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동의 치아우식증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요인
Risk Factors Affecting Dental Caries in Childre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5, 2020년, pp.320 - 326  

홍민희 (백석대학교 보건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18년 아동 구강건강실태조사자료를 활용하여 아동의 치아우식증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요인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만 12세 아동 20,235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조사항목으로 일반적인 특성, 치아우식 식이 행태, 구강 상태, 구강건강 관련 행태 요인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성별, 지역, 경제수준, 주관적 구강건강 상태, 치아우식 식이 행태, 구강상태, 구강건강 관련 행태 모두 위험요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구강 상태는 치석, 치은 출혈, 치아 통증, 반점치 증상을 나타내는 학생에서 치아우식증 위험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구강건강 관련 행태는 잇솔질 횟수 2회 이하, 치실과 손잡이 치실 미사용 학생에서 치아우식증 위험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치아우식증의 감수성이 가장 높은 아동을 대상으로 국가나 지역사회는 치아우식을 초기에 진단하여 관리할 수 있고 계속 구강건강관리를 위한 치아우식 관리사업체계를 구축함이 필요하다. 또한 아동·청소년기의 구강건강관리 습관을 개선시킬 수 있는 구강보건교육을 확대하고 치아우식증 예방 프로그램 개선 및 지역사회 활용의 구강보건정책의 체계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isk factors affecting dental caries in children by using the 2018 children's oral health survey data. The study was conducted on 20,235 children who were 12 years of age. The survey items examined general characteristics, dental dietary behavior, the oral...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치아우식증을 효율적으로 계속 관리하려면 치아우식증의 역학적 특성에 대한 요약과 분석이 필요하다[15]. 이에 본 연구는 12세 아동의 치아우식증에 영향을 주는 위험요인을 분석하여 아동·청소년기 구강보건교육 자료를 완성하고 치아우식 관리 방안 마련에 도움을 주고자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Y. J. Kang, K. M. Ku, K. Y. Kim et al, Oral Health Statistics and Practice, DaehanNarae Publishing, 2009, pp.65. 

  2. H. H. Min, S. H. Min. "Effects on the school dental clinic operation for children's oral health", J Korean Soc Dent Hyg, Vol.10, No.3, pp.495-502, 2010. 

  3. J. H. Lee, J. B. Kim, G. S. Cho, "Effects of school incremental dental care program", J Korean Soc Dent Hyg, Vol.10, No.3, pp.465-471, 2010.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National Children's Oral Health Survey, pp.1-455, 2018. 

  5. B. G. Lee, H. S. Lee, H. J. Ju, H. W. Oh, "Dental caries pattern in primary dentition among korea children", J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Vol.38, No.2, pp.95-104, 2014. DOI: https://doi.org/10.11149/jkaoh.2014.38.2.95 

  6. S. H. Lee, N. Y. Lee, H. S. Kang et al, Pediatric and Adolescent Dental Science, Gomunsa, 2017. 

  7.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Ministry of Health and Korea Health Statistics 2015 Korea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NHANES VI-3). Cheongju: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 

  8. K. Ryu, S. H. Jeong, J. Y. Kim, Y. H. Choi, K. B. Song, "Effect of mothers' oral health behaviour and knowledge on dental caries in their preschool children", J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Vol.20, No.1, pp.105-15, 2004. 

  9. S. J. Kim, Y. S. Won, J. S. Kim, I. S. Park, "A Study on Mother's Awareness about Infant Oral Health -Based on Mothers of Day Care Children", J Dent Hyg Sci, Vol.13, No.1, pp.61-70, 2007. 

  10. M. S. Kong, H. S. Lee, S. N, Kim, "Children's Dental Health Behavior in Relation to Their Mothers' Dental Health Knowledge Level, Attitude toward Dentist and Dental Health Behaviors", J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Vol.18, No.1, pp.84-94, 1994. 

  11. S. S. Bae, H. J. Noh,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dental caries of preschool children. - Study focused on preschool children in province, Chugcheongnam-do",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Vol.12, No.2, pp.69-80, 2011, 

  12. B. M. Kwon, I. H. Bae, S. Kim, J. Y. Kinm T. S. Jeong. "Dental caries status of 14-16 year old adolescents in yangsan area", J Korean Acad Pediatr Dent, Vol.41, No.1, pp.8-17, 2014. DOI: https://doi.org/10.5933/JKAPD.2014.41.1.8 

  13. J. B. Kim, Y. J. Choi. Public health dentistry 7th. KMS, Seoul, pp.368, 1998. 

  14. H. J. Kim, H. S. Noh, S. Kim, T. S, "Literature review of international caries detection and assessment system II to oral examination for children". J Korean Acad Pediatr Dentm, Vol.38, No.2, pp.202-9, 2011. 

  15. S. S. Jung, Dental Caries Experience Pattern in Permanent Dentition among Korean Adolescents, Ph.D dissertation, Wonkwang University, 2014. 

  16. J. R. Lukacs, L. L. Largaespada. "Explaining sex differences in dental caries prevalence. Saliva, hormones, and "life-history" etiologies". Am J Hum Biol, Vol.18, No.4, pp.540-55, 2006. DOI: https://doi.org/10.1002/ajhb.20530 

  17. A. H. Kim, S. Y. Han, H. G. Kim, H. K. Kwon, B. I, Kim, ":The Characteristics of high caries risk group for 12-year old children in korea", J Korean Acad Oral Health, Vol.34, No.2, pp.302-9, 2010. 

  18. J. H. Park, Y. E. Lee, J. Y. Kim, H. Y. Kim, Y. H. Choi, K. B. Song, "The Appraisal for Effectiveness of School-based Oral Health Program in Daegu, Korea", J Dent Hyg Sci, Vol.11, No.6, pp.521-6, 2011. 

  19. S. H. Lee, Oral health inequalities status and trend of individuals and groups in Korean adults, Ph.D dissertation, Wonkwang University, 2016. 

  2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4th National Health Promotion Plan 2016-2020, Seoul: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p.213-31, 2015. 

  21. Y. H. Oh, "A GIS-based study of the distribution of major health manpower in m korea", Health welfare forum, Vol.141, pp.59-72, 2008. 

  22. J. G. Kim, C. W. Cheon, D. C. Lee, B. J. Baik,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habits and dental caries experience in preschool children", J Korean Acad Pediatr Dent, Vol.28, No.2, pp.271-80, 2001. 

  23. B. A. Burt, "Relative consumption of sucrose and other sugars: has it been a factor in reduced caries experence?", Caries Res, Vol.27, No.1, pp.56-63, 1993. DOI: https://doi.org/10.1159/000261604 

  24. J. M. Navia, "Carbohydrates and dental health", Am J Clin Nutr, Vol.59, No.3, pp.719-27, 1994. DOI: https://doi.org/10.1093/ajcn/59.3.719S 

  25. H. K. Kwon, H. J. Kim, "Relationship between diet intake and dental caries experi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J Korean Acad Oral Health,. Vol.18, No.1, pp.119-43, 1994. 

  26. H. J. Baek, C. H. Na, S. H. Jeong, S. H. Ahn, Y. H. Choi et al, "Analysis of newly formed dental caries and food intake pattern among adolescence over three years", J Korean Acad Oral Health, Vol.35, No.3, pp.317-25, 2011. 

  27. H. K. Kim, C. S. Lee, J H. Jang et al, Oral Health Education,, DaehanNarae Publishing, 2019, pp.172. 

  28. S. J. Shin, Y. S. Ahn, S. H. Jung, "The relation between dental health behaviors and socioeconomic status among Korean adolescents", J Korean Acad Oral Health,. Vol.32, No.2, pp.223-30, 2008. 

  29. Y. N. Kim, H. K. Kwon, W. G. Chung, Y. S. Cho, Y. H. choi, "The association of perceived oral health with oral epidemiological indicators in Korean adults", J Korean Acad Dent Health, Vol.29, No.3, pp.250-60,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