chung ES, Song JS, Choi CY, et al. Korean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Dry Ey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Clinical Efficacy. Korean J Ophthalmol. 2014;28(3):197-206. 

  25. Lim KM, Kang BS, Kim HH, Na GY, Jeong JW, Choi JH, et al. Review on the Study of Dry Eye Syndrome in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J Physiol & Pathol Korean Med. 2017;31(2):94-104. 

  26. Li XD, Xie XJ, Zheng X, Zhou H. Application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in ischemic optic neuropathy. J Chin Opthalmol & Otorhinolaryngol. 2019;9(3): 172-4. 

  27. Kim MK, Yoon HM, Jung HM. The effects of Self-acupressure on the Visual Health of College Students. J Acupunct Res. 2012;29(5):39-50. 

  28. Zhang LQ, Li JX, Pan SM. Clinical Application and Mechanism Study of Point Sibai(ST2). JCAM. 2018;34(4):70-4. 

  29. Zhang Q, Pan D, Zhang JW, Zhang LC. Clinical Research Progress of Acupuncture Treating Vision Disorder after Cerebral Infarction. JCAM. 2019;35(2):76-9. 

  30. Wang J, Shi XJ, Luo DD, Shi BP. Alacrima after child traumatic brain injury. World J Acupunct Moxibustion. 2018;28(4);306-8. 

  31. Qin HY, Peng QH. Study on the Mechanism of Acupuncture Treatment of Dry Eye. Guiding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and Pharmacy. 2019;25(12):116-9. 

  32. Fu T, Tong B, Wang LF, Fang J. Clinical effect of different combinations of acupuncture and acupoint selection in the treatment of juvenile myopia. China Modern Doctor. 2017;55(25):66-9. 

  33. Ding YX, Yao X. A Review of Clinical Research on Acupuncture in the Treatment of Adolescent Myopia. Chinese Medicine Modern Distance Education of China. 2018;16(16):156-8. 

  34. Han LS, Sheng RY, Lu H, Zhang CH. Clinical Application of EX-HN3 in Recent 10 Years. JCAM. 2018;34(11):72-5. 

  35. Apriani SA, Widya DK, Srilestari A, Susiyanti M. Acupuncture compared with 0.5% carboxymethyl cellulose for improving Schirmer I test and OSDI scores for treating dry eye in menopausal women. J Phys Cnf Ser. 2018;1073(6):062034. 

  36. Ma XJ, Zhao YD, Zhang GX, Zhao CZ. The rules of acupoint selection of acupuncture for dry eye. Zhongguo Zhen Jiu. 2019;39(1):87-9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