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통합과학 교과 역량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분석
Analysis of Teachers' Perceptions on the Subject Competencies of Integrated Science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40 no.2, 2020년, pp.97 - 111  

안유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변태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융복합적 사고력 신장을 위해 '통합과학'을 신설하고, 문이과 구분 없이 모든 학생이 배우도록 공통 과목으로 지정하였다. 또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이전 교육과정과 차별화되는 특징으로 '역량'을 도입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역량은 범교과적 성격의 핵심역량과 교과의 학문적 지식과 기능에 기반한 교과 역량으로 구분된다. 과학과 교과 역량에는 과학적 사고력, 과학적 탐구 능력, 과학적 문제 해결력,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 5가지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교육과정 문서의 교과 역량에 대한 설명은 불충분하며, 역량에 대한 전문가들의 인식 역시 통일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역량 기반 교육이 학교 현장에 제대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과학 교사들이 역량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된다고 판단하여 고등학교 과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과학과 교과 역량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우선 통합과학 성취기준에 대한 이해가 높은 전문가 워킹 그룹 운영을 통해 통합과학의 성취기준과 교과 역량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다음으로 고등학교 과학 교사 31명에 대상으로 서술형 설문을 통해 5가지 교과 역량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교사의 응답은 언어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과학적 탐구 능력,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 3개 교과 역량은 교사들이 생각하는 바와 교육과정 문서에서 제시한 정의와 유사성이 높았으나, 과학적 사고력, 과학적 문제 해결력의 경우 교사들의 인식과 교육과정 문서상의 정의와 어느 정도 간극이 존재하였다. 또한 5개 역량에 대해 교사들의 인식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보면 5개 교과 역량이 상호배타적이나 독립적이기 보다 연관성이 매우 높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tegrated Science' was established to increase convergent thinking and designated as a common subject for all students to learn, regardless of career. In additi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troduced 'competence' as a distinctive feature from the previous curricu...

주제어

표/그림 (18)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OECD에서는 핵심역량을 어떻게 정의하였는가? 핵심역량은 정의하는 주체에 따라 조금씩 다른 의미로 규정되지만 핵심역량의 출발점을 OECD의 DeSeCo(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프로젝트로 보는 것에 대해서는 공통된 시각을 지닌다 (Kwak, 2016). OECD에서는 1997년~2003년까지 DeSeCo 프로젝트를 통해 핵심역량을 ‘직업적 상황을 포함한 삶의 상황에서 발생하는 요구를 개인의 인지적, 심리사회적 특성을 동원하여 성공적으로 대처해나가는 능력’으로 정의하였다(OECD, 2003). 이후 P21(The Partnership for 21st Century Skills)의 21세기 학습을 위한 프레임워크, ATC21S(The Assessment and Teaching of 21st Century Skills) 프로젝트의 KSAVE 모델 등의 연구가 21세기를 살아가는 인간이 갖추어야 할 역량을 구체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Kwak, 2016; Griffin & Care, 2014; P21, 2020).
2015 개정 교육 과정에서 역량을 어떻게 구분하고 있는가? 더불어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이전 교육과정과 차별화되는 특징 중 하나는 ‘역량(competency)’을 도입했다는 것이다. 2015 개정 교육 과정에서는 역량을 지식정보사회가 요구하는 범교과적 성격의 핵심 역량(자기관리 역량, 지식정보처리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심미적 감성 역량,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 역량)과 각 교과의 성격에 맞게적용할 수 있도록 설정된 교과 역량으로 구분하고 있다(MOE, 2015a). 교과 역량은 교과가 기반한 학문의 지식 및 기능을 습득하고 활용함으로써 길러질 수 있는 능력으로서 교과 학습의 결과로 지식, 기능, 태도 등을 통합적으로 운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Han, Kim, Lee, & Chang, 2018).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통합과학은 어떻게 구성되었나?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가장 주요한 변화는 과학기술에 관한 기초 소양 함양을 위해 통합과학 과목이 신설되었으며, 고등학교에서 과학탐구실험과 함께 문이과 구분 없이 모든 학생이 배우는 공통 과목으로 지정되었다는 점일 것이다(MOE, 2015a). 통합과학은 물질과 규칙성, 시스템과 상호작용, 변화와 다양성, 환경과 에너지의 4개 영역에 대해 물질의 규칙성과 결합, 자연의 구성 물질, 역학적 시스템, 지구 시스템, 생명 시스템, 화학 변화, 생물다양성과 유지, 생태계와 환경, 발전과 신재생에너지 등과 같은 9개의 핵심 개념을 중심으로 분과 학문적 지식을 넘어 다양한 형태의 통합을 통한 융복합적 사고력 신장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었다(MOE, 2015b).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Byun, T. (2013). A Literature Review on Variables Influencing Physics Problem Solving.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44(1), 63-95. 

  2. Cicchetti, D. V. (1994). Guidelines, Criteria, and Rules of thumb for evaluating normed and standardized assessment instrument in psychology, Psychological assessment, 6(4), 284-290. 

  3. Cicchetti, D. V. (2017). Guidelines for assessing Enological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of Wine Tasters' Binary Judgements. Beverages, 3(4), 53. 

  4. Dong, H., Kim, K., Kang, M., Jang, E., Sung, K., Yang, S., Kim, S., Lee, J., Ku, J., Park, S., Kim, S., Choi, W., Kim, Y., & Lee, K. (2018).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RRE 2018-4). Jinchun: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5. Griffin, P., & Care, E. (2014). Assessment and teaching of 21st century skills: Methods and approach. Springer. 

  6. Ha, J., & Shin, Y. (2016). Analysis of Awareness of Teachers for Core Competencies and Scientific Core Competencie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5(4), 426-441. 

  7. Han, H., Chang, K., Kim, K., & Lee J. (2017). A Study of Organizing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urriculum for Cultivating Key Competencie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RRC 2017-2. Seoul: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8. Han, H., Kim, K., Lee, J., Chang K. (2018). Exploring issues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rough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rends.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21(3), 1-24. 

  9. Jang, H.-Y. & Barnett, G. (1994). Cultural differences i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 semantic network analysis 1. Bulletin of Sociological Methodology, 44(1), 31-59. 

  10. Jang, Y-R., Kang, N-H., Kang, S., Ko, S., Kwak, Y., Kwon, H., Kim, K., Kim, M., Kim, S., Kim, Y., Kim, J., Kim, H., Kim, H-K., Kim, H., Na, J., Min, B., Park, K., Park, B., Park, S., Park, S., Park, C., Park, H., Bang, D., Byun, T., Son, J., Song, J., Shin, Y., Sim, K., Ahn, J., Ahn, P., Oh, S., Oh, W., Yoon, H., Lee, K., Lee, M., Lee, M., Lee, M., Lee, Y., Lee, Y., Lee, I., Lee, J., Lee, H., Lee, H., Lim, H., Jang, S., Jeon, H., Jeong, W., Jwa, Y., Choi, I., Cho, J., Choi, H., Choi, H., Hyeon, J., Hong, J., Hwang, U. & Hwang, I. (2015). A study on development prototype of 2015 science national curriculum. BD15070002,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 Creativity. 

  11. Kamada, T. & Kawai, S. (1989). An algorithm for drawing general undirected graphs. Information processing letters, 31(1), 7-15. 

  12. Kang, S. (2011). Creative Problem Solving Oriented Science Teaching Techniques for Ordinary Students, Chemical Education, 38(2), 2-9. 

  13. Kwak, Y. (2016).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Science. Paju: Kyoyookbook. 

  14. Kwak, Y., Ku, J., Kim, M., Son, J., & Noh, D. (2013). Exploring National Curriculum for Future Society - Science. CRC 2013-23. Seoul: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15. Kim, C., Ga, E., Seo, Y., Koo, B., Kim, K., Kim, Y., Kim, J., Kim, J., Kim, H., Ryu, S., Min, B., Park, K., Park, Y., Park, J., Park, J., Song, S., Ahn, B., Yang, K., Oh, R., Lee, S., Lee, J., Jang, E., Jeon, E., & Han, Y. (2015). A Study on the Subject Curriculum Development II-revision in the Korean Language Arts Curriculum. (CRC 2015-25-3). Seoul: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16. Kim, D., Kwak, Y., Dong, H., Lee, S., Lee, I., Lee, J., Kim, J., Kim, H., Park, S., & Choi, J. (2013). Development of Assessment Models and Items for Improving 21st Century Skills - Focusing on Primary School Science and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Seoul: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17. Kim, E. & Park, J. (2017) The Effect of Science Writing Classes based on Science Core Competencies in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6(4), 346-355. 

  18. Kim, H. & Na, J. (2017). A Study o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Perception and Need for the Application of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7(1), 103-112. 

  19. Kim, J., Na, J., & Song, J. (2018). Features of Science Classes in Science Core Schools Identified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8(4), 565-574. 

  20. Kim, Y. & Kim, Y. (2016). Social network analysis. (4/ed). Seoul: Parkyoungsa. 

  21. Koh, E., & Jeong, D. Study on Korean Science Teachers' Perception in Accordance with the Trends of Core Competencies in Science Education Worldwid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4(6), 535-547. 

  22. Kwon, J., Park, E., Kim, H., Lee, Y., Kang, M., Song, M., Bae, Y., & Seo, Y. (2016). Application plans of subject curriculum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Focusing on Elementary and Middle-schools. (RRC 2016-8-1). Seoul: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3. Lee, J., Kim, E., & Kim, D. (2017). Relationship between Key Competences and Subject Competences, and Subject Competences and Achievement Standards in Revised National Common Basic Curriculum of Science in 2015. Journal of Curriculum Integration, 11(2), 1-25. 

  24. Lee, K., Kwak, Y., Lee, S., & Choi, J. (2012). Design of the competencies-based national curriculum for the future society. RRC 2012-4. Seoul: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5. Lee, S. (2014). A Content Analysis of Journal Articles Using the Language Network Analysis Metho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1(4), 49-68. 

  26. Lim, Y., & Jang, S. (2016). An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ey Competencies and Subject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6(10), 749-771. 

  27. Ministry of Education (2015a).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General Statement.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28. Ministry of Education (2015b).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Science.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29. Ministry of Education (2017).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General Statement Commentary.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30. Ministry of Education & Daeje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2016). 2015 Revised Curriculum Integrated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31.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3). The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32. OECD (2003). 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Theoretical and conceptual foundation. OECD Press. 

  33. Partnership for 21st Century Skill. https://www.battelleforkids.org/networks/p21 (assessed 2020.03.11.) 

  34. Park, J., & Lee, J. (2010). Visio for the Future Education System. RR 2010-08. Seoul: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35. Rhee, S., Nam, I., & Im, S. (2018). A Relationship between Scientific Key Competencies and Achievement Standards in Physics under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f Korea. New Physics: Sae Mulli, 68(10), 1081-1095. 

  36. Shin, S., Ha, M., & Lee, J. (2018). A comparative study of teacher and student s perception on 'interesting science clas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8(22), 451-476. 

  37. Song, J., Kang, N., Kwak, Y., Na, J., Bang, D., Son, Y., Son, J., Shim, K., Lee, K., Lee, B., Joen, H., & Choi, I. (2014). Restructuring of Science Curriculum for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s Integration.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38. Song, J., Kang, S., Kwak, Y., Kim, D., Kim, S., Na, J., Do, J., Min, B., Park, S., Bae, S., Son, Y., Son, J., Oh, P., Lee, J., Lee, H., Lim, H., Jeong, D., Jeong, Y., Jeong, J., Kim, J. (2019). Scientific Literacy for All Koreans Korean Science Education Standards for the Next Generatio. Seoul: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 Creativity. 

  39. Song, J. & Na, J. (2015). Directions and Issues of 2015 National Science Curriculum and their Implications to Science Classroom Culture. 

  40. Song, S., & Shim, K. (2011). The Effects of Biological Instruction using Reflective Thinking Strategies on Scientific Thinking 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The Korean Society of Biology Education, 39(3), 387-400. 

  41. Song., T., Song, J. (2016). Social big data research methodology with R. Seoul: Hanarae academy. 

  42. Yun, D., Ko, E., & Choi, A. (2018). Identifying and Applying Components of Five Scientific Core Competencies in the 2015 Science Curriculum.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8(24), 1301-131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