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사학습공동체에 참여한 한 고등학교 교사의 과학적 모델링에 대한 이해 및 수업 실행 변화 탐색 -프레임 분석을 중심으로-
Exploring How a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Understanding and Facilitation of Scientific Modeling Shifted through Participation in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40 no.1, 2020년, pp.29 - 40  

심수연 (워싱턴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한 고등학교 과학 교사(E 교사)가 약 1년 3개월간 교사공동체 탐구에 참여하며 어떻게 과학적 모델링에 관한 이해와 실행을 변화시켜나갔는지를 탐색하는 것이었다. 상황 학습 관점을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E 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들로부터 모델링에 관한 그녀의 프레임들을 탐색하였다. E 교사는 1년 3개월간 총 6회의 "스튜디오"라는 교사 연수에 참여해 같은 학교의 과학 교사들과 연구자들, 코치들과 협력하였다. 매 스튜디오에서 참여자들은 함께 모델링 기반 수업을 계획하고, 실행하고, 그에 관해 반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E 교사가 수업을 진행한 2회차, 6회차 스튜디오에 초점을 맞추어, E 교사의 교사공동체 및 교실 상호작용으로부터 드러난 모델링에 관한 그녀의 프레임들을 질적으로 탐색하고, 그로부터 E 교사의 이해와 실행에 변화가 있었는지 탐색하였다. 다음으로, 교사공동체 탐구가 E 교사의 이해와 실행 변화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 탐색하기 위하여, 1-6회차 스튜디오에서 진행된 교사공동체 탐구가 질적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2회차 스튜디오에서 E 교사는 과학적 모델링을 학생들이 활동지에 정답을 채워 넣는 활동으로 보고 있었다. 반면 6회차 스튜디오에서 E 교사가 드러낸 과학적 모델링에 관한 프레임들은 그녀가 모델링을 학생들이 협력을 통해 증거를 사용하여 자연현상에 관한 설명을 구성하는 과정으로 보고 있었음을 보여주었다. E 교사가 속한 교사공동체는 모델링 기반 교수를 발전시키고자 하는 목표를 바탕으로, 매 스튜디오에서 학생들의 모델링을 돕고, 학생들의 설명과 추론을 분석하였다. 또한 그들은 여러 스튜디오들에 걸쳐 탐구 초점들과 교수 실행들을 구체화시키고 발전시켜나갔다. 이러한 공동체 탐구의 초점들은 E 교사의 과학적 모델링에 관한 이해와 실행 변화에 반영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공동체 탐구나 교사 전문성 발달을 지원하고자 하는 연구자, 실행가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a high school science teacher (Teacher E) shifted her understanding and facilitation of scientific modeling through participation in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PLC) for over a year. Based on socially situated theory of learning, I focused on examin...

주제어

표/그림 (4)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적 모델링이란 무엇인가? 과학적 모델링은 과학적 모델을 협력적으로 구성, 평가, 수정해나가는 과정으로, 과학의 핵심적 실행 중 하나이다(Lehrer & Schauble, 2006). 과학적 모델은 자연현상의 특징들(자연현상에 존재하는 요소, 과정, 관계, 체계 및 그것들 간 상호작용)을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추상화, 단순화하여 나타낸 표상이다(Harrison & Treagust, 2000;Schwarz et al.
과학교육계에서 기존에 이루어진 연구들은 주로 어디에 초점을 맞추었는가? 이처럼 교사들이 과학적 실행에 대해 활성화시키는 프레임들이학생들의 지식 구성 활동에 중요하게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들이있음에도, 장기적 관점에서 교사들이 활성화시키는 프레임이 어떻게 변화해나가는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진 바가 없다. 과학교육계에서 기존에 이루어진 연구들은 주로 교실공동체 내에서 교사나 학생들이 순간순간 활성화시키는 프레임들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e.g.
교사 프레임에 관한 연구들을 확장시키는데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가? , Ha, Lee, & Kim, 2018)을 확장시키는 데 다음과같이 기여할 수 있다. 먼저, 본 연구는 선행 연구들이 제기한 “교사들이 과학적 모델링에 관한 이해와 실행을 어떻게 발달시킬 수 있는 가?”, “교사학습공동체는 교사들의 이해 및 실행 발달에 어떻게 기여하는가?”, “교사들의 프레임은 장기적으로 어떻게 변화해 나가는가?”등의 질문에 답하기 위한 이론을 구축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연구는 프레임 개념을 사용하여 교사의 이해 변화를 탐색했다는 점, 교사학습공동체와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을 통해 교사의 이해 및 실행 발달을 탐색했다는 점 등으로부터 기존 연구에 방법론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Berland, L. K., & Hammer, D. (2012). Framing for scientific argument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9(1), 68-94. 

  2. Bryk, A. S., Gomez, L. M., Grunow, A., & LeMahieu, P. G. (2015). Learning to improve: How America's schools can get better at getting better. Cambridge, MA: Harvard Education Press. 

  3. Clement, J. J., & Rea-Ramirez, M. A. (Eds.) (2008). Model-based learning and instruction in science. New York, NY: Springer. 

  4. Coburn, C. E. (2006). Framing the problem of reading instruction: Using frame analysis to uncover the microprocesses of policy implementation.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43(3), 343-349. 

  5. Crawford, B. A., & Cullin, M. J. (2004). Supporting prospective teachers' conceptions of modelling in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6(11), 1379-1401. 

  6. Do, H., Park, J., & Yoo, J. (2016). An analysis of teacher's scaffolding for promoting social construction of scientific models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6(4), 643-655. 

  7. Duschl, R. (2008). Science education in three-part harmony: Balancing conceptual, epistemic, and social learning goals. Review of Research in Education, 32(1), 268-291. 

  8. Goffman, E. (1974). Frame analysis: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9. Grossman, P., Wineburg, S., & Woolworth, S. (2001). Toward a theory of teacher community. Teachers College Record, 103(6), 942-1012. 

  10. Ha, H., Lee, Y., & Kim, H. B. (2018). Exploring the teachers' responsive teaching practice and epistemological framing in whole class discussion after small group argumentation activi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8(1), 11-26. 

  11. Hammer, D., Elby, A., Scherr, R. E., & Redish, E. F. (2005). Resources, framing, and transfer. In J. P. Mestre (Ed.), Transfer of learning from a modern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 (pp. 89-120). Greenwich, CT: Information Age Publishing. 

  12. Hargreaves, A., & Fullan, M. (2012). Professional Capital: Transforming teaching in every school. New York, NY: Teachers College Press. 

  13. Harrison, A. G., & Treagust, D. F. (2000). A typology of school science model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2(9), 1011-1026. 

  14. Horn, I. S. (2010). Teaching replays, teaching rehearsals, and re-visions of practice: Learning from colleagues in a mathematics teacher community. Teachers College Record, 112(1), 225-259. 

  15. Hutchison, P., & Hammer, D. (2010). Attending to student epistemological framing in a science classroom. Science Education, 94(3), 506-524. 

  16. Jimenez-Aleixandre, M. P., Rodriguez, A. B., & Duschl, R. A. (2000). "Doing the lesson" or "doing science": Argument in high school genetics. Science Education, 84(6), 757-792. 

  17. Kim, Y., & Choi, A. (2019). Understanding of scientific inquiry developed by beginning science teachers i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9(2), 221-232. 

  18. Lave, J., & Wenger, E. (1991). Situated learning: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Lee, S., Kim, C. J., Choe, S. U., Yoo, J., Park, H., Kang, E., & Kim, H. B. (2012). Exploring the patterns of group model development about blood flow in the heart and reasoning process by small group interac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2(5), 805-822. 

  20. Lehrer, R., & Schauble, L. (2006). Cultivating model-based reasoning in science education.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Lewis, C., Perry, R., & Hurd, J. (2004). A deeper look at lesson study. Educational Leadership, 61(5), 18. 

  22. Louca, L. T., Zacharia, Z. C., & Constantinou, C. P. (2011). In Quest of productive modeling­based learning discourse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8(8), 919-951. 

  23.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2).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24. Nelson, M. M., & Davis, E. A. (2012).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evaluations of elementary students' scientific models: An aspec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scientific model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4(12), 1931-1959. 

  25. Oh, P. S., & Oh, S. J. (2011). What teachers of science need to know about models: An over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3(8), 1109-1130. 

  26. Passmore, C., & Svoboda, J. (2012). Exploring opportunities for argumentation in modelling classroom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4(10), 1535-1554. 

  27. Schwarz, C. V. (2009). Developing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knowledge and practices through modeling-centered scientific inquiry. Science Education, 93(4), 720-744. 

  28. Schwarz, C. V., Reiser, B. J., Davis, E. A., Kenyon, L., Acher, A., Fortus, D., ... Krajcik, J. (2009). Developing a learning progression for scientific modeling: Making scientific modeling accessible and meaningful for learne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6(6), 632-654. 

  29. Schwarz, C. V., & White, B. Y. (2005). Metamodeling knowledge: Developing students' understanding of scientific modeling. Cognition and Instruction, 23(2), 165-205. 

  30. Shulman, L.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1), 1-23. 

  31. Tannen, D. (1993). Framing in discourse. Oxford, England: Oxford University Press. 

  32. Thompson, J., Hagenah, S., Kang, H., Stroupe, D., Braaten, M., Colley, C., & Windschitl, M. (2016). Rigor and responsiveness in classroom activity. Teachers College Record, 118(5), 1-58. 

  33. Van Driel, J. H., & Verloop, N. (1999). Teachers' knowledge of models and modelling in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1(11), 1141-1153. 

  34. Windschitl, M., & Thompson, J. (2006). Transcending simple forms of school science investigation: The impact of preservice instruction on teachers' understandings of model-based inquiry.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43(4), 783-835. 

  35. Windschitl, M., Thompson, J., & Braaten, M. (2018). Ambitious science teaching. Cambridge, MA: Harvard Education Press. 

  36. Yin, R. K. (2014).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 (5th ed.). Thousand Oaks, CA: Sage.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