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첨단기술을 활용한 시설물 점검 및 진단 기술 검·인증을 위한 성능평가 방법론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for Facility Inspection and Diagnostic Technologies 원문보기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16 no.1 = no.47, 2020년, pp.178 - 191  

이영호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Inha University) ,  배성재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Inha University) ,  정욱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Inha University) ,  조재용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Construction Policy) ,  홍성호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Construction Policy) ,  남우석 (Korea Infrastructre Safety and Technology Corporation) ,  김영민 (Korea Infrastructre Safety and Technology Corporation) ,  김정렬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Inha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본 연구는 시설물 점검 및 진단분야에 도입될 첨단 기술 및 장비의 동향을 조사하고 미국, 일본, 한국의 표준화 체계를 분석하여 국내 실정에 맞는 시설물 점검 및 진단장비 성능평가 방법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고 성능평가 기준이 우선적으로 개발되어야 할 대상을 선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시설물 점검 및 진단에 활용되는 첨단 장비 현황을 분석하기 위하여 시설물통합정보관리시스템(FMS)의 최근 5년간 보고서와 시설물 유지관리 업체와 안전진단전문기관에 소개된 첨단 기술을 조사하였다. 또한, NTIS에 등록되어 있는 과제, 논문, 연구보고서, 특허 등을 검색하였다. 이후 미국, 일본, 한국의 표준화 체계를 조사하여 국내 실정에 맞는 형태의 시설물 점검 및 진단장비 성능평가 방법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고 전문가 인터뷰와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성능평가 기준이 우선적으로 개발되어야 할 대상을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자유로운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지나친 제약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성능평가 프로세스는 조사항목별로 장비나 기술의 종류에 상관없이 해당 장비나 기술이 목표하는 점검에 대하여 요구되는 목표 성능지표를 개발하여 해당 성능지표를 만족할 경우 성능을 인증해 주는 방식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 또한, 전문가 인터뷰와 설문조사 결과 내구성 평가의 콘크리트 균열 조사항목과 안전성 평가의 콘크리트/강재 변위/변형/피로 조사항목에 활용되는 첨단장비나 기술들을 대상으로 성능평가 기준을 우선적으로 개발해야 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결론: 내구성 평가의 콘크리트 균열 조사항목이나 안전성 평가의 콘크리트/강재 변위/변형/피로 조사항목을 대상으로 성능평가 가이드라인을 우선적으로 개발할 필요성이 있으며, 자유로운 기술 개발을 도모하고 기존에 개발된 첨단장비에 새롭게 개발될 첨단장비의 성능을 공통된 기준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표준화된 시편이나 테스트 베드를 구축하여 기술 종류에 관계없이 제시된 요구 성능을 충족하면 성능을 인정하는 방식으로 검증하는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paper proposes a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for state-of-the-art facility inspection/diagnostic equipment through a trend survey of equipment and standardization systems of US, Japan, and Korea. This paper also suggests the priority of developing a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thro...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번 항목(수동 해석 기술/장비)의 경우 사람에 대한 평가를 포함한 별도의 성능평가 체계가 마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번 항목(자동 해석 기술/장비)으로 분류된 기술이나 장비에 대하여 성능평가 개발 방향을 시범적으로 제시하려 한다. 이를 위하여 조사한 기술들을 해당 분류로 구분할 필요가 있으며, 시범적으로 적용할 우선순위를 도출할 필요가 있다.
  • 또한, 기술이나 장비의 성능을 검·인증하기 위한 미국과 일본의 체계를 분석하고 이를 한국과 비교하여 시설물 점검 및 진단 분야에 새롭게 도입되는 기술이나 장비의 성능평가가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 져야 하는지 논의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시설물 점검 및 진단 기술 검·인증을 위한 성능평가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시설물통합정보관리시스템(FMS)의 최근 5년간 보고서 분석 , 시설물 유지관리 업체와 안전진단 전문기관 상위 30개 업체의 보유 기술 조사, NTIS에 등록된 관련 연구 개발 동향을 조사하였다.
  • 이를 위해서는 국내외의 다양한 표준화 체계를 조사하고 각 국가에서 수행하는 이들 기술 및 장비 도입에 대한 대응 방안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본 절에서는 미국, 일본, 한국의 표준화 체계에 대해 분석하고 첨단 시설물 점검 및 진단 기술이나 장비의 도입에 대한 대응 형태를 조사하여 한국의 실정에 맞는 시설물 점검 및 진단을 위한 첨단 기술의 성능평가 기본 방향을 도출하고자 한다.
  • 그러나 현재는 첨단 기술 및 장비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한 별도의 제도나 절차가 존재하지 않아, 성능이 검증되지 않은 첨단기술 및 장비가 활용되면서 시설물의 부실한 점검 및 유지관리를 양산할 우려가 대두되고 있다(Korea Infrastructure Safety Corpration, 2018).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새롭게 도입되는 첨단 기술이 활용된 시설물 점검 및 진단 장비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한 성능평가 방법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시설물통합정보관리시스템(FMS)의 최근 5년간 보고서를 분석하고, 시설물 유지관리 업체와 안전진단 전문기관의 실적 상위 30위 업체의 보유 기술을 조사하였으며, NTIS에 등록된 과제, 논문, 연구보고서, 특허 등을 분석하여 시설물 점검 및 진단을 위한 첨단 기술 및 장비의 동향을 파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NSI (2018). Standardization Roadmap for Unmanned Aircraft Systems, US. 

  2. ASTM (2018). "WK58243", US, (NOV. 20, 2019). 

  3. Cha, Y.-J., Choi, W.-R. (2017). "Deep Learning-Based Crack Damage Detection Us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Computer-Aided Civil and Infrastructure Engineering, Vol. 32, No. 5, pp. 361-378. 

  4. Choi, D.-G (2013).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of Standards of Private Sector(SPS) in Korea, KSA(Korean Standards Association, Republic of Korea. 

  5. Daeseong engineering (2019). "Retention Technology Status" (NOV. 20, 2019). 

  6. FARO (2019). "Retention Technology Status" (NOV. 20, 2019). 

  7. Gillins, M.N. (2016). Unmanned Aircraft System for Bridge Inspection: Testing and Developing End-to-End Operational Workflow. M.S., Oregan State University, US. 

  8. IPC (2019). "Crack Scan, Cable Scan" (NOV. 20, 2019). 

  9. JUDICO (2019). "Retention Technology Status" (NOV. 20, 2019). 

  10. Kim, H.-Y., Choi, G.-A., Lee, I.-P. (2018). "Drone Image-Based Facility Inspection - Focusing on Automatic Process Using Reference Imag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Vol. 26, No. 2, pp. 21-32. 

  11. Kim,Y.-H., Bae, K.-T. (2018). "A Study on the State of Bridge Using IoT Edge Technology."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Conference, 2018.11, pp. 237-238. 

  12. KMTL (2019). "Retention Technology Status" (NOV. 20, 2019). 

  13.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Research Institute (2018). "Development of behavior evaluation method for bridge expansion joints based on ultrafast laser line scanning system", Republic of Korea. 

  14. Korea Information Security Agency (2008). "Guideline for Test and Evaluation of Facial Recognition Algorithm.", Republic of Korea. 

  15. Korea Infrastructure Safety Corpration (2018). "A Study of On-Sit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of Diagnosis and Maintenance technology(equipment)", Republic of Korea. 

  16. Korea Transportation Safety Authority (2017) "Pilot Study for drone based road safety technology" 

  17. Lee, Y.-H., Cho, J.-Y., Hong, S.-H., Nam, W.-S., Kim, Y.-M., Kim, J.-Y. (2019). "Development of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for Facility Inspection and Diagnostic Equipment",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geering and Management, pp. 142-143. 

  18.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5a). A Study on Institutionalization of Social Infrastructure Maintenance. TRKO201700004544, Republic of Korea. 

  19.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5b). "Final Report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Experimental Procedure for Certification of Performance Evaluation of Construction Technology and Products." 11-1613000-001585-01, Republic of Korea. 

  20.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7). "Unification of facility safety management system Enhanced safety managemen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https://www.molit.go.kr/USR/NEWS/m_71/dtl.jsp?id95078708&lcmspage1 

  21. Nam, W.-S., Kim, G.-S., Jung, H.-J. (2018). "Trends of Inspection Technology for Concrete Structures Based on AI(Artificial Intelligence)." Proceedings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30, No. 1, pp. 771-772. 

  22. NEDO (2018). "Published [Robot Performance Evaluation Procedures] for use in infrastructure inspections and disaster response", (NOV. 20, 2019). 

  23. OURbrain (2019). "Retention Technology Status" (NOV. 20, 2019). 

  24. Park, S.-M., Kim, Y.-J., Jeong, Y.-G., Lee, I.-S. (2017). "Application of Drone Technology in Construction Industr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Vol. 29, No. 2 pp. 17-24. 

  25. SQengineering (2019). "Retention Technology Status" (NOV. 20, 2019). 

  26. WELTWAVE (2019). "Smartphone crack gage" (NOV. 20, 2019).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