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15 개정 교육과정 '과학탐구실험' 운영 실태 조사
An Investigation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Scientific Inquiry Experiment'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9 no.5, 2019년, pp.669 - 679  

변태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백종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심현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이동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처음 도입된 과학탐구실험 과목을 운영하면서 과학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지원방안을 모색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과학탐구실험 수업과 관련하여 수업 외적 요인, 수업 실천(준비, 실행), 수업에 대한 평가, 과학탐구실험 과목의 발전방향 항목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개발하였고, 전국의 1674개교의 고등학교에 1교당 1명의 교사가 응답하도록 온라인 설문 조사를 요청하였다. 설문 결과 분석에는 설문지의 필수문항에 모두 답변한 814명의 응답 내용이 활용되었고, 결과 분석의 타당도 확보를 위해 집단 면담과 온라인 자문회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수업 준비 시간과 수업 시간의 부족을 호소하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실험 보조 인력의 활용, 양질의 자료 개발 및 공유를 강조하였다. 또한 과학탐구실험 과목의 목표 달성을 위해 블록타임제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실제로 운영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음을 토로하였다. 한편, 2019학년도에 변화된 평가 방식은 교사들에게 긍정적으로 인식되고 있었고 이로 인해 수행평가의 비율이 전년도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학생들이 직접 실험 기구를 다루는 실험의 횟수에는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과학탐구실험 과목의 지원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how 'Scientific Inquiry Experiment,' a newly introduced subject unde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as implemented to identify the difficulties that science teachers face in the process of teaching the subject and to explore how to support them through online survey an...

주제어

표/그림 (17)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 과학 교육에서 탐구 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던 것은 무엇 때문인가? 학교 과학 교육에서 탐구 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던 것은 학교 현장의 다양한 맥락과 요인들이 과학 탐구를 촉진하거나 저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하면서 적용되기 때문인데, 선행연구들은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탐구의 실천을 저해하는 것으로 밝히고 있다. 우선 제한된 수업 시간 안에 정해진 교과 내용을 전달해야 한다는 부담으로 인해 교사들은 교과 내용의 직접 전달을 선호하고 있다(Lee et al.
과학탐구실험 과목을 운영하면서 과학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지원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연구분석 한 결과는? 설문 결과 분석에는 설문지의 필수문항에 모두 답변한 814명의 응답 내용이 활용되었고, 결과 분석의 타당도 확보를 위해 집단 면담과 온라인 자문회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수업 준비 시간과 수업 시간의 부족을 호소하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실험 보조 인력의 활용, 양질의 자료 개발 및 공유를 강조하였다. 또한 과학탐구실험 과목의 목표 달성을 위해 블록타임제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실제로 운영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음을 토로하였다. 한편, 2019학년도에 변화된 평가 방식은 교사들에게 긍정적으로 인식되고 있었고 이로 인해 수행평가의 비율이 전년도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학생들이 직접 실험 기구를 다루는 실험의 횟수에는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과학탐구실험 과목의 지원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학교 현장의 환경적 요인에 대한 교사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는 어떠한가? 학교 현장의 환경적 요인에 대한 교사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교사들은 보통 수준의 만족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8). 앞서 논의하였듯이 과학탐구실험 수업에 ‘전문적인 실험 장비’가 요구되지않고 실험 재료 구입을 위해 많은 예산이 필요하지 않아 많지 않은 예산임에도 위와 같은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이며, 과학과 전체예산에 대한 만족도와 과학탐구실험만을 위한 예산에 대한 만족도에 대한 설문 결과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Cho, H., Yang, I.-H., & Lee, H. (2008). Comparison between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about the important aims of laboratory activities in science instruction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2(2), 103-120. 

  2. Choi, C. & Lee, S-K. (2016). Reconsidering the meanings of experiments and instruments based on the analysis of chemistry experiments in textboos.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60(4), 267-275. 

  3. DeBoer, G. E. (2006). Historical perspective on inquiry teaching in schools. In L. Flick & N. Lederman (Eds.), Scientific Inquiry and the Nature of Science: Implications for Teaching, Learning, and Teacher Education (pp. 17-35). Dordrecht, The Netherlands: Kluwer. 

  4. Han, H., Kim, Y., Lee, J., Kwak, S., Kim, K., Kim, K., Kim, Y., Park, J., Jin, D., Choi, D., Han, C. & Hwang, Y. (2015). A study on development commentary of an introduction to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middle & high school). CRC 2015-28,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5. Jang, Y-R., Kang, N-H., Kang, S., Ko, S., Kwak, Y., Kwon, H., Kim, K., Kim, M., Kim, S., Kim, Y., Kim, J., Kim, H., Kim, H-K., Kim, H., Na, J., Min, B., Park, K., Park, B., Park, S., Park, S., Park, C., Park, H., Bang, D., Byun, T., Son, J., Song, J., Shin, Y., Sim, K., Ahn, J., Ahn, P., Oh, S., Oh, W., Yoon, H., Lee, K., Lee, M., Lee, M., Lee, M., Lee, Y., Lee, Y., Lee, I., Lee, J., Lee, H., Lee, H., Lim, H., Jang, S., Jeon, H., Jeong, W., Jwa, Y., Choi, I., Cho, J., Choi, H., Choi, H., Hyeon, J., Hong, J., Hwang, U. & Hwang, I. (2015). A study on development prototype of 2015 science national curriculum. BD15070002,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 Creativity. 

  6. Jho, H. (2018). An analysis of elements of scientific inquiry presented in 2015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focusing on scientific inquiry experiment.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 Instruction, 22(3), 208-218. 

  7. Kim, H., Yoon, H., Lee, K. & Cho, H. (2010). Secondary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f ‘free inquiry’ of the 2007 revised science curriculum.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58(3), 213-235. 

  8. Kim, H.-K., & Jeong, E. (2018). How to apply 2015 national science curriculum at the general high school.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21(1), 61-77. 

  9. Kim, H-K. & Na, J. (2018). A study on high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the field application of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8(10), 565-588. 

  10. Kim, M. & Kang, N-H. (2018). Analysis of inquiry activities in high school science inquiry laboratory textbooks. Chungram Science Education Journal, 24(2), 60-69. 

  11. Kim, M., Tan, A. (2011). Rethinking difficulties of teaching inquiry-based practical work: Stories from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3(4), 465-486. 

  12. Kirschner, P. A., Sweller, J., & Clark, R. E. (2006). Why minimal guidance during instruction does not work: An analysis of the failure of constructivist, discovery, problem-based, experiential, and inquiry-based teaching. Educational Psychologist, 41(2), 75-86. 

  13. Latour, B., & Woolgar, S. (1979). Laboratory life: The social construction of scientific facts. London: Sage. 

  14. Lederman, J. S., Lederman, N. G., Bartos, S. A., Bartels, S. L., Meyer, A. A., & Schwartz, R. S. (2014). Meaningful assessment of learners' understandings about scientific inquiry: The views about scientific inquiry (VASI) questionnair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51(1), 65-83. 

  15. Lee, J. (2016). Analysis of changes in the learning environments of middle school science class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6(5), 717-727. 

  16. Lee, J., Lee, K. & An, J. (2019). An analysis of the authentic inquiry components in science inquiry experiments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63(3), 183-195. 

  17. Lee, S. & Lee, B. (2018). High-School physics teachers’ difficulties in teaching textbook physics inquiri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8(4), 519-526. 

  18. Lee, S-K., Lee, G-H. & Shin, M-K. (2011). Exploring elementary teachers’ epistemological understandings of school science lab practices.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8(2), 21-49. 

  19. Lee, Y-J, Oh, C-H, Ki, U-H, Kim, Y-H, Chung, W-W, Yang, S-Y, Kang, Y-H, Ahn, B-H, Lim, S-K, Yoon, I-H, Kwon, Y-J, Jeon, M-N, Kim, J-W, Yun, S-H. (1998). An analysis and survey on the experimental and practical science education of high school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8(3), 383-398. 

  20. Matthews, M. R. (2012). Changing the focus: From nature of science to features of science. In M. S. Khine (Ed.), Advances in Nature of Science Research (pp. 3-26). Dordrecht: Springer. 

  21. Ministry of Education &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8). Statistical Yearbook of Education. Chungbuk: KEDI. 

  22.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0). Inquiry and the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A guide for teaching and learning.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23. Paeng, A-J. & Paik, S-H. (2005). A case study of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faiths on experiments in science class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5(2), 146-161. 

  24. Park, H. (2013). A study of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n science lessons with experiment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7(1), 79-86. 

  25. Park, H., Sim, J-H., Choi, H., Lim, H., Park, J., Ahn, H. & Yang, S. (2019). Study on the monitoring and implementation of the 2015 science national curriculum. BD19030006,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 Creativity. 

  26. Park, J. & Lee, K. (2011). Actual conditions of free inquiry implementation and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nd students in middle school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 Instruction, 15(3), 603-632. 

  27. Park, S.-M., & Hong, M.-Y. (2012). Block scheduling and class change: The case of high school social studies and science class.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0(3), 193-219. 

  28. Schwartz, R. S. (2004). Epistemological views in authentic science practices: A cross-discipline comparison of scientists' views of nature of science and scientific inquir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Oregon State University, Corvallis, Oregon. 

  29. Shin, S., Park, C., Lee, C. & Hong, H-G. (2018). A case study on the practice of ‘science inquiry experiment’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 understanding in the perspective of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CHA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8(6), 885-899. 

  30. Sim, J-H., Shin, M-K. & Lee, S-K. (2010).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n major features of the 2007 revised science curriculum for class implement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0(1), 140-156. 

  31. Song, J. (2006). J. J. Schwab’s Life and His Ideas of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6(7), 856-869. 

  32. Tobin, K. G. (1984). Avoiding cookbook science. Science Activities, 21(2), 10-15. 

  33. Yoon, J. & Kang, S-J. (2016). The analysis of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expectations and concerns on the integrated science and science inquiry experiment subjects in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6(5), 515-54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