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업의 질 관리 및 개선을 위한 CQI양식 연구
A Study on CQI Form for Quality Management and Improvement of Clas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5, 2020년, pp.115 - 125  

조보람 (경성대학교 교육혁신추진센터)

초록

본 연구는 수업의 질 관리 및 개선을 위해 A대학에서 실행되고 있는 교과목 CQI양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A대학에서는 역량기반 교육과정으로의 개편아래에 수업의 계획, 과정, 결과가 체계적으로 관리 될 수 있도록 CQI양식을 개선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CQI양식을 제안하였고 외부 전문가검증을 통해서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QI양식 개발시 수업의 계획, 운영, 결과, 피드백 등 수업의 전 과정을 평가 및 환류 할 수 있도록 문항을 구성하였다. 둘째, 지난학기-당해학기-다음학기 이렇게 3단계로 나누어 종합분석 및 개선 계획을 작성하도록 하여 지속적인 수업의 개선 및 환류의 효과를 얻도록 하였다. 셋째, CQI작성시 수업계획서, 강의평가 결과를 연동하여 교수자의 편리성을 높였다. 넷째, 교수자에게 객관적인 결과(평가도구별 성취도 결과, 강의평가 결과)를 제공하여 이를 토대로 충분한 성찰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교과목 CQI 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curriculum CQI forms implemented at A university for quality management and improvement of instruction. Under the reorganization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University A has improved the CQI form so that the planning, process and outcomes of class can be managed systemati...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역량이 향상되고 체계적인 평가와 환류가 이루어지도록 설계하려고 한다.
  • 본 연구는 CQI양식에 대한 문헌연구, A대학 및 타대학 CQI양식 분석을 통한 사례연구, 전문가들의 평가를 거쳐 A대학교에 적합한 CQI양식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이다.
  • CQI양식 개발은 이러한 상황과 맞물려있다. 본 연구는 역량기반 교육과정에서 교수자가 스스로의 수업을 깊이 있게 성찰할 수 있는 CQI양식을 개발하기 위해 문헌연구를 실시하여 이론적 근거와 방향을 설정하였다. 또한, 21개 대학의 국내·외 사례를 살펴보고 공통적인 항목들을 도출하여 실현가능한 CQI양식을 만드는데 노력을 기울이고 교수자 인터뷰를 통해 기존양식의 개선방향에 대한 의견을 수집하고 전문가 검증을 통해 수정·보완의 과정을 거쳤다.
  • 본 연구는 역량기반 교육과정에서의 CQI양식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역량기반 교육과정 CQI양식 개발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점, 주요 항목, 타 대학사례 등을 제시하여 향후 각 학교별 CQI 양식 개발에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역량기반 교육과정으로의 전환에 있어서 A대학교 교과목 CQI양식 개선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실시하고 타 대학 CQI분석, 기존 CQI분석, 개발된 CQI를 전문가 검증을 통해 보완하는 과정을 거쳤다.
  • 셋째, 교수자가 CQI를 작성하면서 충분한 자기분석 및 성찰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 ISU모델은 CQI를 7단계로 구성한다(팀 구성, 분명한 목표규정, 대상자의 요구 이해, 목표달성 측정방법 설정, 향상을 위한 잠재적 변화 전략 찾기, 효과적인 의사결정 촉진을 위한 데이터 수집 계획, 변화에 대한 평가 및 수정을 위한 과학적 평가방법 적용). 조직의 상황과 활용목적을 고려하여 과정 및 절차를 수정하는 것을 이야기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Y. M. Kang. (2018). Industry-academia Dongmyung university education system research final research report. Dongmyung University University Innovation Headquarters. 

  2. M. M. Faiz, U. B. Mansoor, S. M. Asad, & K. Mahmood. (2014). Using faculty course assessment report for the assessment of an associate degree course in engineering technology program. Paper presented at 2014 IEEE 6th Conference on Engineering Education (ICEED) (pp. 73-78). DOI :10.1109/ICEED.2014.7194691 

  3. D. K. Park & C. S. Kim. (2019). Course portfolios and CQI reports: a suggestion about how to define and implement them. Social Science Studies, 58(1), 79-93. DOI : 10.22418/JSS.2019.6.58.1.79 

  4. J. C. Kang & E. W. Lee. (2008). CQI syste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2), 313-342. 

  5. M. J. Lee & S. D. Kim. (2019). A study on the CQI system for the quality management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 focusing on D university in korea. Culture and Convergence, 41(3), 35-48. DOI : 10.33645/cnc.2019.06.41.3.35 

  6. S. H. Bae. (2017). A study on the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s of NCS-based curriculum. Event Convention Research, 26, 87-103. 

  7. J. Hatch. (2002). Doing Qualitative Research in Education Setting: Y. E. Jin. (2008).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in education. Seoul: Hakjisa. 

  8. S. Y. Kim. (2016). Qualitative case study in the study of primary education.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Elementary Education, 19(2), 31-57. 

  9. H. C. Han, K. C. Kim, J. Y. Lee & K. S. Jang. (2018). Exploring issues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rough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rends.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21(3), 1-24. DOI : 10.29221/jce.2018.21.3.1 

  10. T. H. Ryu. (2018).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ducation is hope. Seoul: Kyunghee university publishing culture center. 

  11. D. Y. Kim. (2018). Development of evaluation system & evaluation tool to effectively operate NCS based college curriculum.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4(4), 1-16. DOI : 10.14333/KJTE.2018.34.4.1 

  12. J. W. You. (2018). The effects of team efficacy and task value on team goal orientation in college students' learning communities - probing the moderating role of psychological safety. Journal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14(4), 231-255 

  13. Y. J. Heo. (2019). Difference of teaching evaluation grade according make subject-level CQI in the liberal arts courses.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3(2), 419-436. 

  14. E. H. Wagner, K. Coleman, R. J. Reid, K. Philops, & J. R. Sugarman. (2012). The change3s involved in patient-centered medical home transformation. Primary Care: Clinics in Office Practice, 39(2), 241-259. DOI : 10.1016/j.pop.2012.03.002. 

  15. Y. G. Cho. (2009). Searching components of the teaching portfolio for qualitative improvement and evaluation of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25(1), 1-27. DOI : 10.17232/KSET.25.1.1 

  16. J. K. Youk. (2017).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lecture improvement effort and educational effectiveness. Korean Journal of Social Quality, 1(2), 35-53. DOI : 10.29398/KJSQ.2017.1.2.35 

  17. Iwoa State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16). Facilitate Planning and Management: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CQI). Retrived September 2, 2016, from https://www.fpm.iastate.edu/worldclass/cqi.asp 

  18. J. Y. Jeon, N. I. Kim & J. G. Han. (2013). Requirement analysis and implementation of an engineering certification program, CQI system. Journal of KIISE proceeding paper, 6, 668-670. 

  19. T. S. Park. (2017). A case of NCS-based teaching for improving workplace competency: Focus on withholding taxes competency unit of tax job. Journal of Business Education, 31(3), 25-55. 

  20. Y. R. Kim, S. C. Choi, T. J. Lee, & W. Y. Yoon. (2015). A research on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of NCS-based curriculum -in the case of department of tax accounting & information in K college university. Tax Accounting Research, 46, 107-131. 

  21. Korea University Education Council. (2016). Course teaching portfolio production process. Training Data Book, 1026-8(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