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해외 재난 안전관리 시스템 사례기반 산불재난대응 연구
A Study on Wildfire Disaster Response based on Cases of International Disaster Safety Management Systems 원문보기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40 no.3, 2020년, pp.345 - 352  

이지현 (성균관대학교 미래도시융합공학과) ,  박민수 (성균관대학교 건설환경시스템공학부) ,  정대교 (성균관대학교 미래도시융합공학과) ,  박승희 (성균관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산불재난은 위험요소에 대한 경우의 수가 많고, 범위가 넓으며 파생되는 피해 다양성도 나날이 늘어나고 있다. 산불재난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 및 시스템이 생겨나고 있다. 국외 산불재난 대응 시스템은 빅데이터, GIS 기반 시스템, 의사결정 시스템 등 다양한 기술을 적용하였다. 산불재난대응 체계 및 시스템에 대해, 국내외 사례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이에 대한 국내 산불재난 대응 시스템 대안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국내 각 기관에서 파악한 정보 및 현장 정보를 통합하는 방향을 제안한다. 둘째, 재난대응 시스템에 빅데이터를 적용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셋째, 기존에 GIS 기반 시스템에 의사결정 시스템을 적용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위의 대응방안으로 기존 재난 안전 관리체계에 제안했을 때, 다양한 정보 및 데이터를 가시화하여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가시화 플랫폼으로 의사결정을 도와줄 수 있으며 최적의 결과로 최소한의 피해를 기대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est fires generate many types of risk as well as a wide and varied range of damage. Various studies and systems have emerged in response to wildfire disasters. International wildfire disaster safety management systems apply advanced technologies such as utilizing big data, GIS-based systems, and ...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초기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하고, 대응하기 위한 상황 파악이 빠르게 되어야 한다. 국외 사례를 바탕으로 국내 재난 대응 시스템 및 체계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해 보려고 한다. 더 나아가 제시한 방안을 바탕으로 Fig.
  • 빅데이터는 단시간에 많은 정보를 파악하기에 효율적이다(Lee, 2016). 따라서, 빅데이터를 적용한 재난대응 시스템에 관한 다양한 사례를 찾아보았다.
  • 국외에서 사용하는 시스템과 비교 분석하여 국내 재난대응 체계및 시스템의 문제점에 대한 대안방안을 제시한다. 따라서, 알아본 내용을 기반으로 향후 국내 재난대응 체계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해본다.
  • 산불재난대응 체계 및 시스템에 대해, 국내외 사례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이에 대한 국내 산불재난 대응 시스템 대안방안을 제시하였다. 첫 째, 국내 각 기관에서 파악한 정보 및 현장 정보를 통합하는 방향을 제안한다.
  • 본 논문에서는 늘어나는 재난에 대응하기 위해 해외의 재난 안전관리 시스템 사례에 대해 알아보았다. 국외의 재난대응 시스템 사례로는 빅데이터 적용 시스템, GIS기반 시스템, 의사결정 시스템, 플랫폼 기반 시스템 등 다양한 기술을 재난 안전관리 시스템에 적용한 것을 살펴볼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국외 산불 재난대응 체계 및 시스템에 대해 알아보고 국내 재난대응 체계 및 시스템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여 대안방안 제시하고자 한다. 국외 재난대응에 있어 빅데이터를 적용한 사례와 플랫폼 기반 다양한 시스템 및 체계 사례를 조사하였다.
  • 국민안전처는 재난 안전 총괄기관으로 안전 및 재난에 관한 정책을 수립하고 운영 및 총괄하는 기관이었다. 신속한 재난 안전에 대응하고 수습 및 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업무를 진행하였다. 재난 안전 관련 업무 이외에 비상대비 및 민방위에 관한 업무와 소방 및 방재에 관한 업무, 해양에서의 경비, 안전, 오염방제 및 해상사건 수사 등을 담당하여 활동하는 기관이었다.
  • 0 시스템을 운영한다. 이를 통해 경제 발전과 사회적 문제해결의 균형을 맞추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사냥 사회(Society 1.
  • 국외의 재난대응 시스템 사례로는 빅데이터 적용 시스템, GIS기반 시스템, 의사결정 시스템, 플랫폼 기반 시스템 등 다양한 기술을 재난 안전관리 시스템에 적용한 것을 살펴볼 수 있다. 이후 국내 산불 재난대응 체계 및 문제점에 대해 알아보고 분석해 보았다. 국내 산불 재난대응 체계는 행정안전부의 체계를 따르고 있으며, 산불재난의 경우 산림청과함께 재난대응을 한다.
  • 첫째, 국내 각 기관에서 파악한 정보 및 현장 정보를 통합하는 방향을 제시한다. 국내에서는 현재 산림청에서 관리하는 산림 공간 정보 시스템, 산불 상황 관제 시스템, 기상청의 풍향 모니터링 시스템 등 다양한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가설 설정

  • 셋째, 정보 및 데이터 공유를 위한 시스템이 필요하다. 미국 소방청의 경우 앞에서 소개한 NFIRS 시스템을 통해 화재 정보뿐아니라 의료시스템까지 다양한 정보를 알 수 있는 표준시스템을 사용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불재난의 특징은? 산불재난은 위험요소에 대한 경우의 수가 많고, 범위가 넓으며 파생되는 피해 다양성도 나날이 늘어나고 있다. 산불재난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 한 연구 및 시스템이 생겨나고 있다.
국외 산불재난 대응 시스템은 어떠한 기술들이 적용되는가? 산불재난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 한 연구 및 시스템이 생겨나고 있다. 국외 산불재난 대응 시스템은 빅데이터, GIS 기반 시스템, 의사결정 시스템 등 다양한 기술을 적용하였다. 산불재난대응 체계 및 시스템에 대해, 국내외 사례를 비교 분석하였다.
우리나라의 재난대응 체계는 어떻게 개편되었는가? 우리나라의 재난대응 체계는 미국의 재난관리 체계를 토대로 하여 재난관리체계를 개편하였다(Ju, 2016). 안전사고 예방과 재난 시종합적이고 신속한 대응 및 수습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국민안전처를 설치하였고, 재난관리를 위한 재난 안전 총괄기관으로 체계적인 재난 안전관리시스템을 구축하였다(Yoo, 2015). 그러나 시스템 구축 등 다양한 노력이 수행되었지만, 국가재난 관리체계가 정교하게 형성되어 있지 못하여서(Ju, 2016), 이후 2017년 정부조직 개편으로 인해 국민안전처는 행정안전부에 흡수 및 통합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Anderson, A. and Ezekoye, O. A. (2018). "Exploration of NFIRS protected populations using geocoded fire incidents." Fire Safety Journal, Vol. 95, pp. 122-134. 

  2. Brennan, M. A. and Flint, C. G. (2007). "Uncovering the hidden dimensions of rural disaster mitigation: Capacity building through community emergency response teams." Southern Rural Sociology, Vol. 22, No. 2, pp. 111-126. 

  3. Butry, D. T. and Thomas, D. S. (2017). "Underreporting of wildland fires in the US fire reporting system NFIRS: California." International Journal of Wildland Fire, Vol. 26, No. 8, pp. 732-743. 

  4. Choi, S. H., Park, Y. J., and Shim, J. H. (2015). "Strengthening of disaster management ability through big data utilization."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63, No. 7, pp. 21-28. 

  5. Ju, S. H. (2016). "Implications of U.S.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to Korea."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 Administration Studies, Vol. 30, No. 4, pp. 365-393 (in Korean). 

  6. Kim, Y. W., Kim, B. H., Ko, G. S., Choi, M. W., Song, H. S., Kim, G. H., Yoo, S. H., Lim, J. T., Bok, K. S. and Yoo, J. S. (2017).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flood disaster safety system using realtime weather big data."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7, No. 1, pp. 351-362, DOI: https://doi.org/10.5392/JKCA.2017.17.01.351 (in Korean). 

  7. Kwon, T. J. (2013). "Reframing sustainability in consideration of climate change and natural hazards: Focusing on the U.S. natural hazards mitigation trend and case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SCE,Vol. 33, No. 2, pp. 801-810 (in Korean). 

  8. Lee, D. K. (2016). "An introductory study on a disaster management system using big data -With focus on the comparison of the United States, Britain, and South Korea-." Crisisonomy, Vol. 12, No. 1, pp. 17-32, DOI: https://www.earticle.net/Article/A262874(in Korean). 

  9. Park, H. K. (2015). "A Study on the law-strategic improvement plan of disaster management system on the Disaster & Safety Management Fundamental Law." Journal of Law and Politics Research, Vol. 15, No. 4, pp. 1483-1513 (in Korean). 

  10. Ryu, S. I. (2007). "Comparative study on disaster response systems of local government with reference to network approach." The Korean Association For Public Administration, Vol. 41, No. 4, pp. 287-313 (in Korean). 

  11. Wilks, D. S. (2000). "Diagnostic verification of the climate prediction center long-lead outlooks, 1995-98." Journal of Climate, Vol. 13, pp. 2389-2403. 

  12. Yoo, I. S. (2015). "Disaster planning in Korea." Hanyang Medical Reviews, Vol. 35, No. 3, pp. 157-173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