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인식, 운동욕구, 자기효능감이 당뇨병 환자의 운동빈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ealth Perception, Exercise Needs, Self-Efficacy on the Frequency of Exercise among Diabetic Patient 원문보기

산업융합연구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v.18 no.2, 2020년, pp.37 - 44  

박금옥 (우송대학교 간호학과) ,  정수경 (우송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당뇨병 환자의 건강인식, 운동욕구, 자기효능감이 운동빈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된 서술적 연구이다. 2018년 6월부터 7월에 걸쳐, A광역시에 속한 두 개의 대학병원 내분비내과 외래를 방문한 당뇨병 진단을 환자들 중에서 자발적으로 설문지를 작성할 수 있는 8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서술적 기술 통계량과 Pearson 상관계수, 단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운동빈도는 건강인식(r=..215, p=.043), 자기효능감(r=.440,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운동욕구(r=.144, p=.304)와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운동빈도에 미치는 요인은 자기효능감(β=.440, p<.001)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18.4%(F=20.836, p<.001)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건강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은 자기효능감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운동빈도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당뇨병 환자의 건강인식을 높이는 중재와 자기효능감 강화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된다면 당뇨병 환자의 운동빈동, 즉 실질적 운동 자기관리를 증진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of descriptive-correlative design determined the effects of health perception, need of exercise and self-efficacy on the frequency of exercise among diabetic patients. A total of 86 questionnaires were retrieved from these groups of diabetic patients, who regularly visits endocrinology cl...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당뇨병 환자 관리에 대한 중재연구나 교육 연구가 다수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당뇨병 건강인식, 운동욕구, 자기효능감 등의 개념이 실제로 운동빈도 간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당뇨병 환자의 건강인식, 운동욕구, 자기효능감 및 운동빈도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운동빈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당뇨병 환자 중재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건강인식, 운동욕구, 자기효능감이 당뇨병 환자의 운동빈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 본 연구는 당뇨병 환자의 건강인식, 운동욕구, 자기효능감이 당뇨병 환자의 운동빈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고자 시행되었다.
  • 본 연구에서 운동빈도는 Toobert, Hampson, Glasgow(2000)[16]가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개발한 운동 문항 중 지난 일주일 동안 최소한 30분 이상 지속적으로 신체활동(산책하기 등) 수행 일 수에 대해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만성 질환을 가진 사람들의 특징은 무엇인가? 당뇨병과 같은 만성 질환을 가진 사람들은 만성적인 상태로 인해 일반적인 일상 활동의 극적인 변화로 고통받고 있으므로[6], 당뇨병 과정에서 긍정적인 건강인식을 갖는 것은 환자에게 쉽지 않다. 그러나 긍정적인 건강인식은 자기관리에 대한 자신감을 향상시키는데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운동 활동과 건강인식 강화는 어떤 효과가 있는가? 그러나 긍정적인 건강인식은 자기관리에 대한 자신감을 향상시키는데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매일 이루어지는 운동 활동과 건강인식을 강화시키는 자기관리 활동 프로그램은 질병관련 합병증을 줄이거나 지연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고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7, 8].
당뇨병의 예방과 관리를 위한 운동요법이 가지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제2형 당뇨병을 예방과 관리를 위하여 운동요법, 식이요법을 강조하고 있으며[3] 운동요법은 당뇨병을 관리하고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하여 가장 중요한 관리 방법 중 하나이다[3, 4]. 그러나 다수의 연구에서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한 대다수가 중도에 포기하는 것이 현실이다[5]. 당뇨병 환자의 운동을 꾸준히 이어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당뇨병 환자의 관리 목표이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2017). Retrieved from :http://kosis.kr/search/search.do 

  2. D. Y. Cho. (2015). Trends in Diabetes Care in the Recent Five Years.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9(2), 67-74. 

  3. J. L. Hinkle & K. H. Cheever. (2017). Brunner & Suddarth's Textbook of Medical Surgical Nursing 14th Ed. Wolters Kluwer. 

  4. R. J. Sigal, G. P. Kenny, D. H.Wasserman, C. Castaneda-Sceppa & R. D. White. (2006). Physical activity/exercise and type 2 diabetes: a consensus statement from the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Diabetes care, 29(6), 1433-14386. DOI : 10.2337/dc06-9910 

  5. W-T. Shin & J-W. Lee. (2012). The Effect of Exercise Type on Blood Vessel Inflammatory Markers in Elderly Women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Wellness, 7(1), 201-211. 

  6. D. Kralik, T. Koch, K. Price & N. Howard. (2004). Chronic illness self-management: Taking action to create order,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3, 259-267. 

  7. T. Koch, P. Jenkin & D. Kralik (2004). Chronic illness self-management: Locating the self.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8(5), 484-492. 

  8. H. Holman & K. Lorig. (2004). Patient self-management: A key to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in care of chronic disease, Public Health Reports, 119(3), 239-243. DOI : 10.1016/j.phr.2004.04.002 

  9. H. Yoo, C. J. Kim, Y. Jang & M. A. You. (2011). Self-efficacy associated with self- management behaviors and health status of South Koreans with chronic disease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17(6). 599-606. DOI : 10.1111/j.1440-172X.2011.01970.x 

  10. X. Luo, T. Liu, X. Yuan, S. Ge, J. Yang, C. Li, & W. Sun. (2015). Factors Influencing Self-Management in Chinese Adults with Type 2 Diabet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2(9), 11304-11327. DOI : 10.3390/ijerph120911304 

  11. E. Erdfelder, F. Faul & A. Buchner (1996). GPOWER: A general power analysis program. Behavior research methods. instruments, & computers, 28(1), 1-11. 

  12. B. G. Lee, H. K. Lee, M. H. Kim, B. J. Lem, J. Y. Lee & E. J. Kwag. (1990). A study of needs for physical activity of Korean adults. Journal of Sport Science, 1(2), 1-22. 

  13. A. C. Hurley. (1990). Measuring self-care ability in patients with diabetes: The insulin management diabetes self-efficacy scale. Measurement of nursing outcomes: Measuring client self-care and coping skills, 4, 28-44.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 

  14. P. Rapley, A. Passmore & M. Phillips. (2003). Review of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Diabetes Self­Efficacy Scale: Australian longitudinal study. Nursing & health Sciences, 5(4), 289-297. 

  15. J. Cho, Y. Song, Y. Jun, Y. Lee & J-I. Kim. (2016). The Mediation Role of Unmet Need in Healthcare Providers' Support for Diabetes. Indian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9(35), 1-8. DOI :10.17485/ijst/2016/v9i35/101775. 

  16. D. J. Toobert, S. E. Hampson & R. E. Glasgow. (2000). The summary of diabetes self-care activities measure: results from 7 studies and a revised scale. Diabetes care, 23(7), 943-950. 

  17. K. Kim. (2012). The Factors Affecting Self-Rated Health Status in the Aged with Diabete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4(6), 3075-3086. 

  18. S. I. Nam, K. H. Choi & H. J. Yi. (2014). Self-perceived health status, Depression, and Suicidal Behavior among People with Diabete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45(1), 231-254. 

  19. M-H. Jung, J. Kim. & H-J. Jeon. (2006). Needs and Capacities to Exercise for Low-incom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6(4), 895-910. 

  20. K. O. Lee & Y. S. Byeon. (2000). A Study of needs for physical activity of the elderly, Health & Nursing, Research Institute of Nursing Science, Ewha Womans University, 12(1), 1-16. 

  21. S. K. Hyun & K. S. Yoo. (2015).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exercise needs, exercise commitment and exercise addiction based o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by health club member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1), 563-574. DOI : 10.14400/JDC.2015.13.1.563 

  22. Y. M. Seo & W. H. Choi. (2017). Self Efficacy and Self Care Behavior in Type 2 Diabetes Mellitus : The Mediating Effect of Subjective Health Statu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9(1), 543-556. 

  23. S. Kwon & Y. Kang. (2016). Status of Hypertension Knowledge, Diabetes Mellitus Knowledge, Self-efficacy, Self-care in the Middle-aged Lao Women. Women's Health, 17(1), 19-37. 

  24. E. Y. Hong. (2015).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abetes Knowledge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Focus on Gender Differentia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1(4), 509-517. DOI : 10.5977/jkasne.2015.21.4.509 

  25. A. R. Hwang, J. S. Yoo, H. C. Lee, S. G. Hwang & C. J. Kim. (2000). The effects of exercise therapy applied in an efficacy expectation promoting program on self-efficacy, cardiopulmonary function and metabolism in type 2 diabetes mellitus patient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1), 64-75. 

  26. J-G. Jung, E-Y. Chung, Y-J. Kim, H-J. Park, A-R. Kim, Y-H. Ban, J-S. Kim, S-J. Yoon, S-Y. Kim, S-K. Ahn & H-S. Nam. (2017). Improvement of Knowledge, Self-Efficacy and Self-Care Behaviors among Diabetic Patients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 Program of Sejong Center for Hypertension and Diabetes Management, Journal of Agriculture Medicine Community Health, 12, 234-243. DOI : 10.5393/JAMCH.2017.42.4.234 

  27. H-S. Keum & S-R. Suh. (2014). HbA1c, Self-Efficacy and Self-Care Activities Depending on the Disease Duration of Type 2 Diabetes Mellitus Patients, Journal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14(12), 303-312. DOI : 10.5392/JKCA.2014.14.12.303 

  28. K. Park, H. Lee, Y. Lee, J. Cho, B. Kim, Y. Song. (2017).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 version of Diabetes Empowerment Scale Short Form,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4(4), 296-303. DOI : 10.7739/jkafn.2017.24.4.2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