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인의 주관적 구강 건강 상태와 건강 실천행위가 구강 건강 관련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Health Practice Behavior on Oral Health-Related Self-Efficacy in Adult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5, 2020년, pp.168 - 176  

허성은 (신라대학교 치위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성인의 주관적 구강 건강상태와 건강 실천행위가 구강 건강 관련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한 후,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주관적 구강 건강 상태가 좋을수록 칫솔질 관련 자기효능감(p<.001)과 구강 건강관리 자기효능감(p<.01)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건강 실천 행위를 이행할수록 칫솔질 관련 자기효능감(p<.001)과 구강 건강관리 자기효능감(p<.001)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주관적 구강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구강 건강 관련 자기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p<.001), 운동, 건강 책임이행, 흡연 순으로 건강 실천 행위를 이행할수록 구강 건강 관련 자기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따라서 전신건강과 구강건강의 상호 융합적 계속 구강 보건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어 성인의 포괄적 건강 및 구강건강 증진에 기여하고자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health practice behavior on oral health-related self-efficacy in adults, a survey was conducted in adults living in Busan and analyz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The better the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brushing-related ...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일부 지역에 거주하는 성인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연구 결과의 일반화의 한계가 있음으로 이를 보완한 후속 연구를 통하여 성인의 구강 건강 관련 자기효능감 및 구강 보건교육, 삶의 질 등의 영향 요인에 관한 다각적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신건강행위와 구강 건강 행위의 밀접한 관련성을 파악하여 성인의 포괄적 건강과 구강 건강 증진 정책의 필요성을 재고하고 개인과 사회의 공동체적 노력 방안을 논의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판단되며, 본 연구가 전신건강과 구강건강의 상호 융합적 계속 구강 보건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자 한다.
  • 한편, 성인의 구강 건강 관련 자기 효능감 관련 연구의 대부분이 구강 건강 신념, 구강 건강 인식, 구강 보건 행동, 구강 보건 교육 등과 같이 구강 관련 요인만을 파악하는 데 그쳐, 건강의 개념을 포괄적으로 파악하여 구강 건강 상태 뿐 아니라 건강 실천 행위의 융합적 관련성을 분석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성인의 주관적 구강 건강 상태를 계속적 으로 파악하여 구강 건강 실천 방안을 모색하고, 전신 건강과 구강 건강의 밀접한 관련성을 바탕으로 구강 건강 관련 자기효능감의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주관적 구강 건강 상태와 건강실천 행위가 구강 건강 관련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성인의 효율적인 구강 관리 방안을 모색하고, 전신건강과 구강 건강의 상호 융합적 계속 구강 보건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어 성인 구강 보건 사업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최근 5년 이내의 우리나라 외래진료 다빈도 상병의 1위와 2위는 치은염 및 치주질환으로 기록되고 있으며 [1], 치은염 및 치주질환 치료의 연령층 대부분이 40∼50대 성인으로[2], 성인의 구강 건강은 매우 취약한 환경에 노출되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3,4]. 이에 개인과 사회의 공동체적 노력으로 만성질환인 구강병을 예방하고 성인의 구강 건강 증진 방안을 다각적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특히, 구강 질환의 대부분이 건강과 관련한 생활양식 및 건강 습관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음으로[12], 건강 증진 행위와 구강 건강 관련 자기효능감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전신건강과 구강 건강을 하 나의 개념으로 파악하여 동시에 관리할 수 있는 구강 보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자 한다.
  • 따라서 성인의 주관적 구강 건강 상태를 계속적 으로 파악하여 구강 건강 실천 방안을 모색하고, 전신 건강과 구강 건강의 밀접한 관련성을 바탕으로 구강 건강 관련 자기효능감의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주관적 구강 건강 상태와 건강실천 행위가 구강 건강 관련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성인의 효율적인 구강 관리 방안을 모색하고, 전신건강과 구강 건강의 상호 융합적 계속 구강 보건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어 성인 구강 보건 사업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특히, 구강 건강 실천 행동은 구강 건강 증진을 위한 행동 변화와 더불어 구강 건강 상태 유지와 지속에 대한 성공적 수행과 자신감을 의미하는 구강 건강 관련 자기효능감의 주요한 영향 요인으로 예측되므로[7,8], 구강 건강 관련 자기효능감 증진 방안에 대한 융합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즉, 성인의 주관적 구강 건강 상태에 대한 인식은 물론 구강 건강 행위를 보다 포괄적으로 파악하여 전신 건강과의 관련성을 바탕으로 한 구강 건강 관련 자기효능감 증진 방안을 다각적 모색하고 자 하였다[7,9]. 이는 건강 관련 생활 습관에 의한 만성 전신질환과 치주질환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최근까지도 진행되고 있고[10,11], 구강질환의 대부분이 건강과 관련한 생활양식 및 건강 습관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이 보고됨에 따라[12], 운동과 식이 습관, 스트레스 관리와 흡연, 건강 책임 이행과 같은 건강 실천 행위와 구강 건강 실천 행동과의 관련성을 주목하게 되었다 [13].
  • 이에 개인과 사회의 공동체적 노력으로 만성질환인 구강병을 예방하고 성인의 구강 건강 증진 방안을 다각적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특히, 구강 질환의 대부분이 건강과 관련한 생활양식 및 건강 습관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음으로[12], 건강 증진 행위와 구강 건강 관련 자기효능감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전신건강과 구강 건강을 하 나의 개념으로 파악하여 동시에 관리할 수 있는 구강 보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자 한다. 이에 연구 가설을 중심으로 의미 있는 결과의 고찰 내용은 다음과 같다[15].

가설 설정

  • 가설 4. 성인의 주관적 구강 건강 상태는 구강 건강 관련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 성인의 주관적 구강 건강 상태와 건강실천행위, 구강 건강 관련 자기효능감은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Healthcare Bigdata Hub. (2020). statistics of polyvinylori diseases (Online). http://opendata.hira.or.kr/op/opc/olapHifrqSickInfo.do 

  2. Healthcare Bigdata Hub. (2020). disease group (third stage corporal) statistics (Online). http://opendata.hira.or.kr/op/opc/olap3thDsInfo.do 

  3. H. S. Kwun et al. (2012). Community Oral Health Practice Management. Seoul : komoonsa. 

  4. S. E. Heo. (2019). Relationships between Oral Health Management Behavior and Subjective Oral Health Perception and Oral Acid Production in Small and Medium Industry Worker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9(3), 90-97. DOI : 10.22156/CS4SMB.2019.9.3.090 

  5. Y. J. Choi. (2016). Converged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Beliefs, Oral Disease Preventive Intention and Oral Disease Preventive Activities in Partial Middle Aged Adul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7(4), 209-215. DOI : 10.15207/JKCS.2016.7.4.209 

  6. I. Y. Kim & S. H. Yu. (2015). Influencing factors on oral health related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in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5(1), 129-135. DOI : 10.13065/jksdh.2015.15.01.129 

  7. B. Y. Choi. (2014). Effect of Oral Health-Related Self Efficacy and Social Support on Lifestyle for Promoting Oral Health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Adolescents. Doctoral dissertation. Wonkwang University, Jeonbuk. 

  8. S. E. Heo. (2017). A Study 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Determinants of Oral Health Practice in Adults Aged 20 Years or Older.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9), 161-174. DOI : 10.15207/JKCS.2017.8.9.161 

  9. A. Bandura, Y. S. Park & U. C. Kim. (2001).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Seoul: Kyoyookkwahaksa. 

  10. Y. H. Ko. (2016). The relationships among the physical competence,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elderly participating in health activity program.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12), 571-581. DOI : 10.14400/JDC.2016.14.12.571 

  11. G. J. Seymour, P. J. Ford, M. P. Cullinan, S. Leishman & K. Yamazaki. (2007). Relationship between periodontal infection and systemic disease. Clinical Microbioloy and Infection, 13(4), 3-10. 

  12. S. K. Hee. (2007).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health- and oral health- rea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adults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13. Pender NJ, Walker SN, Sechrist K & Frank-Stromborg M. (1990). Predicting health promoting life style in the workplace. Nursing Research, 39(6), 326-332. 

  14. K. S. Paek. (2017). A Convergence Study about Influences of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 Literacy on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Elderly in Community. Journal of the Korean Convergence Society, 8(12), 101-107. DOI : 10.15207/JKCS.2017.8.12.101 

  15. S. E. Heo. (2018). A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 of subjective systemic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on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9), 135-142. DOI : 10.15207/JKCS.2018.9.9.135 

  16. E. J. Choi. (2007). Factors related to glycemic control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Doctoral dissertation. Yensei University, Seoul. 

  17. Bandura, A. (1986).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US. 

  18. E. Y. Hong. (2014). Factors Affecting Nurse's Health Promoting Behavior : Focusing on Self-efficacy and Emotional Labor,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3(3), 154-162. DOI : 10.5807/kjohn.2014.23.3.154 

  19. K. Ryu, S. H. Jeong, J. Y. Kim, Y. H. Choi & K. B Song. (2004). Effect of mothers' oral health behaviour and knowledge on dental caries in their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28(1), 105-115. 

  20. S. K. Jeong. (2006). Effects of Supportive Nursing Intervention on Health Belief and Performance of Health Behavior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1. K. H. Ka, S. J. Moon & I. Y. Ku. (2015). The relationship between of marriage migrant women's oral health belief and self-efficacy on oral health awarenes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12), 8487-8497. DOI : 10.5762/KAIS.2015.16.12.8487 

  22. H. E. Kang & J. S. Choi. (2012). Analysis of factors associated with oral care self-efficacy in the type 2 diabetic pati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2(6), 1203-1211. DOI : 10.13065/jksdh.2012.12.6.1203 

  23. E. M. Noh, E. S. Jeon & S. Y. Ko. (2014). Relationship of oral health behavior to self-efficacy among the elderly.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14(2), 167-175. 

  24. M. H So & Y. Y. Cho. (2018). The correlations among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oral health behavior, self-efficacy and subjective oral health level of elderly in some area.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19(2), 53-63. 

  25. K. A. Jang & S. E. Heo. (2019). Convergence correlation between oral health belief and OHIP-14 based on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in adul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10), 59-66. DOI : 10.15207/JKCS.2019.10.10.059 

  26. H. Y. Oh, E. J. Kim & S. Y. Ahn. (2012). Oral Care in Resulting in Oral Health Education in Oral Health Attitudes and Awareness of Relevant Research. The Korean Academy of Dental Hygiene, 14(3), 151-160. 

  27. M. G. Ji. (2017). Relationships among self-efficacy and self-resilience, oral health promotion lifestyle in some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6), 69-78. DOI : 10.22156/CS4SMB.2017.7.6.069 

  28. I. Y. Ku, E. Y. Park & S. J. Moon. (2016). Survey of Changes in Oral Health Behaviors through the Application of an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to Workers at Some Work Sites. The Journal of Korean clinical health science, 4(4), 699-708. DOI : 10.15205/kschs.2016.12.31.699 

  29. H. J. Kim, C. M. Park, & J. Y. Lee. (2006).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life and industrial workers' oral health evalu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6(4), 295-309. 

  30. K. A. Jang & S. E. Heo. (2019).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Related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Smoking Experience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9(4), 130-138. DOI : 10.22156/CS4SMB.2019.9.4.130 

  31. M. J. Jeon & S. H. Hwang. (2010). A Study on actual smoking condition,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related to dental health of korean soldi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0(42), 243-254. 

  32. J. E. Jang. (2015). The Relationship of Health Behavior, Oral Management Behaviors and Oral Health Status.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9(3), 429-437. DOI : 10.21184/jkeia.2015.09.9.3.42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