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상 노인과 경도인지장애의 감별을 위한 언어 기억과 시공간 기억 검사의 예측 성능 비교
Comparison of Predictive Performance between Verbal and Visuospatial Memory for Differentiating Normal Elderly from Mild Cognitive Impairment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6, 2020년, pp.203 - 208  

변해원 (호남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언어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첫째, 경도인지장애(MCI)가 언어 기억 및 시공간 기억 등 특정 기억의 저하와 관련이 있는지를 파악하고, 둘째, 정상 노인으로부터 MCI를 감별하는 데 예측력이 우수한 지표를 탐색하였다. 표준화 된 기억검사를 수행한 189명(정상 노인 103 명, MCI 86 명)을 분석하였다. 언어 기억은 Seoul Verbal Learning Test를 이용하였고. 시공간 기억은 Rey Complex Figure Test를 이용해서 측정하였다. 다항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기억 검사의 예측력을 분석한 결과, 언어 기억과 시공간 기억은 정상 노인으로부터 MCI를 감별하는 데 예측 성능이 유의미하였다. 반면, 각 기억 검사의 수행결과를 포함하여 모든 혼란변수를 보정했을 때, 언어 기억의 즉시 회상만 정상 노인으로부터 MCI를 감별하는 데 예측력이 유의미하였으며, 시공간 기억의 즉시 회상은 예측력이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 결과는 MCI를 선별할 때 언어 기억과 시공간 기억의 지연 회상, 언어 기억의 즉시 회상이 MCI의 기억능력을 감별할 수 있는 최상의 조합임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whether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is related to the reduction of specific memory among linguistic memory and visuospatial memory, and to identify the most predictive index for discriminating MCI from normal elderly. The subjects were analyzed for 189 elderly (103 healthy el...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언어 및 시공간 기억력검사와 인지장애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원점수를T-score로 변환하였고, 다항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사용하여 교차비와 95% 신뢰 구간을 제시 하였다.공변량을 보정하기 위해서 Model 1에서는 연령, 성별, 교육수준, K-MMSE, 우울증을 혼란변수에 포함하였고, Model 2는 Model 1에서 보정한 혼란변수 외에 추가로 기억 검사 수행결과를 보정하였다.
  • 정상 노인과 MCI의 일반적인 특성은 평균과 백분율로 제시하였고, 그룹 간의 차이는 연속형 변수는independent t-test를 사용하여 확인하였고, 명목형 변수는 교차검정으로 확인하였다. 언어 및 시공간 기억력검사와 인지장애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원점수를T-score로 변환하였고, 다항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사용하여 교차비와 95% 신뢰 구간을 제시 하였다.공변량을 보정하기 위해서 Model 1에서는 연령, 성별, 교육수준, K-MMSE, 우울증을 혼란변수에 포함하였고, Model 2는 Model 1에서 보정한 혼란변수 외에 추가로 기억 검사 수행결과를 보정하였다.
  • 종합하면, 기억을 언어 기억과 시공간 기억으로 분류해서 MCI를 감별하기 위한 예측 성능을 탐색하는 것은노년기 인지장애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주제이며, 이를 위해서는 우울증 등 기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통제한 상태에서 기억과 MCI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대규모 관찰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첫째,MCI가 언어 기억 및 시공간 기억 중에서 특정 기억의 감소와 관련이 있는지를 파악하였고, 둘째, 즉각 회상(immediate recall), 지연 회상(delayed recall), 재인(recognition) 중 정상 노인으로부터 MCI를 감별하는데 가장 예측력이 우수한 검사 지표가 무엇인지를 확인하였다.

대상 데이터

  • 본 연구는 NRF의 지원과 H대학교의 연구윤리 심의위원회의 승인(2018R1D1A1B07041091; 2019S1A5A8034211)을받아서 진행되었다. 기억검사는 2018년 3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경기도 소재한 종합병원 3곳에서 피험자와대면하여 수행하였다. MCI는 정신과 전문의로부터 신경학적 진단결과를 참고하여 판정되었다.
  • MCI는 정신과 전문의로부터 신경학적 진단결과를 참고하여 판정되었다. 대상자 중에서 기억 검사(언어 기억 검사, 시공간 기억 검사)에서 1개 이상문항의 결측값(무응답 또는 검사중단)이 있는 대상 24명이 분석에서 제외되었고, 최종 189명(정상 노인 103명,MCI 86명)을 분석하였다.
  • 이 연구는 표준화된 기억검사를 수행한 우리나라의60세 이상의 노인 213명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NRF의 지원과 H대학교의 연구윤리 심의위원회의 승인(2018R1D1A1B07041091; 2019S1A5A8034211)을받아서 진행되었다.

데이터처리

  • 정상 노인과 MCI의 일반적인 특성은 평균과 백분율로 제시하였고, 그룹 간의 차이는 연속형 변수는independent t-test를 사용하여 확인하였고, 명목형 변수는 교차검정으로 확인하였다. 언어 및 시공간 기억력검사와 인지장애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원점수를T-score로 변환하였고, 다항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사용하여 교차비와 95% 신뢰 구간을 제시 하였다.

이론/모형

  • 언어 기억은 언어 학습과 기억 검사로 전 세계에서 널리 사용되는 Hopkins Language Learning Test를 한국인에게 적절한 단어 목록으로 표준화 한 Seoul Verbal Learning Test(SLVT)[14]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SVLT는 즉각 회상과 20분 후에 다시 검사를 수행하는 지연 회상, 재인의 3가지 하위 검사로 구성된다.
  • 공변량에는 연령,성별, 교육수준, 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K-MMSE), 우울증 유병이 포함되었다. 우울증은 15문항의 Short version of the geriatric depressionscale (SGDS-K)을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우울증의 절단점(cut-off point)은 8점으로 정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MCI)란 무엇인가? 최근에는 노화로 인한 인지감퇴와 알츠하이머 치매의중간 단계로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MCI)라는 개념이 등장하면서 치매의 조기 선별과 예방에 대한 관심이 더욱 고조되고 있다[10]. MCI는 치매는아니지만 환자가 주관적인 기억력 저하를 호소하는 경한수준의 인지장애로서 정상적인 노화과정에서의 인지감퇴와 구별되는 치매의 전(前)임상 단계로 알려져 있다[11].
치매의 조기 선별과 예방에 대한 관심이 더욱 고조되는 이유는? 0%로 추산되었다[2]. 그러나 지금과 같은 저출산과 고령화의 경향이 지속된다면,치매로 인한 사회적 부담은 2050년에는 430억 달러로GDP의 1.5%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된다[2, 3]. 이처럼치매가 우리나라의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등장하면서 의학, 보건학, 언어병리학, 사회복지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치매의 예방 및 관리에 대한 학자들의 관심이 증대 되었으며, 더불어 조기 감별을 위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있다[4].
향후 노인에게보다 적합한 시공간 기억 검사가 필요한 이유는? 또 다른 가능성은 시공간 기억을 검사하는 RCFT의측정 방법에 대한 어려움 때문으로 사료된다. RCFT는시공간 구성능력과 및 시공간 기억을 측정하기 위한 신뢰성과 타당도가 높은 검사이지만, 노인의 경우 지나치게복잡한 검사 방법으로 인해 정상 노인의 경우에도 수행력이 저하된다는 지적이 있다[23]. 따라서 향후 노인에게보다 적합한 시공간 기억 검사를 적용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K. W. Kim er al. (2011). A nationwide survey on the prevalence of dementia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in South Korea. Journal of Alzheimer's Disease, 23(2), 281-291. DOI : 10.3233/JAD-2010-101221. 

  2. S. W. Kim & C. J. Lee. (2014) Dementia management system in Korea. Seoul: National Assembly Budget Office. 

  3. S. H. Kim & S. H. Han. (2012). Prevalence of dementia among the South Korean population. The Journal of Korean Diabetes, 13(3), 124-128. DOI : 10.4093/jkd.2012.13.3.124. 

  4. H. Byeon. (2019). The effect of computer 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generative naming in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 preliminary stud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9), 167-172. DOI : http://dx.doi.org/10.15207/JKCS.2019.10.9.167 

  5. S. A. Small, Y. Stern, M. Tang & R. Mayeux. (1999). Selective decline in memory function among healthy elderly. Neurology, 52(7), 1392-1392. DOI : 10.1212/wnl.52.7.1392. 

  6. E. Grober, C. B. Hall, R. B. Lipton, A. B. Zonderman, S. M. Resnick & C. Kawas. (2008). Memory impairment, executive dysfunction, and intellectual decline in preclinical Alzheimer's disease.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uropsychological Society, 14(2), 266-278. DOI: 10.1017/S1355617708080302. 

  7. S. Alam & G. R. Kwon. (2016). Convergence performance comparison using combination of ML-SVM, PCA, VBM and GMM for detection of AD.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7(4), 1-7. DOI : 10.15207/JKCS.2016.7.4.001. 

  8. D. Getsios, S. Blume, K. J. Ishak, G. Maclaine & L. Hernandez. (2012). An economic evaluation of early assessment for Alzheimer's disease in the United Kingdom. Alzheimers and Dementia, 8(1), 22-30. DOI: 10.1016/j.jalz.2010.07.001. 

  9. N. G. Kim & H. W. Lee. (2019). A Convergent Approach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Alzheimer's Disease : Stereoscopic Vis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5), 103-110. DOI : 10.15207/JKCS.2019.10.5.103. 

  10. K. M. Langa & D. A. Levine (2014).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a clinical review. JAMA, 312(23), 2551-2561. DOI: 10.1001/jama.2014.13806. 

  11. R. C. Petersen, R. Doody, A. Kurz, R. C. Mohs, J. C. Morris, P. V. Rabins, K. Ritchie, M. Rossor, L. Thal & B. Winblad. (2001). Current concepts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Archives of Neurology, 58(12), 1985-1992. DOI : 10.1001/archneur.58.12.1985 

  12. N. C. Fox, E. K. Warrington, A. L. Seiffer, S. K. Agnew & M. N. Rossor. (1998). Presymptomatic cognitive defitits in individual at risk of familiar Alzheimer's disease. A longitudinal prospective study. Brain, 121(9), 1631-1639. DOI : https://doi.org/10.1093/brain/121.9.1631 

  13. J. Hort, J. Laczo, M. Vyhnalek, M. Bojar, J. Bures & K. Vlcek. (2007). Spatial navigation deficit in amnestic mild cognitive impairment.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04(10), 4042-4047. 

  14. H. J. Ahn, J. Chin, A. Park, B. H. Lee, M. K. Suh, S. W. Seo & D. L. Na. (2010). Seoul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dementia version (SNSB-D): a useful tool for assessing and monitoring cognitive impairments in dementia patients.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25(7), 1071-1077. DOI : 10.3346/jkms.2010.25.7.1071 

  15. R. Savage, N. Lavers & V. Pillay. (2007). Working memory and reading difficulties: What we know and what we don't know about the relationship.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9(2), 185-221. DOI : 10.1007/s10648-006-9024-1 

  16. H. J. Lee, H. S. Lee, S. H. Choi, M. Nam, S. J. Jang & H. Y. Jung. (2001). Difference in memory between dementia of the Alzheimer’s type and elderly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 641-661. 

  17. P. J. Massman, D. C. Delis & N. Butters. (1993). Does impaired primacy recall equal impaired long-term storage?: Serial position effects in Huntinton's disease and Alzsheimer's disease. Developmental neuropsychology, 9(1), 1-15. DOI : 10.1080/87565649309540540 

  18. N. Butters, E. Granholm, D. P. Salmon, I. Grant & J. Wolfe. (1987). Episodic and sementic memory: A comparison of amnestic and demented patients. Journal of Clinical and Experimental Neuropsychology, 9(5), 479-497. DOI : 10.1080/01688638708410764 

  19. K. A. Welsh, N. Butters, J. P. Hughes, R. C. Mohs & A. Heyman. (1992). Detection and staging of dementia in Alzheimer's disease. Use of the neuropsychological measures developed for the Consortium to Establish a Registry for Alzheimer's Disease. Archives of Neurology, 49(5), 448-452. DOI: 10.1001/archneur.1992.00530290030008 

  20. L. deToledo-Morrell, T. R. Stoub, M. Bulgakova, R. S. Wilson, D. A. Bennett, S. Leurgans, J. Wuu & D. A. Turner. (2004). MRI-derived entorhinal volume is a good predictor of conversion from MCI to AD. Neurobiology of aging, 25(9), 1197-1203. DOI: 10.1016/j.neurobiolaging.2003.12.007 

  21. M. A. Nowrangi, C. G. Lyketsos & P. B. Rosenberg. (2015). Principles and management of neuropsychiatric symptoms in Alzheimer's dementia. Alzheimer's research and therapy, 7(1), 12. DOI: 10.1186/s13195-015-0096-3 

  22. E. Salmon & G. Franck. (1989). Positron emission tomographic study in Alzheimer's disease and Pick's disease.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Supplement, 1, 241-247. 

  23. K. B. Boone, S. Ghaffarian, I. M. Lesser, E. Hill-Gutierrez, N. G. Berman & L. F. D'elia. (1993). Rey-osterrieth complex figure performance in healthy, older adults: Relationship to age, education, sex, and IQ. Clinical Neuropsychologist, 7(1), 22-28. DOI : 10.1080/138540493084018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