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문대학 교수의 교육요구도 분석: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Educational Needs of College Faculty: A College Case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6 no.2, 2020년, pp.239 - 250  

김민정 (장안대학교 유아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전문대학 교수의 역량을 도출하고 교수의 경력별 교육요구도를 살펴보기 위해 실시되었으며, 경기도에 소재한 한 전문대학에 소속된 전임교수 110명을 대상으로 2018년 11월 27일부터 12월 7일까지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전문대학 교수의 역량은 교육역량 10가지와 일반역량 7가지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역량에서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가 나타나, 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t-검정Borich 요구도 분석에 의하여 경력에 따른 교수의 교육요구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경력 5년 이하 집단과 6년에서 10년의 경력을 보유한 집단, 경력 11년 이상 집단에서 서로 다른 교육요구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전문대학 교수의 역량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 훈련의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구체적인 로드맵과 훈련 매뉴얼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licit the competencies of college faculties and their educational needs depending on the careers. 110 full-time professors from A college in Gyeonggi-do participated in this study from November 27 to December 7, 2018. The findings are that competencies of college faculti...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그간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했던 전문대학 교수의 역량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교육요구도를 탐색해 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교육의 요구도와 필요도를 판단하는 데 초점을 두어, 역량모델링 절차에 따라 주요 역량을 도출하기 보다는 선행연구를 활용한 설문조사 방식으로 교수자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도출하였다.
  • 본 연구는 전문대학 교수의 역량을 규명하고, 경력에 따른 교육요구도를 파악하여, 효과적인 교육훈련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교육훈련체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교수의 교육요구도가 경력별로 차이를 보이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참여자를 임용 5년 이하, 6년–10년, 11년 이상의 세 집단으로 구분하여 수업역량과 일반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전문대학 교수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규명하고, 교수의 경력에 따라 어떠한 교육요구도가 존재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라 주요 결과를 논의해 보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전문대학 교수의 역량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경력별 교육요구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통해 전문대학 교수의 교육역량과 일반역량을 도출하고, 각 역량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t검정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전문대학 교수의 역량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요인분석은 수업역량과 일반역량 각각에 대해 실시되었으며, 요인 추출은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방식을 활용하고, 요인의 회전은 Oblimin 방식을 활용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 교수에게 필요한 역량을 도출하고 교수자의 경력별로 해당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전문대학 교수학습의 질적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전문대학은 자유로운 학문 탐구를 중요하게 여기는 4년제 대학과는 달리, 전문직업인의 육성을 목표로 운영되고 있으므로[21], 전문대학 교수에게 요구되는 역량과 이에 따른 교육요구도는 4년제 대학 교수와는 다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문대학 교수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도출하고, 교수의 경력별로 해당 역량의 중요도와 실행도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경력에 따른 교수의 교육요구도(needs)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전문대학을 대상으로 한 교수지원 프로그램의 설계와 운영을 위한 실증자료로서 학문적․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가설 설정

  • 둘째, 전문대학 교수는 역량 향상을 위해 어떠한 교육을 필요로 하는가?
  • 첫째, 전문대학 교수에게 요구되는 역량은 무엇인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역량이란? 교수역량을 향상하기 위한 제언을 제공하고 있는 여러 선행연구들은 효과적인 교수지원 프로그램의 마련을 위해서는 대학의 특성을 반영하여 교수자의 역량을 유목화 하는 작업이 우선시되어야 하며[8], 해당 역량에 대한 부족분을 파악하여 프로그램을 설계 및 운영해야 한다고 제언하고 있다. 역량(competency)은 특정 상황에서 우수한 성과를 이끌어낼 수 있는 개인의 특성[9][10]을 의미하는 것으로, 지식, 기술, 태도, 동기, 가치관 등의 복합체이며, 훈련을 통해 향상될 수 있는 속성을 지니고 있다[11]. 역량에 대한 정의를 바탕으로 전문대학 교수자의 역량을 재정의해 보면, 전문대학 교수자의 역량은 전문대학 교수로서의 과업을 중심으로 한 역동적 활동과 관련된 것으로, 훈련을 통해 개선 및 향상 될 수 있는 지식, 기술, 태도, 동기, 가치관 등의 복합체라고 이야기할 수 있다.
전문대학 교수자의 역량이란 무엇인가? 역량(competency)은 특정 상황에서 우수한 성과를 이끌어낼 수 있는 개인의 특성[9][10]을 의미하는 것으로, 지식, 기술, 태도, 동기, 가치관 등의 복합체이며, 훈련을 통해 향상될 수 있는 속성을 지니고 있다[11]. 역량에 대한 정의를 바탕으로 전문대학 교수자의 역량을 재정의해 보면, 전문대학 교수자의 역량은 전문대학 교수로서의 과업을 중심으로 한 역동적 활동과 관련된 것으로, 훈련을 통해 개선 및 향상 될 수 있는 지식, 기술, 태도, 동기, 가치관 등의 복합체라고 이야기할 수 있다.
교육환경의 개선이 교수자의 역량 향상을 우선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우수한 인적자원의 육성은 교육환경의 개선이나 지원을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지만, 무엇보다 교육을 실제로 수행하는 주체인 교수자의 역량 향상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1][2]. 교수자는 학생, 교육내용, 교육환경과 더불어 교육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넘을 수 없다’는 오랜 격언에서도 알 수 있듯이, 교육의 질 자체를 끌어올릴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변인이기 때문이다[3]. 이에, 국내외 여러 대학에서는 교수자의 역량 향상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을 개발 및 운영하고 있으나, 체계성을 갖추지 못한 채 운영되고 있으며, 선도 대학의 프로그램을 모방하여 이식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4][5][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R. Ju, & J. I. Choi, "Analysis on the Perception of Instructional Consultation to Enhance Teaching Competencies of Professors", The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Vol. 49, No. 4, pp. 71-91, 2018. (DOI http://dx.doi.org/10.15854/jes.2018.12.49.4.71) 

  2. M. M. Kowal, "Evolution of a profession: A review of the community engagement professional in higher education: A competency model for an emerging field",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on Service-Learning and Community Engagement, Vol. 5, No. 1, pp. 181-183, 2017. 

  3. E. H. Yang, & J. Chung, "Need Analysis for Improving Teaching Competency",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 26, No. 2, pp. 25-52, 2010. 

  4. Y. Song, & H. R. Rho, "Analysis of Improvement Needs in University Faculty's Teaching Competency and Lecture Inhibiting Factor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 32, No. 1, pp. 229-251, 2016. (DOI http://dx.doi.org/10.17232/KSET.32.1.229) 

  5. S. D. Lee. "Faculties' Perceptions o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ffective Teaching Behavior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8, No. 11, pp. 469-478, 2017. (DOI https://doi.org/10.5762/KAIS.2017.18.11.469) 

  6. S. G. Baek, E. H. Ham, J. Y. Lee, H. J. Shin, & Y. L. Yu, "A Theoretical Inquiry on the Construct for Teaching Competence in Secondary School", Asian Journal of Education, Vol. 8, No. 1, pp. 47-69, 2007. (DOI https://doi.org/10.5762/KAIS.2017.18.11.469) 

  7. Y. Song, & H. R. Rho, "Analysis of Improvement Needs in University Faculty's Teaching Competency and Lecture Inhibiting Factor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 32, No. 1, pp. 229-251, 2016. (DOI http://dx.doi.org/10.17232/KSET.32.1.229) 

  8. M. R. Um, "A Suggestion on Teaching Support Program through the Competencies analysis of University Faculties' Technology, Pedagogy, and Content Knowledge(TPACK)", Theory and practice of Education, Vol. 17, No. 3, 2012. 

  9. D. Kim, H. Park, & Y. Lee, "Development of Faculty Competency Model and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of Competencies Based on Life Cycl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 34, No. 1, pp. 133-163, 2018. (DOI http://dx.doi.org/10.17232/KSET.34.1.133) 

  10. E. H. Yang, & J. Chung, "Need Analysis for Improving Teaching Competency",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 26, No. 2, pp. 25-52, 2010. 

  11. J. S. Schippmann, R. A. Ash, M. Battista, L. Carr, L. D. Eyde, B., Hesketh, J. Kehoe, K. Pearlman, , E. P, Prien, & J. I. Sanchez et al., "The Practice of Competency Modeling", Personnel Psychology, Vol. 53, pp. 703-740, 2000. 

  12. J. W. Kim, & Y. H. Lee, "The Development of Teaching Competencies and Performance Standards for Community College Faculty",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Vol. 41, No. 1, pp. 111-138, 2009. 

  13. H. Y. Lee, Y. S. Kim, & H. O. Heo, "The Development of a Inventory for Teaching Competency in Colleges of Engineering",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 28, No. 3, pp. 439-469, 2012. 

  14. W. S. Lim, & Y. C. Kim, "Analysis of The Professor's Core Lecture Competency",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Vol. 25, No. 4, pp. 413-434, 2007. 

  15. I. H. Jeong, & E. J. Lee, "Educational Needs Analysis Depending on Professors' Position for Teaching Competency Reinforcement", Journal of Korean HRD Research, Vol. 7, No. 1, pp. 1-22, 2012. 

  16. M. Blaskovaa, R. Blaskoa, & A. Kucharpikovaa, "Competences and Competence Model of University Teachers",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Vol. 159, pp. 457-467, 2014. 

  17. Fairweather, J. S., "The Mythologies of Faculty Productivity: Implications for Institutional Policy and Decision making", The Journal of Higher Education, Vol. 73, No. 1, pp. 26-48, 2002. (DOI http://dx.doi.org/10.1353/jhe.2002.0006) 

  18. Tigelaar, D. E., Dolmans, D. H., Wolfhagen, I. H., Van der Vleuten, C. P.,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Framework for Teaching Competencies in Higher Education", Higher Education, Vol. 48, No. 2, pp. 253-268, 2004. 

  19. H. D. Song, S. Y. Jang, Y. K. Kim, "An Need Assessment of Faculty Member's Job Competencies According to the Level of Teaching Experience", Asian Journal of Education, Vol. 14, No. 4, pp. 149-179, 2013. (DOI https://doi.org/10.15753/aje.2013.14.4.007) 

  20. D. Kim, H. Park, & Y. Lee, "Development of Faculty Competency Model and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of Competencies Based on Life Cycl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 34, No. 1, pp. 133-163, 2018. (DOI http://dx.doi.org/10.17232/KSET.34.1.133) 

  21. HIGHER EDUCATION ACT, Article 47(Purpose), Retrived Jan. 15 from https://elaw.klri.re.kr/kor_service/lawView.do?hseq49071&langENG 

  22. K. Kang, & S. H. Park,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 Competency Tool of University Teacher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dion, Vol. 17, No. 9, pp. 88-98, 2017. (DOI https://doi.org/10.5392/JKCA.2017.17.09.088) 

  23. E. G. Lim, B. K. Kim, Y. N. Hong, & S. Y. Kim, "Analysis of Perception and Needs on Teaching Competencies of Faculty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Vol. 28, No. 2, pp. 45-72, 2018. (DOI https://doi.org/10.21024/pnuedi.28.2.201806.45) 

  24. D. Kim, H. Park, & Y. Lee, "Development of Faculty Competency Model and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of Competencies Based on Life Cycl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 34, No. 1, pp. 133-163, 2018. (DOI http://dx.doi.org/10.17232/KSET.34.1.133) 

  25. J. W. Kim, & Y. H. Lee, "The Development of Teaching Competencies and Performance Standards for Community College Faculty",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Vol. 41, No. 1, pp. 111-138, 2009. 

  26. W. S. Lim, & Y. C. Kim, "Analysis of Tthe Professor's Core Lecture Competency",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Vol. 25, No. 4, pp. 413-434, 2007. 

  27. C. K. Son, "A Studies on the Program Development for Teaching Improvement of University Faculty and the Test of Its Effects",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Vol. 20, No. 2, pp. 121-150, 2003. 

  28. H. D. Song, S. Y. Jang, Y. K. Kim, "An Need Assessment of Faculty Member's Job Competencies According to the Level of Teaching Experience", Asian Journal of Education, Vol. 14, No. 4, pp. 149-179, 2013. (DOI https://doi.org/10.15753/aje.2013.14.4.007) 

  29. I. H. Jeong, & E. J. Lee, "Educational Needs Analysis Depending on Professors' Position for Teaching Competency Reinforcement", Journal of Korean HRD Research, Vol. 7, No. 1, pp. 1-22, 2012. 

  30. M. Blaskovaa, R. Blaskoa, & A. Kucharpikovaa, "Competences and Competence Model of University Teachers",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Vol. 159, pp. 457-467, 2014. 

  31. M. Srinivasan, S. T. Li, F. J. Meyers, D. D. Pratt, J. B. Collins, C. Braddock, K. M. Skeff, D. C. West, M. Henderson, R. E. Hales, & D. M. Hilty, "Teaching as a Competency: Competencies for Medical Educators", Academic Medicine, Vol. 86, No. 10, pp. 1211-1220, 2011. (DOI https://doi.org/10.1097/ACM.0b013e31822c5b9a) 

  32. C. D. Borich,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Up Studie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Vol. 31, pp. 39-42, 1980. 

  33. J. H. Kim, "A Study on the Entrepreneurial support model of colleges",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JCCT), Vol. 4, No. 3, pp. 165-170, 2018. (DOI http://dx.doi.org/10.17703/JCCT.2018.4.3.165) 

  34. J. Kim, & E. Cho,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Major Satisfa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 Vol. 6, No. 2, pp. 72-79, 2018. (DOI http://dx.doi.org/10.17703/JCCT.2018.4.3.165) 

  35. M. Kim, & Y. Chung, "The Influence of Self-esteem and Self-efficacy on the Department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 The Mediating Role of Interpersonal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 24, No. 11, pp. 141-164, 2017. (DOI http://dx.doi.org/10.21509/KJYS.2017.11.24.11.14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