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도인지장애와 경도 치매의 감별을 위한 대면 이름대기와 범주 이름대기의 예측 성능 비교
Prediction Performance of Naming Tests for Differentiating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Mild Dementia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5, 2020년, pp.153 - 158  

변해원 (호남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언어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정상 노인과 초기 단계의 노년기 인지 장애(경도인지장애(MCI), 경도 치매)의 선별검사인 대면 이름대기와 범주 이름대기의 예측력을 파악하였다. 노년기 인지장애로 진단을 받은 340명(정상 노인 203명, MCI 106명, 경도 치매 31명)을 분석하였다. 대면 이름대기는 단축형 한국판 보스턴 이름대기 검사로 측정하였고, 범주 이름대기는 통제연상단어검사의 의미검사와 음소검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름대기 검사의 예측 성능을 비교하고자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대면 이름대기와 범주 이름대기 검사 모두 일반노인에서 MCI와 경도 치매를 감별하는데 유의미한 효과가 확인되었다(p<0.05). 반면, MCI에서 경도 치매를 감별할 때, 범주 이름대기의 음소검사는 교차비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MCI에서 경도 치매를 감별할 때, 범주 이름대기의 총점만을 측정기준으로 분석하는 것은 유의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identify the predictive power of confrontational naming and generative naming as screening tests for normal and early cognitive impairment. The subjects were analyzed for 203 healthy elderly, 106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31 mild dementia. The confrontational naming was meas...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노년기 인지장애를 감별하기 위한 대면 이름대기와 범주 이름대기를 비교 한 선행 연구는 대부분 적은 수의 대상을 평가했으며, 이름대기 수행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우울증을 통제(또는 보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정상 노인과 초기 단계의 노년기 인지 장애(MCI, 경도 치매)의 선별검사로서의 대면 이름대기와 범주 이름대기의 예측력을 파악하고, 노년기 초기 인지장애의 이름대기 특성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M. H. Connors, L. Quinto & H. Brodaty. (2019). Longitudinal outcomes of patients with pseudodementia: a systematic review. Psychological medicine, 49(5), 727-737. DOI: https://doi.org/10.1017/S0033291718002829. 

  2. S. H. Baik, J. S. Won & M. C. Kim. (2017). A Convergence Study of Korean Adults' Awareness and Attitudes toward Dementia.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9), 191-197. DOI : 10.15207/JKCS.2017.8.9.191. 

  3. D. R. Kim. (2017). An Integrative Review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in Elderly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5), 243-253. DOI : 10.15207/JKCS.2017.8.5.243. 

  4. M. F. Weiner, K. E. Neubecker, M. E. Bret & L. S. Hynan. (2008). Language in Alzheimer's disease. The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69(8), 1223-1227. DOI : 10.4088/JCP.v69n0804. 

  5. H. Byeon. (2019). The effect of computer 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generative naming in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 preliminary stud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9), 167-172. DOI : http://dx.doi.org/10.15207/JKCS.2019.10.9.167. 

  6. D. B. Cooper, L. H. Lacritz, M. F. Weiner, R. N. Rosenberg & C. Cullum. (2004). Category fluency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Reduced effect of practice in test-retest conditions. Alzheimer Disease and Associated Disorders, 18(3), 120-122. DOI : 10.1097/01.wad.0000127442.15689.92. 

  7. K. Rascovsky, D. P. Salmon, L. A. Hansen, L. J. Thal & D. Galasko. (2007). Disparate letter and semantic category fluency deficits in autopsy-confirmed frontotemporal dementia and Alzheimer's disease. Neuropsychology, 21(1), 20-30. DOI : 10.1037/0894-4105.21.1.20. 

  8. A. L. Adlam, S. Bozeat, R. Arnold, P. Watson & J. R. Hodges. (2006). Semantic knowledge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mild Alzheimer's disease. Cortex, 42(5), 675-684. DOI : 10.1016/S0010-9452(08)70404-0. 

  9. S. Jahng, D. L. Na & Y. Kang. (2015). Constructing a composite score for the Seoul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core. Dementia and Neurocognitive Disorders, 14(4), 137-142. DOI : 10.12779/dnd.2015.14.4.137. 

  10. J. Guarch, T. Marcos, M. Salamero & R. Blesa. (2004). Neuropsychological markers of dementia in patients with memory complaints.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9(4), 352-358. DOI : 10.1002/gps.1074. 

  11. D. P. Salmon, R. G. Thomas, M. M. Pay, A. Booth, C. R. Hofstetter, L. J. Thal & R. Katzman. (2002). Alzheimer's disease can be accurately diagnosed in very mildly impaired individuals. Neurology, 59(7), 1022-1028. DOI : 10.1212/wnl.59.7.1022. 

  12. B. McGuinness, S. L. Barrett, D. Craig, J. Lawson & A. P. Passmore. (2010). Executive functioning in Alzheimer's disease and vascular dementia.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5(6), 562-568. DOI : 10.1002/gps.2375. 

  13. A. Vogel, A. Gade, J. Stokholm & G. Waldemar. (2005). Semantic memory impairment in the earliest phases of Alzheimer's disease. Dementia And Geriatric Cognitive Disorders, 19(2-3), 75-81. DOI : 10.1159/000082352. 

  14. T. Dwolatzky, V. Whitehead, G. M. Doniger, E. S. Simon, A. Schweiger, D. Jaffe & H. Chertkow. (2003). Validity of a novel computerized cognitive battery for mild cognitive impairment. BMC Geriatrics, 3(1), e4. DOI : 10.1186/1471-2318-3-4. 

  15. M. A. Lambon Ralph, K. Patterson, N. Graham, K. Dawson & J. R. Hodges. (2003). Homogeneity and heterogeneity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Alzheimer's disease: A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study of 55 cases. Brain, 126(Pt 11), 2350-2362. DOI: 10.1093/brain/awg2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