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현장실태조사를 활용한 지자체 재난관리자원 관리 개선 연구
A Study on the Management Improvement of Disaster Recovery Resources of Municipality with Field Survey 원문보기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16 no.1 = no.47, 2020년, pp.155 - 162  

김준하 (Safety Research Team) ,  김태헌 (Safety Research Team) ,  정재욱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Center)

초록

연구목적: 비축창고 현장실태조사를 통해 재난관리자원 관리 및 운영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지자체 재난관리자원 관리 개선안 도출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최근 20년간 재해연보 및 재난연감에 기록된 자연 및 사회재난의 피해사례를 선정된 재난유형에 따라 지자체별 발생횟수를 재난에 대한 과거위험성, 현재취약성 및 대응능력을 고려하여 재난 유형건수가 높은 지역을 우선적으로 도출하였다. 도출한 지역에 대해 해당 지자체의 재난관리자원 공동활용시스템(DRSS, Disaster Resource Sharing Service) 데이터를 분석하여 비축창고를 선정 후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현재 지자체의 재난관리자원 비축창고 실무담당자들의 과중한 업무로 시청 및 구청 내 현행화가 다소 미흡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실무담당자가 현행화 자료 입력 시 입력방법 및 기준이 현재로서는 명확하지 않아 실제 비축량과 DRSS 데이터가 차이를 보이거나 누락되는 경우가 다소 발생하였다. 결론: 재난관리자원 비축창고의 관리 개선을 위해 DRSS 시스템에 대한 교육 및 재난관리자원 운영에 대한 모범적 사례 교육이 절실하며 방재전문인력을 활용한 비축물자의 쳬계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study was to identify problems in disaster recovery resource management and operation through on-site investigation and utilize them as improvement proposal for disaster recovery resources management by local governments. Method: Areas with high natural and social disasters r...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20년간 재해연보에 기록된 재난유형에 따라 지자체별 발생횟수를 재난에 대한 과거위험성, 현재취약성 및 대응능력을 고려하여 재난 유형건수가 높은 지역을 우선적으로 도출하였다. 도출한 지역에 대해 해당 지자체의 DRSS 데이터를 분석하여 현장실태조사를 실시할 비축창고를 선정하고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현 지자체 재난관리자원 관리에 대한 현실적 개선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20년간 재해연보에 기록된 재난유형에 따라 지자체별 발생횟수를 재난에 대한 과거위험성, 현재취약성 및 대응능력을 고려하여 재난 유형건수가 높은 지역을 우선적으로 도출하였다. 도출한 지역에 대해 해당 지자체의 DRSS 데이터를 분석하여 현장실태조사를 실시할 비축창고를 선정하고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현 지자체 재난관리자원 관리에 대한 현실적 개선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현장실태조사를 통해 해당 지자체 내 재난관리자원 비축창고 운영 및 관리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재난관리자원 관리 개선에 대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현장실태조사를 통해 DRSS를 통해 관리되고 있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지자체에서 운영 중인 비축창고 내 재난관리자원의 유지관리, 실무담당자 간 애로사항 및 개선사항 등을 설문조사하여 재난관리자원 활용체계 구축을 위한 비축기지 운영 방안 도출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 실무담당자의 과중한 업무로 현행화가 다소 미흡한 실정이며, 그에 따른 DRSS 데이터 내 자원종 및 자원수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Hong, E.-K., Kim, M.-S., Yeom, T.-J., Park, M.-J., (2017). "A Study on the Enough Space per Head about Inner Evacuated Facility." Journal of Korea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ol. 13, No. 1, pp. 15-25. 

  2. Kim, Y.-S., Jang, D.-W., Lee, S.-K., Kim, S.-W. (2019). "A Critical Review of Disaster Management Resource Problems Based on Past Disaster Events." Journal of Korea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9, No. 4, pp. 89-102. 

  3. Lee, C.-H. (2013). Developement of a Cluster Based Integrated Resource Management System for Disaster Prevention. Korea Disaster Prevention Association, NEMA-Infra-2012-9, Seoul, South Korea. 

  4. Lee, C.-Y., Kim, T.-H., Park, G.-J. (2015). "A Study of the Stockpile and Mobilization Framework for the Disaster Management Resources." Journal of Korea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ol. 11, No. 3, pp. 376-384. 

  5. Lee, C.-Y., Kim, T.-H., Park, G.-J., Park, S.-H. (2013). "A Study of the Integrated Service Framework of the Disaster Resourc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3, No. 2, pp. 157-161. 

  6. Park, G.-J., Lee, C.-Y., Kim, T.-H. (2012). "State Analysis of the Disaster Resource Management." Monthly Report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2, No. 1, pp. 56-63.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