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의 지역사회와 지역커뮤니케이션의 구조 - 인천광역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Local Community and the Structure of Local Communications in Korea ―The Case of Incheon City

韓國民族文化, 2011 no.39 = no.39, 2011년, pp.327 - 365  

윤상길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지역장소의 의미를 복원하기 위한 이론적 틀로서 지역커뮤니케이션의 의미를 논의하고, 그 틀에 기반하여 인천광역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지역참여적 미디어 정책의 현황을 시론적으로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우선, 본고는 지역장소의 의미를 복원하기 위한 이론적 틀에 대한 모색으로서, 확장된 미디어 개념에 입각해 참가형의 지역커뮤니케이션은 도시공간의 토지성을 매개로 한 다양한 ‘스페이스 미디어’에 의존하고 있음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틀에 입각하여, 본고는 스페이스 미디어를 중심으로 인천광역시의 지역커뮤니케이션 현황을 살펴보는 한편, 지역커뮤니케이션의 구조에 개입하고자 하는 차원에서 시도되었던 지난 5년간의 참여적 미디어정책 현황을 인천문화재단과 주안영상미디어센터의 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고의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천의 지역커뮤니케이션 구조, 특히 지역커뮤니케이션 활성화의 장소적 거점으로서 스페이스 미디어는 대체로 2000년대 말 무렵부터 변화의 징후가 뚜렷하게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영상미디어교육을 지역의 작은도서관과 연계해서 추진하는 주안영상미디어센터의 사례나 수봉도서관과 영종도서관을 지역과 화합을 이루는 문화적 공공도서관으로 운영하고자 한 인천문화재단의 사례는 공공도서관이 지역정보센터로서 기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2009년 이후 인천의 지역축제는 참가자가 주로 지역민이었다는 점에서 지역민 간 소통의 장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발전된 것으로 평가된다. 둘째, 인천문화재단은 일반 지역주민, 교사, 이주노동자, 새터민, 장애우학생 등과 같은 다양한 계층의 지역주민을 문화예술인과 관계 맺도록 하는 참여적 문화예술정책을 펴는 한편, 문화적 활력을 잃어버린 구도심 지역의 도시재생사업과 공공미술 프로젝트에 대한 지원사업을 추진함으로써, 지역장소에 벌어지는 다양한 문화활동에 대한 지역민의 참여를 통해 지역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시키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셋째, 주안영상미디어센터는 협동조합, 주민센터, 마을도서관 등과 같은 다양한 지역공동체와의 적극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한편, 이주민여성, 노인층, 장애우등과 같은 지역사회 내 다양한 계층을 대상으로 정보미디어에 대한 교육을 추진함으로써, 지역사회 내 스페이스 미디어와 정보미디어 간의 연계를 적극적으로 모색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theory of local communications in order to restore the communicative meaning of local places, and examine preliminarily the present conditions of local-participatory media policies focusing on the case of Incheon city. This paper examined the structure of local communi...

주제어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