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철도 인접굴착공사에 따른 터널구조물의 구조 안정성 평가
Evaluation of Structural Stability of Tunnel due to Adjacent Excavation on Urban Transit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6 no.2, 2020년, pp.503 - 508  

최정열 (동양대학교 건설공학과) ,  이호현 (산강이엔씨(주), 기술연구소) ,  강유송 ((주)유신, 도시철도부) ,  정지승 (동양대학교 건설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운행선 지하철 노선에 인접하여 신축되는 구조물 건설을 위한 굴착공사가 계획됨에 따라 실제 시공 시 운행선 지하철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을 평가하고자 도시철도 터널 및 궤도모델을 적용한 3차원 정밀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철거되는 기존 구조물 및 운용중인 지하철에 대한 초기 조건을 구현하고 굴착에 대한 입체적인 영향 평가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과업구간의 굴착 길이(약 110m)보다 더 넓은 영역(170m)을 수치해석 모델로 설정하여 횡방향 뿐만 아니라 종방향에 대한 구조물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비교적 굴착 심도와 면적이 넓은 대형굴착공사인 대상 현장의 경우 시공단계별 지하철 터널구조물의 변형수준은 관련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굴착공사 중심부를 기준으로 지하철 구조물의 변형도 크게 발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three-dimensional precision numer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finite element model applied with the railway track model consisting of rail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rack deformation level of the existing tunnel due to the excavation work adjacent to the urban transit, it was found...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 본 수치해석에서는 과업구간의 대규모 굴착영향에 대한 지하철 구조물의 영향평가가 주목적이다. 따라서 철거되는 기존 구조물 및 운용중인 지하철에 대한 초기 조건을 구현하고 굴착에 대한 입체적인 영향평가가 필요하다.
  • 복합시설 신축공사를 위한 굴착공사에 따른 인접 지하철 터널 구조물에 대한 안정성을 검토하여 합리적이고도 안전한 시공이 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1-5]. 또한 철도구조물 인접구간 시공에 따른 터널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터널모델이 반영된 3차원 연속체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1-5].
  • 본 연구에서는 기존 터널 구조물에 인접하여 굴착되는 복합시설 신축구조물에 의해 터널영향 수준을 파악하고자 굴착영역을 포함하여 터널구조의 제원을 반영한 3차원 수치해석 모델링을 이용하여 굴착에 따른 터널영향수준을 분석하였다[1-6]. 본 연구에서 수행한 수치해석에서 해석영역은 굴착에 의한 영향이 최소가 될 수 있는 충분한 범위로 설정하였다[1-6].
  • 따라서 철거되는 기존 구조물 및 운용중인 지하철에 대한 초기 조건을 구현하고 굴착에 대한 입체적인 영향평가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수치해석에서는 시공구간의 굴착 길이(약 110m)보다 더 넓은 영역(170m)을 설정하여 횡방향 뿐만 아니라 종방향에 대한 구조물의 상태평가가 충분히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기 응력이란? 초기 응력이란 굴착 작업 전 초기응력 상태를 말하며 전 요소의 절점 변위를 0으로 하고 절점 응력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8]. 지반을 지중 굴착할 때 초기 응력을 받고 있는 지반이 굴착부분에서 응력의 해방을 받게 된다[8].
지보재의 특징은? 이때 이 자유면이 받는 하중은 초기응력으로부터 계산되는데 이 하중을 해방력이라고 한다[8]. 지보재는 터널과 같은 지중 내 굴착면에서의 붕괴를 방지하고 그 기능과 형상을 유지할 목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주지보재로는 Shotcrete, Rock Bolt, Fore Poling 등이 이용되고 있다[8].
기존 구조물 철거단계에서 발생되는 터널의 연직변위 증가수준의 특징은? 2) 연구결과, 기존 구조물 철거단계에서 발생되는 터널의 연직변위 증가수준이 굴착단계와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되메우기 단계에서 다시 초기치를 확보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철거단계에서의 발생 변위 수준은 되메우기 단계의 초기 변형수준이므로 기존 구조물의 철거단계에서의 발생변위수준을 관리하는 것도 굴착단계에서의 변위관리와 마찬가지로 기존 구조물의 변형측면에서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중요한 요소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수직 및 수평방향 변형 발생 수준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접공사구간에 영향을 받는 변위발생위치는 굴착공사 시종점부에서 발생변위의 편차가 가장 크고 최대값은 굴착공사 중심에서 발생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J.Y. Choi, D.R Park, J.S Chung, "Evaluation of Track Irregularity Effect due to Adjacent Excavation on Serviced Railway Line".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JCCT), Vol. 5, No. 4, pp. 401-406, 2019 

  2. J.S. Chung, M.H Kim, S.G Lee, H.J Kim, Y.W. Shin, "A Study on the Behaviour of the Station Structure due to Adjacent Construction".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ol. 17, No. 11, pp. 55-64, 2016 

  3. S.S. Jeon, S.S. Lee, "Track Stability Assessment for Deep Excavations in Adjacent to Urban Railway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9, No. 6, pp. 614-627, 2018 

  4. S.Y. Shin, J.S. Lee, Y.G. Park, "A study on the stability of the existing subway structure due to nearby construction of new railway line", 2009 Autumn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2009.11, pp. 2148-2165, 2009 

  5. S.B. Seo, J.W. Park, "Measurement Management of Track Irregularity in the Case of Crossing or Neighboring Railway Construction and Improve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Magazine, Vol. 55, No. 1, pp. 49-56, 2007 

  6. S.S. Lee, S.J. Lee, Y.G. Park, S.S. Jeon, "Assessment of Track Stability for Urban Railway in Adjacent to Deep Excavation" 2016 Spring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2016.05 pp. 361-366, 2016 

  7. J.Y. Choi, P.S. Kim, J.S. Chung, "A Study on Optimum Spacing of Rail Joint for Personal Rapid Transit(PRT) Track System",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JCCT), Vol. 4, No. 3, p.213-220, 2018 

  8. Yang, H., "Corner Behavior of Retaining Wall Supported by Corner Strut", Master's thesis, Gachon University,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