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Kindergarten Teachers' Resilience in the 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Burnout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6 no.2, 2020년, pp.25 - 31  

류슬기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  김상림 (인천대학교 유아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조절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소재 유치원에 근무하는 유치원교사 164명이다. 연구대상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 및 회복탄력성은 설문지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활용하여 분석했으며, 기술통계분석과 Pearson 상관관계분석 및 위계적중다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심리적 소진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회복탄력성은 심리적 소진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와 같은 영향은 회복탄력성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aimed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kindergarten teachers' resilience in the 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burnout. The subjects were 164 early childhood teachers in Metropolitan area, South Korea. We measured subjects' job stress, psychological burnout, and resilience u...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able 2에서와 같이 종속변인으로 심리적 소진을 선정하고 위계적회귀분석을 실시함에 있어서, 독립변인으로 1단계에서 직무스트레스를 투입하고, 2단계에서는회복탄력성을 투입했으며, 3단계에서는 직무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의 상호작용항을 투입했다. 각 단계별 모형의 유의성과 심리적 소진에 대한 설명량의 변화를 살펴봤다. 그 결과 2단계에서 직무스트레스( =.
  • 이상에서와 같은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교사의 이직과 업무 저하를 초래하는 심리적 소진의 중요성에 주목하고,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고찰하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유치원교사의 소진과 관련된 직무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에 대해 이해하고 유아교육을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연구목적은 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 및 회복탄력성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 간 관계를 회복탄력성이 조절하는가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를 토대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이상에서와 같은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교사의 이직과 업무 저하를 초래하는 심리적 소진의 중요성에 주목하고,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고찰하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유치원교사의 소진과 관련된 직무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에 대해 이해하고 유아교육을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유치원교사가 직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지각하는 심리적·신체적 안녕을 저해하는 부정적인 정서 상태로 정의하겠다.
  • 나아가 유치원교육은교과서를 중심의 초등학교와 운영 측면에서 상이하고 다른 학교 급 교사에 비해 장시간 유아들과 같은 공간에서 상호작용하므로 유치원교사의 심리적 소진은 교육의 질적 수준과 더욱 직결된다[4]. 이와 같은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교사의 심리적소진에 주목하고 이와 관련된 변인에 대해 고찰하고자한다.
  • 예컨대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정적 영향은 인천광역시 소재의 공사립유치원[6], 경북 지역의 공립유치원[8] 및 부산광역시 소재 사립유치원[7, 9]에 근무하는 교사를 대상으로 검증되었다. 이와 같은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소재 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를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자 한다.
  • 나아가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력이 회복탄력성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나타난 본 연구결과는 부산광역시 소재 사립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수행된 임해은[7]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이와 같이 선행연구 결과와의 논의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교사의 회복탄력성이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결론 내리고자 한다. 즉, 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을 가중시키는 영향을 미치나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이 감소하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심리적 소진이란 무엇인가? 유치원교사는 상대적으로 스트레스가 많은 직업이며,누적된 스트레스는 심리적 소진으로 이어질 수 있다. 심리적 소진이란 업무상 대인관계를 주로 담당하는 사람들에게서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는 증후군의 하나로,정서적 고갈과 비인간화 및 개인적 성취감을 주된 증상으로 수반한다[1]. 유치원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대한 최근 연구결과는 심리적 소진이 교사 자신과 유아 및 조직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에 대해 일관적으로 보고하고 있다[2-3].
본 연구의 제한점은 무엇이 언급되는가? 본 연구의 제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구방법론적 측면에서 수도권에 소재한 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므로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한계가 있다. 이에 다양한 지역의 연구대상을 포함한 추후 연구를 통해 연구결과를 추가적으로 검증하는 것이 요구된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는 횡단적 연구설계를 적용하여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했다.
사립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무엇에 영향을 미치며, 무엇으로 조절되는가? 나아가 임해은[7]은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보고한 바 있다. 즉, 사립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이와 같은 관계는 회복탄력성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한편 김효정[18]은 초등교사의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이 매개효과를 보였으나 조절효과는 보이지 않는 것으로보고하여,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에 대한 추가 연구가요구됨을 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C. Maslach, S. E. Jackson, and R. L. Schwab, Maslach Burnout Inventory-Educators Survey (MBI-ES). In C. Maslach, S. E. Jackson, and M. P. Leiter (Eds.), "MBI Manual (3rd ed.),"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1996. 

  2. Kim., H. K.,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Teacher Burnout, Teacher Efficac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s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Doctoral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Daegu, South Korea, 2018. 

  3. B. S. Yee, S. K. Kang, and M. R. Chung, “The Mediated Effects of Burnou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Resilience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JYE), Vol. 24, No. 3, pp. 75-94, 2016. 

  4. J. Y. Kwon, M. R. Chung, S. K. Park, “The Relations between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f Kindergarten and Burnout of Teachers,”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ECERR), Vol. 17, No. 5, pp. 251-266, 2013. 

  5. M. A. Do and H. S. Yoo,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Job Stress & Coping Methods,"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JEBD), Vol. 27, No. 2, pp. 261-289, 2011. 

  6. An, K. S.,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on Burnout for Kindergarten Teachers, Master's Thesis, Incheon National University, Incheon, South Korea, 2018. 

  7. Lim, H. E., The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Burnout of Kindergarten Teachers, Master's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South Korea, 2015. 

  8. Yang, J. H., Relation between teacher burnout and adverse perfectionism of kindergarten teachers,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work stress,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South Korea, 2012. 

  9. Kang, M. S., Mediating effects of stress coping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es and psychological burnouts of kindergarten teachers, Master's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South Korea, 2012. 

  10. S. R. Lim and H. J. Kwon, "An Analysis on turnover intentions of novice Kindergarten Teachers Who left kindergarten at beginning teacherhood,"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JKOAECE), Vol. 10, No. 4, pp. 361-391, 2005. 

  11. M. W. Fraser, L. D. Kirby, and P. R. Smokoski, Risk and resilience in childhood. In M. W. Fraser (Ed.), "Risk and resilience in childhood," pp, 13-66, Washington, DC: NASW Press, 2003. 

  12. J. H. Kim, "Resilience: A Delightful Secret that Turns Trials into Luck, Goyang: Wisdom House, 2011. 

  13. S. S. Luthar, D. Cicchetti, and B. Becker, "The Construct of resilience : A Critical Evaluation and Guideline for Future Work," Child Development(CD), Vol. 71, No. 3, pp. 543-562, 2000. 

  14. A. S. Masten, "Ordinary Magic : Resilience Processes in Development," The American Psychologist(AP), Vol. 56, No. 3, pp. 227-238, 2001. 

  15. Jo, J. Y., The Effect of Jog Stress on Psychological Exhaustion Among Directors of Public Child Care Centers : A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2018. 

  16. Yoon, D. H., The Effects of Job Stress and Resilience on Psychological Burnou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South Korea, 2015. 

  17. J. H. Lee and J. H. Lim, "The Effects of Child Care Teachers'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n Job Stress,"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ECEC), Vol. 12, No. 4, pp. 197-214, 2017. 

  18. Kim., H. J.,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the Burn-ou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 Focusing on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professional identity and resilience, Doctoral Dissertation, Kyonggi University, Suwon, South Korea, 2018. 

  19. Shin., H. Y., Effects of teachers' job stress and belief of efficacy on the quality of teachers' interaction behaviors in child care,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2004. 

  20. Oh, S. K., A Study on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of Chil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in Korea, Master's Thesis, Chongju University, Chongju, South Korea, 2001. 

  21. Lee., J. W., An Exploration of the relations with emotional labor of childcare teachers,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emotional-values, job satisfaciton, burnout,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2007. 

  22. W. Y. Shin, M. G. Kim, and J. Han. Kim, “Developing Measures of Resilience for Korean Adolescents and Testing Cross,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Studies on Korean Youth(SKY), Vol. 20, No. 4, pp. 105-131, 2009. 

  23. Choi, S. K., An influence of job satisfaction and work stress to exhaustion of infant teachers at nursery,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2012. 

  24. Seok, R., A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Teachers' Emotional Labor, Job Stress, and Burnout,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2014. 

  25. E. H. Park and S. B. Jun, “The Investigation of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That Influence Resilience in Kindergarten Teachers,”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JKTE), Vol. 27, No. 1, pp. 253-275, 2010. 

  26. Kim, M. Y., A Study on the resilience and burn-out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According to Their Personal Variables, Master's Thesis, Woosuk University, Wanju, South Korea, 2016. 

  27. Q. Gu and C. Day, "Teachers Resilience: A Necessary Condition for Effectivenes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TTE), Vol. 23, pp. 1302-1316,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