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전공자 소프트웨어 교육에서 전공맞춤형 학습 콘텐츠의 효과에 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Major-friendly Contents in Software Education for the Non-major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5, 2020년, pp.55 - 63  

서주영 (아주대학교 다산학부대학) ,  신승훈 (아주대학교 다산학부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대학의 비전공자 소프트웨어(SW) 기초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지만 SW 비전공자에겐 학습의 어려움이 크다. 본 논문은 비전공 학생들의 학습 동기를 높여 SW교육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기존 SW 전공자 대상의 학습 콘텐츠를 그대로 사용하기보다 비전공자들의 흥미를 반영한 전공맞춤형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 방안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5년 이상 비전공자 SW기초교육을 운영 중인 A 대학의 사례 연구를 통해 동일한 교과과정에 대해 교육 대상의 전공에 맞춤된 학습 콘텐츠로 수업한 전, 후 학생들의 강의 만족도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회과학계열에선 국가의 사회, 문화 현상을 살펴볼 수 있는 공공 데이터를 이용한 콘텐츠에 학습 흥미를 느끼고, 인문계열에겐 소설, 역사서, SNS 글의 텍스트 콘텐츠가 학습 동기를 상승시켜 어렵게 느끼던 학습 내용에 대한 이해와 함께 강의 만족도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왔으며 전공맞춤형 콘텐츠가 비전공자 SW기초교육에 유용함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re is a strong interest in SW basic education for non-major students in universities, but SW non-majors are having a hard time learning. This paper proposes a class operation method that utilizes customized contents reflecting the interests of non-majors, rather than using existing lear...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분석 기반 SW 교과목에서 다루는 데이터를 전공에 맞춤한 학습 콘텐츠로 수업을 운영할 때 학생들의 강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사례 연구로 살펴본다.
  • 특히 ‘데이터분석’ 역량은 인간·사회·자연 현상을 탐구하기 위한 좋은 방법으로 현재 경영대학, 인문대학, 사회과학대학, 자연과학대학, 의과대학, 간호대학의 광범위한 전공에서 자신의 전공과 적합한 SW기초역량으로 지정하여 교육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서로 다른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데이터 분석 교과를 운영하는 과정에서 활용한 전공맞춤형 학습 콘텐츠의 변화가 학생들의 강의 만족도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다.
  • 본 논문은 SW중심대학으로 선정되어 5년 이상 비전공자 SW기초교육을 운영하고 있는 A 대학이 전공맞춤형 학습 콘텐츠를 이용한 수업에서 학생의 학습 동기 향상을 통해 SW교육의 효과를 높인 사례 연구를 기술한다.
  • 우리는 대학의 비전공자 SW기초교육의 효과 향상을 위해 학습자의 전공계열에 맞춤된 학습 콘텐츠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대학은 초중고와 달리 학생들의 전공이 결정되고, 전공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시기이기 때문에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관심과 동기를 자극하기 위해 전공맞춤형 교육이 하나의 유용한 방안일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중고에 비해 대학의 SW의무교육에서 운영에 차질을 겪는 이유는? 2018년부터 단계적으로 SW교육을 의무교육으로 실시하고 있는 초중고의 경우 SW의무교육을 위한 교과과정 개편에 대한 정책 결정은 2015년에 이루어졌고, 교육 내용에 대한 협의와 실험은 정책 결정 이전부터 검토와 보완의 과정이 오랜 기간 계획적으로 이루어져왔다 [4-7]. 반면, 대학의 경우에는 충분한 준비 기간이나 학교 구성원들과 심도 깊게 논의할 여유 없이 사업 선정과 동시에 각 대학에서 개별적으로 진행된 면이 있기에 현재까지도 많은 대학들이 시행착오를 겪고 있다. 특히 갑작스럽게 의무화되어 진행된 대학의 SW기초교육은 학생 입장에선 스스로 학습 동기를 찾기 힘들어 하고, SW기초 교육 담당 교수들도 교육 대상인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에 대한 충분한 이해 없이 수업을 맡게 된 탓에 수업 운영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8-11].
컴퓨팅사고에 대해 설명하시오. 컴퓨팅사고는 2000년대에 자넷윙에 의해 ‘컴퓨터 과학의 기본 개념에 기초해 문제를 해결하고, 시스템을 디자인하며, 인간의 행동을 이해하는 접근 방법이며, 디지털 세대에게는 읽기, 쓰기, 계산하기와 같은 동일한 기초 적인 능력’으로 정의되고 있다[21,22]. 실제 기존의 비전 공자를 대상으로 한 컴퓨터 활용 능력이나 프로그래밍 능력 배양을 위한 교육보다 컴퓨팅사고 교육은 상대적으로 더 큰 효과성을 보이고 있다[9,15].
비전공 학생들의 SW 학습 어려움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비전공 학생들의 SW 학습 어려움에 관한 연구에서도 컴퓨팅 사고 교육에서 학생들은 문제해결에 대한 아이디어를 생각하고 구현하는 과정에서 적합한 명령어 사용과 같은 교과과정 자체의 어려움과 함께 학습 콘텐츠에 대한 흥미와 재미가 컴퓨팅 사고 역량 배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언급하고 있다[13]. 기존 SW교육의 학습 콘텐츠가 기본적으로 비전공자가 이해하기엔 생소한 경향이 있고, 교육 대상에 대한 제대로 된 이해 없이 진행된 탓에 학생들의 흥미를 이끌만한 학습 콘텐츠가 미흡하며 학습 동기가 저조하다는 것이 비전공자 SW교육의 어려움으로 자주 언급되는 요인 중 하나이다[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IITP. (2019). Human Resource Development through the National Program for Excellence in SW. https://www.iitp.kr/kr/1/notice/reportAndClarify/view.it?ArticleIdx3561&counttrue 

  2. SW University Council. (2020). Introduction of SW University. SW University. http://www.swuniv.kr/33 

  3. SW University Council. (2020). Status of Selected SW Universities. SW University. http://www.swuniv.kr/condition 

  4.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2015). Plan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for SW-centric Society. 

  5. K. S. Oh & S. J. Ahn. (2016). A Study on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ntents about Computational Thinking,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9(2), 11-20. 

  6. K. M. Kim. (2017). A Study on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for Enhancing Computational Thinking.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20(4), 59-66. 

  7. H, C. Lee et al. (2015). A Study on Surveying the Actual Conditions and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SW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ing, 15-JINHEUNG-077. 

  8. J. E. Na. (2017). Software Education Needs Analysis in Liberal Arts.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1(3), 63-89. 

  9. G. J. Park & Y. J. Choi. (2018). Exploratory Study on the Direction of Software Education for the Non-major Undergraduate Students,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24(4), 273-293. 

  10. W. Y. Kim. (2018). Is University Software Education Good as It Is: Special Information Meeting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ZDNet Korea. https://www.zdnet.co.kr/view/?no20180209110815 

  11. M. S. Lee. (2018). Current Status and Crisis of University Software Education. SPRI. https://spri.kr/posts/view/22496. 

  12. S. J. Lee. (2018). A Study on Designing a Class of Convergence Thinking based on Computational Thinking. The Korean Society of Science & Arts, 36, 255-263. DOI:10.17548/ksaf.2018.12.30.255 

  13. S. H. Kim. (2015). Analysis of Non-Computer Majors' Difficulties in Computational Thinking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8(3), 49-57. 

  14. J. Y. Seo. (2017). A Case Study on Programming Learning of Non-SW Majors for SW Convergence Educ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7), 123-132. DOI:10.14400/JDC.2017.15.7.123 

  15. M. J. Kim & H. C. Choi. (2018). Effectiveness Analysis based on Computational Thinking of a Computing Course for Non-Computer Majors.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21(1), 11-21. 

  16. J. Y. Seo, S. H. Shin & E. H. Goo. (2018). A Study on Non-Majors Students' Perception of the SW Liberal Education in Universit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5), 21-31 DOI:10.14400/JDC.2018.16.5.021 

  17. W. S. Kim. (2019). A Study on the Students Perceptions Trend for Software Essentials Subject in University.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3(4), 161-180. 

  18. S. Y. Pi. (2016). A Study on Coding Education of Non-Computer Majors for IT Convergence Educ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10), 1-8 DOI:10.14400/JDC.2016.14.10.1 

  19. W. S. Kim. (2017).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Freshman on Computational Thinking as Essential Course. Culture and Convergence, 39(6), 141-170. 

  20. SW University Council. (2020). Introduction of Selected SW Universities. SW University. http://www.swuniv.kr/organization 

  21. J. M. Wing. (2006). Computational Thinking. Communication of ACM, 49(3), 33-35. 

  22. J. K. Kim. (2019). Effect of Computational Thinking on Problem Solving Process in SW Education for Non-CS Major Students.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22(4), 472-279 DOI:10.9717/kmms.2019.22.4.4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