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화하는 사운드 아트 (2부): 탈경계적 현대예술의 발전에 대한 궁리(窮理)
The Evolving Sound Art (Part 2): A Deliberation about Advancement of Contemporary Genre-Disruptive Art Practice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6 no.2, 2020년, pp.169 - 176  

이은영 (호서대학교 혁신융합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사운드 아트 분야의 성장과 확장이 활발해질수록 우리는 다양한 예술적 작품들과 활동들을 현명하게 향유하고 적합하게 감상하기 위해 예술사회학적(sociology of the arts) 그리고 인지과학적 관점을 수용하여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 이유는 현 시대에서 창작되는 새로운 예술의 가치평가는 오늘날의 복잡한 환경, 예술 생산, 그리고 소비에 대한 분석과 검증을 바탕으로 평가와 비평을 되어야 하기 때문이며 이러한 평론이 신예술의 중흥을 위해 필요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음악계과 미술계의 관점을 넘어서 사회학적으로 사운드 아트를 분석하고 비평하여야 하는 이유, 그리고 그동안 국내 사운드 아트 실천의 유일한 활동 무대였던 다원예술분야의 지원등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간략히 짚어서 앞으로 이러한 탈경계적(borderless)이거나 실험적인(experimental) 예술 분야의 발전을 위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sound art field is keep growing and expanding, we shall contemplate from the sociology of the arts and cognitive science point of views to wisely accept and properly appreciate various artistic works and practices. It is because the value evaluation of new arts shall substantially involve ana...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오늘날처럼 복잡한 사회에서 각각의 사운드 아트 작품이 창작자의 독특하고 의미 있는 표현으로 이해되기 위해서는 열린 예술 평론의 장, 그리고 담론을 공유하고 분석하는 문화가 조성되어야 할 것이며, 관련 기관들, 예술가들과 감상자들 간의 다양한 네트워크가 활용되는 등 제도권 안팎에서 국내외적으로 서로 소통의 노력을 멈추지 않아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사운드 아트가 예술계(art world)에서 성숙한 장르로 성장하는 데 있어서 어떠한 현실적인 어려움을 가지는지를 살폈고, 향후 이 예술이 발전하기 위해서전문적이면서도 수용적인 담론의 장이 필요한 당위성, 그리고 그러한 환경을 어떻게 조성할 수 있을지 그 방법을 모색해보고자 했다. 혹시 이 글을 읽는 실천적인활동을 하는 무명의 사운드 아티스트가 있다면, 자신이 속한 사회에서 서로 다른 제도권과 장르들의 벽을 넘어서서 인정받는 것 자체가 쉽지 않은 현실적인 한계에 부딪힌다고 하여 좌절하여 포기하는 것 보다는 끊임없이 방법을 계속 모색하면서 보다 넓은 소통의 장으로 나아가고자 노력하고 스스로 자생할 수 있는 힘을 쌓는 노력을 할 필요를 마음에 새겨보았으면 한다.
  • 시간의 흐름에 따라 유기적으로 생성되는 새로운 울타리와 경계가 만들어지면서 그 밖의 것은 수용하지 않는 습성이 생기기 쉬우므로, 그러한 편향성에 매몰되지 않기 위해서라도 작게는 ‘소리’와 관련된 다양한 지식과 경험, 현상과 기술들에 대한 개념과 적용을, 폭넓게는 현대 사회의 속성과 환경을 고려하여 사회적·문화적인 의미와 가치에 대한 명분과 도전을 두루 살피며 이 분야의 예술을 연구하고 평론하는 것이 발전적일 것이다. 이러한 필요성의 인식하에, 본 논문은 예술사회학적 그리고 인지과학적 관점에서 고려할 부분이 어떠한 것이 있을지 살펴보고, 국내 창작환경의 여건과 이상적인 미래 평론의 장(場)은 어떠해야 할지에 대한 의견을 제시함으로써 사운드 아트 분야의 발전과 탈경계적 현대 예술의 발전을 위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빅토리아 알렉산더는 예술계의 역할을 무엇이라 하였는가? Alexander)는 자신의 저서 『예술사회학』에서 하워드 베커(Howard S.Becker)의 주장을 인용하면서 어떠한 종류의 예술가들은 예술계의 관행을 따르지 않고 어느 정도의 혁신을 도모하고, 예술계는 예술가와 그의 작품에서 혁신과 관행이 얼마나 조화를 이루는지를 평가해야 한다고 설명하였다[6]. 탈경계적 현대예술 작가와 작품의 경우는 무엇보다도 이러한 조화를 고려하여서 평가를 받는 것이 분명 필요할 것이다.
사운드 아트란 무엇인가? 사운드 아트를 평론하는 데 있어서 참고할 또 한 가지 관점은 생태문화 인지과학(bio-cultural cognitivescience)의 시각을 살펴보는 것이다. ‘소리’라는 재료를 인간의 표현물로써 제시하고 활용하는 사운드 아트를 논하는 데 있어서 불가분적으로 살펴야 하는 분야는‘음악’과 ‘인간의 마음(mind)’이고, 특히 그들의 근원에 대한 물음과 추측을 쉽게 간과할 수 없기 때문이다. 우리는 인간의 생물학적 진보와 문화적 진보의 차이를 인정하면서도 음악과 언어가 공유되는 근원을 받아들이는 음악언어(musilanguage)적인 접근에 대한 긍정적인측면을 이야기한 쉬프(Dylan Van der Schyff)의 논문[9]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전자음악은 어떤 방식으로 전통악기의 소리에서 벗어난 소리를 만들어냈는가? 존 케이지(JohnCage)를 비롯한 실험적 음악가들은 전통적 기법은 물론, 음악의 개념 및 범위, 작품개념 자체에 대한 도전을 했으며, 특히 전자음악은 전통악기의 소리에서 벗어나 음악의 재료 그 자체를 새롭게 만들려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소리발진기(oscillator)나 소리 합성기(synthesizer)를 사용하여 순음(pure tone)을 겹치게 하거나 뛰게 하고, 소음을 주거나 억눌러 소리재료를 생산하고, 이를 일그러뜨리거나 잔향, 메아리 등을 넣어 변형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변화시키는 작업은 주로 첨단의 장비를 다양하게 활용하면서 실험되었다[7]. 전자음악의 선구적 작곡가로 평가되는 슈톡하우젠(K.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Gal, B., Updating the History of Sound Art Additions, Clarifications, More Questions. Leonardo Music Journal, 2017. 27(1): p. 78-81. 

  2. Licht, A.J.O.S., Sound Art: Origins, development and ambiguities. 2009. 14(1): p. 3-10. 

  3. 이은영, 진화하는 사운드 아트 (1 부): 소리의 특이성과 시대적 기록.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JCCT), 2020. 6(1): p. 395-401. 

  4. 김자현, 장., 탈경계 시대의 예술-사운드 아트 퍼포먼스와 현대음악의 유사점과 차이점 / The Art of Borderless Age-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between Sound Art Performance and Contemporary Music: Focusing on the Works of Three Sound Artists. 문화산업연구, 2017. 17: p. 181-191. 

  5. 심상미, 사운드 아트의 세부장르 분석연구. 2012,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서울. 

  6. Alexander, V.D., 예술사회학 (Sociology of the Arts). 2003: 살림출판사. 

  7. 오희숙, 20세기 음악 1 역사? 미학. 2004, 서울: 심설당. 

  8. Zolberg, V. L., 예술사회학: 예술.인문학.사회과학 사이의 가교. 2000, 서울: 나남출판. 

  9. Van der Schyff, D.J.H.J.o.M., Education and Culture, Music, culture and the evolution of the human mind: looking beyond dichotomies. 2014. 4(1). 

  10. Falk, D., Prelinguistic evolution in early hominins: Whence motherese? Behavioral and Brain Sciences, 2004. 27(4): p. 491-503. 

  11. Trehub, S.E., Musical predispositions in infancy.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2001. 930(1): p. 1-16. 

  12. Brown, S., Evolutionary models of music: From sexual selection to group selection, in Perspectives in Ethology. 2000, Springer. p. 231-281. 

  13. Dunbar, R., Coevolution of neocortical size, group size and language in humans. Behavioral and Brain Sciences, 1993. 16(4): p. 681-694. 

  14. Miller, G., Evolution of human music through sexual selection. 2000: na. 

  15. Cross, I., Is music the most important thing we ever did? Music, development and evolution. 1999. 

  16. Cross, I., Music, cognition, culture, and evolution.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2001. 930(1): p. 28-42. 

  17. Pinker, S., How the mind works. 1997, New York: Norton. 

  18. Richerson, P.J. and R. Boyd, Not by genes alone: How culture transformed human evolution. 2008: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 Panksepp, J., The emotional antecedents to the evolution of music and language. Musicae Scientiae, 2009. 13(2_suppl): p. 229-259. 

  20. Crane, D., Reward systems in art, science, and religion.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1976. 19(6): p. 719-734. 

  21. Bayles, D. and T. Orland, Art & fear: Observations on the perils (and rewards) of artmaking. 2001: Image Continuum Press. 

  22. Gogh, V.v., 반 고흐, 영혼의 편지 1, 고흐의 불꽃같은 열망과 고독한 내면의 기록. Vol. 1. 2017, 서울: 위즈덤 하우스. 

  23. 윤지현, 다원예술과 한국의 무용공연 -'창작 춤집단 가관'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무용기록학회지, 2008. 15: p. 61-9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