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 재난관리자원 통합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Integration of the Distributed Disaster Resources 원문보기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10 no.2 = no.24, 2014년, pp.304 - 311  

Lee, Changyeol (Department of Computer Engineering, Dongeui University) ,  Kim, Taehwan (Department of Security Service, Yongin University) ,  Park, Giljoo (Research Center, Metarights Inc.)

초록

재난관리자원이란, 화재, 태풍, 홍수, 붕괴, 침수, 조난, 구호, 위생, 폭발 등의 재난 현장에서 사용되는 자원이다. 이는 정부 기관, 공공기관 그리고 민간 기관 등에 분산되어 있다. 대규모 재난이 발생하면 많은 재난관리자원이 필요하다. 그렇지만 자원 관리 시스템이 각 기관사이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기관이 필요한 자원을 가지고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 쉽지 않다. 시스템 사이 자원 정보를 통합 또는 연계하기 위하여 용어, 분류, 교환 데이터 규격 등 여러 가지 종류의 조정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우리는 표준 규격과 어떻게 시스템 사이 데이터를 연계하고 교환하는지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isaster Resources are the resources used in the disaster fields such as fire, typhoon, flood, collapse, flood damage, distress, relief, sanitary, explosion and so forth. The resources are distributed by the several institutes including governmental agencies, public institution, and private sector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자원 정보를 통일하는데 있어서 기존에 사용하는 NDMS의 용어를 UNSPSC의 용어로 대체/변환 하는데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6가지)를 살펴보았고, 각각 구조에 대한 변환하는 원칙을 제시하였다. 또한 기관들 사이에 실제 데이터를 전송하고 관리하는데 필요한 시스템적 통합 방안을 본 연구에서 제시하였다.
  • 소방방재청 고시에 따라 현재 조달청, 안전행정부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UNSPSC에 따라 통일화하도록 정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원 정보를 통일하는데 있어서 기존에 사용하는 NDMS의 용어를 UNSPSC의 용어로 대체/변환 하는데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6가지)를 살펴보았고, 각각 구조에 대한 변환하는 원칙을 제시하였다. 또한 기관들 사이에 실제 데이터를 전송하고 관리하는데 필요한 시스템적 통합 방안을 본 연구에서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에 산재된 자원의 구조적 현황 분석과 재난관리자원을 통합하기 위하여 발생하는 용어적 문제, 시스템적 문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재난관리자원은 어디에 분산되어 있는가? 재난관리자원이란, 화재, 태풍, 홍수, 붕괴, 침수, 조난, 구호, 위생, 폭발 등의 재난 현장에서 사용되는 자원이다. 이는 정부 기관, 공공기관 그리고 민간 기관 등에 분산되어 있다. 대규모 재난이 발생하면 많은 재난관리자원이 필요하다.
재난관리자원이란? 재난관리자원이란, 화재, 태풍, 홍수, 붕괴, 침수, 조난, 구호, 위생, 폭발 등의 재난 현장에서 사용되는 자원이다. 이는 정부 기관, 공공기관 그리고 민간 기관 등에 분산되어 있다.
대규모 재난 시 재난관리자원 사용이 쉽지 않은 이유는? 대규모 재난이 발생하면 많은 재난관리자원이 필요하다. 그렇지만 자원 관리 시스템이 각 기관사이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기관이 필요한 자원을 가지고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 쉽지 않다. 시스템 사이 자원 정보를 통합 또는 연계하기 위하여 용어, 분류, 교환 데이터 규격 등 여러 가지 종류의 조정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ChangYeol Lee, Tae, Hwan Kim, GilJoo Park (2012), "A study of the classific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disaster management resource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ol 9 No 1, P65-77 

  2. ChangYeol Lee, TaeHwan Kim, GilJoo Park, SangHyun Park (2013), "A study of the integrated service framework of the disaster resourc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3 No 2, P157-161 

  3. GilJoo Park, ChangYeol Lee, TaeHwan Kim (2012), "State Analysis of the disaster resource management", monthly report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2 No 1, P56-63 

  4. MOSPA(2013), Operation Criteria of the national disaster resources(Draft), MOPAS-NEMA, 2013 

  5. NEMA(2007), Development of the optimal operation system of the disaster resource management, Report, NEMA-07-NH-08, 2007 

  6. NEMA(2012), A construction of the real time management system of the distributed disaster resources, Report NEMA-자연-2011-41, NEMA 

  7. NEMA(2013), A study of the national disaster resource management criteria, Report, 2013 

  8. NEMA(2014), Usage Rule of the disaster resources classification and system, NEMA's notice 2014-3. 

  9. NEMA(2014), Operation Rule of the disaster resources, NEMA's command 101 

  10. PPS(2005), National Products RFID Numbering Guideline, Public Procurement Service, RFID-NPIC-V0.9 

  11. UNSPSC, Introduction and Overview UNSPSC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