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데이터 3법이 치매 조기 예측을 위한 의료 빅데이터 활용에 미치는 영향 연구
The Effect of Data 3 on the Utilization of Medical Big Data for Early Detection of Dementia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5, 2020년, pp.305 - 315  

김혜진 (글로벌 디지털 헬스케어 정책 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치매(dementia)는 고령화와 함께 유병 인구가 지속적으로 늘어남에 따라 사회적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만큼 조기 진단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치매 예방 및 치매조기진단을 위한 검진을 실시하고 있으나 현재의 검사로는 치매조기진단이 사실상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의료 빅데이터의 통합 및 각각의 지표를 분석한 결과를 융합·패턴화 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에 국회에서는 빅데이터 활용 활성화를 위해 빅데이터의 개방과 공유를 골자로 하는 데이터 3법이 통과되었으나 보다 안전한 활용을 위해 후속 입법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 국외 정책을 파악하고 시사점을 도출, 의료 빅데이터의 안전한 활용을 위해 데이터 3법에 맞춘 구체적 시행령 제정 및 수집 및 폐기까지의 단계별 보안책 수립, 그리고 국가 차원의 거버넌스 구축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incidence and prevalence of dementia increases with our aging population, so does the social burden on our society, which calls for a special emphasis on need for early diagnosis. Thus, efforts are made to prevent dementia and early detection but with current diagnostic measures, these effor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20대 국회에 서는 의료 빅데이터의 개방과 공유를 골자로 하는 데이터 3법을 통과시켰으며 이로써 정보 제공자의 동의를 받지 않고 의료 빅데이터를 공익적 목적에 한 해 활용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마련되었으나 의료 빅데이터의 안전한 활용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은 아직 미비한 상태이다[28]. 따라서 데이터 3법 개정안을 토대로 치매조기진단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의료 빅데이터의 안전한 활용 방안을 모색해 보도록하겠다.
  • 이에 데이터 3법 통과가 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한 치매조기진단에 미치는 효과와 안전한 의료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개선점을 고찰할 필요가 있으나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과도한 규제로 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데 법적 근거가 되는 데이터 3법 개정안 통과가 상당 기간 미뤄져 현재로서는 의료 빅데 터 활용의 구체적 효용성에 대한 선행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3법 통과가 치매조기진단을 위한 의료 빅데이터 활용에 미치는 기대효과와 안전한 활용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도록 하겠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의료 빅데이터 활용에 대한 세계 주요국들의 정책을 살펴보았으며 연구 결과 외국에서는 의료 빅데이터 활용과 관련해 지속적인 법적· 정책적· 제도적 보완을 통해 ‘보호와 활용’의 균형을 이루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의료 빅데이터의 안전한 활용을 위해 개정된 데이터 3법에 맞춘 시행령을 제정하고 연구 목적으로 활용 가능한 범위 및 방법을 구체화할 것을 제안한다. 이와 관련해 미국과 영국이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채택하고 있는 의료 빅데이터의 비식별화 가이드라인이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또한 개정된 데이터 3법의 목적을 살펴보면 개인정보 보호법 개정안의 경우 개인정보를 규정하는 개념을 보다 명확히 해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법령을 체계적으로 정비 하는 것이 목적이며 정보통신법 개정안은 개인정보보호 법 개정안의 취지를 기본으로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거버넌스를 구축하기 위한 목적에서 발의되었다. 또한 신용정보법은 4차 산업 시대를 맞이해 그 중요성이 급부상한 빅데이터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빅데이터 활용으로 인한 부작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발의되었다[30].
  • 이처럼 개인 의료 빅데이터를 안전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요건이 충족되어야 하며 이에 정부는 데이터 3법 개정안이 본격적으로 시행되는 시점에 맞춰 각 분야별 가이드라인 및 해설서를 발간해 현재 우려되고 있는 가명정보 활용 범위 및 데이터 결합 방법과 절차에 대한 사안을 명확하게 정비할 것임을 밝혔다. 또한 후속 입법이 마무리되는 대로 안전성이 보장된 데이터 결합 절차를 구체화할 방침이다. 또한 보다 강화된 안전성 확보를 위해 데이터 간 결합 시 키를 관리할 기관과 결합 기관의 분리를 검토하고 있으며 결합 데이터가 외부로 유출될 경우 익명으로 처리하는 것을 최우선 원칙으로 삼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43].
  • 현재 우리나라는 데이터 3법이 통과됨으로써 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법적 근거는 마련되었으나 안전한 의료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의료 정보 보호의 구체적 방안, 빅데이터 보안 유지 및 오·남용 방지를 위한 관리 방안 등은 미비한 상태이며 따라서 의료 빅데이터 활용에 대한 법적 · 제도적 정비가 필요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건복지부가 중심이 된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의 체계적 관리를 위한 국가 차원의 거버넌스 구축을 제안하며 이를 위해서는 다음의 세 가지 요건 이 필요하다. 먼저 앞에서 살펴 본 치매조기진단 등 공익적 목적을 위한 의료 빅데이터의 활용을 허용할 수 있는 법, 제도의 통합적 정비가 이루어져야 한다.
  • 하지만 전국민에게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주민등록번호를 부여하는 우리나라의 특성상 개인의료 정보 보호에 대한 각 별한 주의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축적 되어 있는 방대한 양의 개인정보를 활용해 가명화된 개인의료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어 안전한 의료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후속 입법이 제안되고 있다[8]. 이에 의료 빅데이터 활용 시 데이터 3법 통과에 따른 기대 효과와 안전한 활용을 위한 개선점을 고찰해 볼 필요가 있다고 보며 아울러 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한 치매 조기 진단의 가능성과 안전한 활용을 위한 요건을 고찰해보도록 하겠다[9]. 치매의 특징은 발병 후 완치가 불가능하다는 점과 지속적으로 병이 진행된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1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Alzheimer's Disease International. (2015). Title Word Alzheimer's Report London. 22-23 

  2. J. H. Lee. (2017). Analysis of the association between dementia disease and other diseases using health insurance claim data. Master's Thesis Applic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Chungbuk. 

  3. K. W. Kim, S. J. Sung, B. N Kim, K. N. Lee, Y. J. Kim. M. M. Jeon & H. N. Kim. (2014). Pre-planning study for the 3rd National Dementia Management Comprehensive Plan.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Bundang. 

  4. S. J. Ko, Y. H. Jung, & D. Y. Kim. (2016). Social burden of dementia and prevention and management measures to respond to the senior society. 

  5. J. A. Choi. (2007). A study on the dementia prevention and early screening program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and knowledge of dementia, thesis for master's degree application.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6. M. K. Kim, K. H. Seo. (2017). Comparative study on domestic and overseas dementia management policies. National Policy Research. 31(1), 233-260. DOI : 10.17327/ippa.2017.31.1.010 

  7. J. J. Park. (2020). 'Start is half'...Realize the data economy securing prime water [Press release]. Retrieved from https://www.etnews.com/20200109000070 

  8. K. B. Lee .(2020). "Data 3 Act, Bringing Opportunities to Biohealth Industry" [Press release]. Retrieved from http://www.bloter.net/archives/369264 

  9. H. Y. Kwon. (2019). Prospects and challenges for the revision of the Data Regulation Act KISO Journal (36), 16-21. 

  10. W. K. Rhee. (2009). A Subject of Welfare Policy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in the Super-Aged Society. Master's thesis, Sangmyung University. 

  11. S. G. Koo, H. Y. Park. & J. H. Park. (2017). Title. A Systematic Review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Dementia.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7(2), 445-459. 

  12.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2017). Definition report of brain map and convergence technology for early diagnosis and prediction of dementia: Final report of the 3rd year of bio-medical technology business. Gwacheon. 

  13. B. N. Kim. .(2017). Domestic Dementia Management Strategy through Comparison of Overseas Dementia Policies. HIRA Vol. 11, No. 4.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14. J. H. Lim. (2020). 'Initial Dementia Diagnosis' in 10 minutes, with domestic AI technology [Press release]. Retrieved from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00213027025&wlog_tag3naver 

  15. S. S. Shin. (2020). Need to supplement and improve the "Data 3 Act" by monitoring and referring to the US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Press release]. Retrieved from http://www.kidd.co.kr/news/214247 

  1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2013). 2012 dementia prevalence survey. 

  17. Y. T. Lee, K. M. Cho, E. Y. Kim, J. S. Park. (2012). A study on the medical service industry policies of major countries. Cheongju: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18. H. C. Kim. .(2018). A study on health care policy using public big data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a model for predicting dementia for the elderly. Doctoral thesis.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Graduate School. Daejeon. 

  19. U.K. Department of Health. 2009. 'Living well with dementia: A National Dementia Strategy', London. 

  20. U.K. Medical Research Council, Retrieved May 31, 2017 from http://www.mrc.ac.uk/ 

  21. Department of Health. (2019). Living well with dementia: A National Dementia Strategy. London: Author. 

  22. Y. S. Kim. H. R Shin, S. R. Um, & S. K. Kim. (2019). [Planning Topic 1] What has changed since the dementia national responsibility system?: Suggestions on the welfare of the elderly for the development of the system. Korean Elderly Welfare Society Conference., 13-41. 

  23. J. K. Ko. & M. K. Cho. (2018). A Comparative Study of Korea and Japan on the Early Dementia Screening System. Japanese Cultural Studies, 67, 331-344. DOI : 10.18075/jcs..67.201807.331 

  24. B. H. Oh. (2008). Early detection of dementia and risk factor management. Journal of Clinical Elderly Medicine, 9(3), 354-360. 

  25. Orimo, S. (2011). Community Network for Dementia and Critical Path in Japan Research and Reviews JMAJ 54(5). pp.305-309. 

  26. J. H. Yoo. (2020) Choose for a happy old age, get a dementia early checkup [Press release]. Retrieved from http://www.newsworker.co.kr/news/articleView.html?idxno59973 

  27. W. H. Kim. & J. H. Jang. (2017). Efficient dementia screening and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phone. Journal of Arts, Humanities and Social Convergence Multimedia, 7, 577-585. DOI : 10.14257/AJMAHS.2017.01.47 

  28. D. J. Kim. (2020). [Year-round planning AI is my friend] First, second, and third is data [Press release]. Retrieved from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205022 69.htm 

  29. D. H. Hwang. (2020). After the passage of the National Assembly of Data 3 Act, the beginning of a data power [Press release]. Retrieved from http://www.ddaily.co.kr/news/article/?no191394 

  30. H. Y. Kwon. (2019). The prospects and challenges for the revision of the Data Regulations Act 3. KISO Journal (36), 16-21 

  31. H. J. Kang. (2016). Health Care Big Data Policy Status and Challenges 

  32. D. H. Won. (2020). The future that data 3 Act changes [Press release]. Retrieved from http://leaders.asiae.co.kr/news/articleView.html?idxn o141196 

  33. C. J. Lee. (2020). Intensive investment in securing original technologies such as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new drugs and overcoming dementia [Press release]. Retrieved from 

  34. Y. M. lee. (2020). Passed amendments to the Data 3 Act ... Expected to take another leap forward by using big data from the insurance industry [Press release]. Retrieved from http://www.news2day.co.kr/147964 

  35. J. M. Noh. (2019). Safe data 3 Act? There is no provision for biometric information. [Press release]. Retrieved from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4063 

  36. S. H. Wang. (2018). Legislative Guidelines for Public Data Governance of Health Care Information. Korea Legal Research Institute 

  37. S. H. Kim. (2002). Information protection management and policy: Saengneung publisher. 

  38. D. S. Kim, M. S. Kim. (2006). Medical information protection issues and policy direction informatization policy as the e-Health era progresses. Informatization Policy, 13(4), 128-148. 

  39. H. S. Kim, D. Y. Park (2014). Research on policy measures to balance the protection and use of personal information in the era of big data.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40. B. M. Suh. (2006). Research on the protection of personal and medical information in the United State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cademic Research 

  41. Solove, J. (2007). 'I've Got Nothing to Hide' and Other Misunderstandings of Privacy. San Diego Law Review, 44, 745-760. 

  42. Volkert, S. (2000). Telemedicine: Rx for the Future of Health Care. MTTLR (Michigan Tele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Law Review), 6(1), 147-214. 

  43. Y. H. Kim. (2020). The government spurs follow-up to the "Data 3 Act" ...Enforcement Decree Next Month[Press release]. Retrieved from http://www.zdnet.co.kr/view/?no20200121140026 

  44. S. Y. Oh, J. H. Park. & J. W. Kim (2019). Gather public institution health care big data to protect national health! :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45. I. Y. Jung, & W. M. Koo (2018). Data integration plan to build a healthcare ecosystem. Trends and Issues, 46, 1-38. 

  46. M. H. Oh. (2019). Consistent government policies are needed to utilize healthcare big data. In: Hospital newspaper. 

  47. Medicine, I. o. (2009). Leadership Commitments to Improve Value in Healthcare: Finding common ground: Workshop Summary.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US)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