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동주택 관리방식과 소방시설의 점검에 따른 예방활동·화재안전특별조사·소방안전관리의 다변량 분석
Multivariate Analysis of Fire Prevention Activities, Special Investigations of Fire Safety, and Fire Safety Management by the Apartment Buildings Management Methods and Inspection of Firefighting Facilitie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6 no.2, 2020년, pp.489 - 502  

김종남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소방방재학과) ,  공하성 (우석대학교 소방방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공동주택 관리방식과 소방시설의 점검에 따른 화재안전특별조사, 예방활동, 소방안전관리의 다변량분석에 대하여 집단 간의 차이를 규명하였다. 특히, 공동주택 소방안전관리의 중요성 측면에서 집단 간의 비교분석은 필요한 것으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방시설점검에 따라서 예방활동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방안전관리자의 소방시설점검능력이 우수하고, 국가 화재안전기준 및 점검표에 따라 적합한 점검을 할수록 화재예방도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관리방식에 따라 화재안전특별조사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파트 관리방식이 건축물 규모, 층수에 관계없이 관리주체의 운영메뉴얼, 관리집행이 조직구성별로 신속한 업무수행이 가능할수록 화재안전특별조사에도 만족하는 것을 보여준다. 셋째, 예방활동이 소방시설점검과 관리방식 간에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를 보였다. 이는 소방안전관리자의 소방시설점검능력이 우수하고 국가 화재안전기준에 적합한 점검을 할수록 화재예방도 높고 아파트 관리방식이 건축물 규모, 층수에 관계없이 관리주체의 운영메뉴얼, 관리집행이 조직구성별로 신속한 업무수행이 가능할수록 화재예방에도 만족하는 것으로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hows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with multivariate analysis of fire prevention activities, special investigations of fire safety, and fire safety management according to the management method of apartment houses and the inspection of firefighting faciliti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공동주택 관리방식과 소방시설의 점검에 따른 화재안전특별조사, 예방활동, 소방안전관리의 다변량분석에 대해 집단 간의 차이를 규명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특히, 공동주택 소방시설의 소방안전관리 의 중요성 측면에서 집단 간의 비교분석은 필요한 것으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 연구는 아파트 거주자의 안전교육 만족도가 화재안전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소방계획서의 활용성 조절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경남․부산․대구에 소재한 아파트 단지 내 소유자, 점유자, 관리자, 상시거주자, 근무 인원과 방문자 등에 직접 방문하여 관리사무소 내 설문지를 배부하여 응답하도록 하였다.
  • 소방시설법 (시행령, 시행규칙) 및 예방소방업무처리규정을 개정하여 조치명령 이행여부 확인방법을 제도화하여 조치명령 이행을 설명하였다 [15]. 이 연구에서는 공동주택 관리방식과 소방시설의 점검자의 점검능력에 따른 화재예방활동, 화재안전특 별조사, 소방안전관리와 집단 간의 어떤한 차이를 가지고 있는가를 다변량 분산분석을 통하여, 탐색적 연구를 하고자 한다. 관리방식과 소방시설 점검자가 화재대응 간의 각 하위요인 항목이 공동주택의 화재안전에 어떠한 집단 간의 차이들이 있는지 살펴볼 수 있다.
  • 관리방식과 소방시설 점검자가 화재대응 간의 각 하위요인 항목이 공동주택의 화재안전에 어떠한 집단 간의 차이들이 있는지 살펴볼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공동주택 관리방식에 따른 화재예방활동, 화재안전특별조사 ,소방안전관리와 소방시설의 점 검자의 점검능력에 따른 화재예방활동, 화재안전특별조사, 소방안전관리와 집단 간의 어떤한 차이를 가지고 있는가를 알아보았으며, 다변량 분석을 통해서 상호작용효과가 유의 수준에서 유의 한 차이를 분석하여 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문제를 설정하면 다음과 같다.
  • 따라서 공동주택의 우수한 화재안전성능 확보 유도방안 마련이 시급하며, 화재피해의 최소화와 예방 극대화를 위한 소방시설의 품질과 성능향상의 요구와 함께, 현행 공동주택의 법적 소방검사제도의 공영제도를 통한 개선방안 수립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공동주택의 다양한 시스템에서 관리방식, 소방시설점검자의 결정요인들과 화재예방, 화재안전특별조사, 소방안전관리의 집단들 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 화재사고를 미연에 예방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관리방식의 하위요인과 소방시설점검자 의 하위 요인들이 화재대응에 설명하기 힘든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공동주택의 화재예방, 화재안전특별 조사, 소방안전관리가 관계인에게 중요하게 인식되어 긍정적인 효과를 얻기 위해 다양한 문제점을 도출하고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구체적인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이에 이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로부터 얻은 결정요인들과 화재예방, 화재안전특별조사, 소방안전관리에 따른 다변량분산 분석을 집단 간의 차이점과 비교분석을 작성하고자 한다. 이는 공동주택의 관리방식 및 소방시설점검자의 점검방법에 따라 화재예방, 화재안전특별조사, 소방안전관리에 어떠한 집단의 차이를 이해하는데 관리적, 기술적으로 많은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이 연구에서는 공동주택의 다양한 시스템에서 관리방식, 소방시설점검자의 결정요인들과 화재예방, 화재안전특별조사, 소방안전관리의 집단들 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 화재사고를 미연에 예방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관리방식의 하위요인과 소방시설점검자 의 하위 요인들이 화재대응에 설명하기 힘든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공동주택의 화재예방, 화재안전특별 조사, 소방안전관리가 관계인에게 중요하게 인식되어 긍정적인 효과를 얻기 위해 다양한 문제점을 도출하고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구체적인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에 이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로부터 얻은 결정요인들과 화재예방, 화재안전특별조사, 소방안전관리에 따른 다변량분산 분석을 집단 간의 차이점과 비교분석을 작성하고자 한다.
  • 이를 통해 관리방식의 하위요인과 소방시설점검자 의 하위 요인들이 화재대응에 설명하기 힘든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공동주택의 화재예방, 화재안전특별 조사, 소방안전관리가 관계인에게 중요하게 인식되어 긍정적인 효과를 얻기 위해 다양한 문제점을 도출하고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구체적인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에 이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로부터 얻은 결정요인들과 화재예방, 화재안전특별조사, 소방안전관리에 따른 다변량분산 분석을 집단 간의 차이점과 비교분석을 작성하고자 한다. 이는 공동주택의 관리방식 및 소방시설점검자의 점검방법에 따라 화재예방, 화재안전특별조사, 소방안전관리에 어떠한 집단의 차이를 이해하는데 관리적, 기술적으로 많은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화재안전특별조사 운영지침으로 소방공무원의 조사업무가 관계인의 자체 소방안전관리, 소방시설 유지관리, 위험물 등의 관리상태 소방 활동에 관한 사항, 이용자 특성 및 화재대응 활동 여건 등 화재안전 위험성을 낮추기 위한 조사업무의 목적이다. 선행연구에서 문현주(2017)[7]의 사용한 도구를 이 연구에 맞게 사용하였다.
  • 화재와 재난 재해 그 밖의 위급한 상황으로부터 국민의 생명 신체 및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화재의 예방을 목적으로 한다. 선행연구에서 유승환(2014)[10]의 사용한 도구를 이 연구에 맞게 사용하였다.

가설 설정

  • 연구문제 1 : 공동주택 소방시설의 점검(소방안전관리자, 소방시설관리업체, 소방공무원)에 따라 화재대응 (화재안전특별조사, 예방활동, 소방안전관리)은 유의미 한 차이가 있을 것인가?
  • 연구문제 2 : 공동주택 관리방식(자치관리, 위탁관리)에 따라 화재대응(화재안전특별조사,예방활동,소방 안전관리)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인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http://www.headlinejeju.co.kr/news/articleView.html?idxno408500 (http://www.headlinejeju.co.kr),2020.02.09., 10:28. 

  2.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6647490, 2013.12.12. 4:14. 

  3. http://www.kiho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802614, 2019.04.17. 

  4. Sang-Sig Kim,"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Fire Control System for General Work in Apartment Housing", Graduate School of Kyungil University, Department of Fire Protection, Master's degree thesis, pp.81-82, (2019). 

  5. Nam-Ryul Lee,"A Study for the Relations between Apartment Management Types and Residents' Satisfaction - Focusing on Daegu City", A Study on the Community Development and Welfare and Master's Degree of Urban Studies at Daegu University. pp.51-55, (2008). 

  6. Mi-Ji Kwon,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Fire Safety Management in Apartment Housing : Focused on Apartment House with 15 stories or less", Journal of the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Management, Department of Fire Protection and Master's Degree, pp.62-63, (2019). 

  7. Hyun.-Joo Moon,"A study on Improvement Method of Self-Inspection System through the analysis of the fire safety special investig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Urban Science, Fire Protection Engineering, Master's degree thesis, pp.74-75, (2019). 

  8. Jong-Si Kim, "The study of measures for fire catastrophes on high buildings : Establishment of basis on fire safety",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at Kyunggi University, Administrative-City and Local Autonomy and Master's Degree, pp.59-63, (2019). 

  9. Jong-Woo Han,"A Study of Fire Escape Apparatus and Fire Safety Response Management for Skyscraper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Science, Fire and Disaster Prevention, Fire Disaster Prevention, Master's Thesis, pp.64-65, (2013). 

  10. Seung-Hwan Yoo,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in the apartment housing shelter for reducing fire damages", Changwo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Information, Department of Architecture and Master's degree, pp.62-63, (2014). 

  11. Jin-Kyu Choi, "A Study on the improvement for Fire Safety Management of Fire Protection Object", Fire-fighter Department of Dong shin University of Graduate School, pp.117-119, (2015). 

  12. Doo-Hwan, Kim, "A Study on the Actualization Plans of Fire Safety Inspection', Dongshin University, Department of Fire Science, Graduate Thesis, pp.47-48, (2015). 

  13. Gil-Soo Ha, "Influence of social safety net construction using smart disaster safety management system on disaster management capacity",Hoseo University, Safety Engineering Fire Protection and Doctorate, pp.152-158, (2017). 

  14. Ki-Heung Han,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s of the Special Inspection for Fire Protection"- With a Focus on the Busan Metropolitan City - ,Daejeon University, Department of Fire and Disaster Prevention, pp.73-75, (2017). 

  15. Si.-Hyeon Park,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omply Confirmation Legal System of order to Take Measures according the In-House Inspection Fire-fighting System", Gacho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Environment, Industrial Environmental Engineering, Fire Protection Engineering, Master's degree thesis, pp.73-75, (2017). 

  16. Chul-Goo Lee, Jong-Dae Kim and Tae-Sun Im, "A Survey on Fire Safety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Fire Protection System", Construction and Environment Research Institute, Vol.10, No.1, pp.40-48, (2015). 

  17. Jae-Hyun Jung, "A study on improvement countermeasures and fire safety realities for domestic apartment houses", Gacho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Environment, Industrial Environmental Engineering, Fire Protection Engineering, Master's degree thesis pp.104-105, (2014). 

  18. Chae-Won, Lee, "A Study for Performance Improvement of Fire System in Apartment Building;Focused on the Detector and Sprinkler Head", Gacho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General Studies, Department of Fire Protection Engineering, Master's degree thesis. pp.74-75, (2015). 

  19. Euk-Jo Park, "A Study on the Public Operating System of Fire Inspec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of Social Welfare and Master's degree thesis. pp.105-107, (2015). 

  20. Sun-Young Park, "A Study on Measures to Build Support System of Related Organizations in Fire Inspection for Effective Fire Prevention",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Fire Protection and Master's Degree. pp.55-56, (2012). 

  21. Jong-Jin Jung, A-Reum Hong, Chae-Won Lee and Bong-Sei Son, "Experimental Performance Evaluation of a Fire System for Apartment Buildings",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29, No.6, pp.51-56, (2015). 

  22. Jae-Hyun Ku, "A Study on Evaluation Plan of Fire Safety Performance for Public Building",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10, No.4, pp.25-32, (2019). 

  23. Nam-Ryul Lee, "A Study for the Relations between Apartment Management Types and Residents' Satisfaction : Focusing on", Department of Urban Studies Graduate School, Daegu University Gyeongbuk, Korea, pp.51-55, (2008). 

  24. Chan Kook Jung,"A Research Study on Residents' Awareness of the Apartment Housing Management System", Myongji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Real Estate Distribution Management, Department of Real Estate, and Master's thesis, pp96-97,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