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호주와 뉴질랜드의 해외학위인정제도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Foreign Higher Education Recognition Systems in Australia and New Zealand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5, 2020년, pp.318 - 326  

채재은 (가천대학교 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글로벌화의 심화, 교통수단의 발달 등으로 인해 '해외'에서 고등교육 학위를 취득하는 현상이 증가하면서 해외학위 평가인정의 필요성이 전 세계적으로 증대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교육, 취업 등을 이유로 국내에서 거주하는 외국인이 100만명에 달하고 있으나 해외학위에 대한 평가인정 제도는 부재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와 현지 방문조사를 통해서 오래전부터 해외학위인정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호주와 뉴질랜드 사례를 일정한 분석틀(추진배경, 주요 특징, 쟁점과 이슈)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양국 모두 전문인력 확보와 외국인 학생 유치 등을 위해서 해외학위인정제도를 도입한 공통점이 있으나, 운영방식(담당기구 지정, 해외학위 DB 개발 등) 면에서는 차이점이 있었다. 아울러 양국 모두 해외학위 인정과 관련된 주요 이슈들(국가간 학위체계 비교의 곤란성 등)을 잘 보여주었다. 이러한 점들에서 양국 사례는 향후 우리나라의 해외학위인정제도 구축과 관련하여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umber of foreign qualification holders has been on the rise due to the globalization and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s in other developed nations, Korea faces the growing demand for foreign higher education recognition (FHER) since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and migrant workers has ...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맥락 하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와 같이 아태지역 자격인정 개정 협약의 비준국이면서 오래전부터 해외학위인정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호주와 뉴질랜드 사례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양국 모두 ‘영연방국가’로서 해외에서 취득한 고등교육 학위와 직업자격을 평가인정하는 공통점이 있으나, 실행체계 등의 면에서 차이점이 있다.
  • 이에 따라 양국에 대한 비교 분석은 우리나라에서 해외학위인정제도를 구축할 때 고려해야할 점들을 시사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이하에서는 우선 호주와 뉴질랜드의 해위학위인정제도를 동일한 분석틀(추진배경, 주요 특징, 쟁점과 이슈)에 따라 살펴 보았다. 특히 국가별 해외학위인정제도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 제도의 주요 요인(담당기구, 인정대상, 해외학위 DB 구축방법 등)을 비교 준거로 설정하였다.
  • 그에 따라 ‘국가자격체계(Australian Qualifications Framework: AQF)’에 대비하여 해외자격의 수준이 결정된다[22]. 즉, 해외에서 취득한 4년제 학위가 AQF에 의한 4년제 고등교육 학위로서 호주내에서 통용될 수 있는지를 확인해주는 것이다. AQF는 교육훈련체제에 적용되는 호주 정부의 자격인정 프레임웤으로서 1995년 고등교육, 직업기술훈련 및 초·중등교육을 포괄하는 국가자격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 도입되었으며, 연방정부, 주정부, 지방정부에 모두 적용된다[2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IIE, A world on the move: Trends in global student mobility, IIE center for academic Mobility research & impact, 2018. 

  2. A. Schuster, M. V. Desiderio, and G. Urso, Recognition of qualifications and competences of migrants, IMO, 2013 

  3. OECD, Education at a glance 2018: OECD indicators, OECD, 2018. 

  4. 김한나, 우한솔, 이승호, "한.중.일 3국의 외국인 유학생 유치 정책 비교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제17권, 제4호, pp.311-337, 2016. 

  5. 정건섭, 뢰송림, 심문보, "지방대학의 중국유학생 유치.관리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8호, pp.327-340, 2010. 

  6. 이상미, "외국인 유학생의 이문화에 대한 태도와 개인적 특성이 문화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4호, pp.368-378, 2014. 

  7.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 etail.do?idx_cd1534 

  8. OECD, Internationalisation and trade in higher education: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OECD, 2004. 

  9. M. Sumption, Tackling brain waste: Strategies to improve the recognition of immigrants' foreign qualifications, Migration policy institute, 2013. 

  10. https://www.dhnews.co.kr. 

  11. 신현석, "외국 박사학위 인증관련 제도개선 방안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1권, 제4호, pp.197-222, 2003. 

  12. 권기석, 김호경, 외국박사학위 신고제도 활성화 방안연구, 한국연구재단, 2017. 

  13. UNESCO, Evaluation of UNESCO's regional conventions on the recognition of qualifications in higher education, UNESCO, 2016. 

  14. D. Beridze, "The recognition of studies and qualifications in higher education: A challenge for the twenty-first century," Prospects, Vol.28, No.3, pp.443-454, 1998. 

  15. https://en.unesco.org 

  16. A. Yung-Chi Hou, R. Morse, and W. Wang, "Recognition of academic qualifications in transnational higher education and challenges for recognizing a joint degree in Europe and Asia," Studies in Higher Education, Vol.42, No.7, pp.1211-1228, 2017. 

  17. B. K. Blitz, "Professional mobility and the mutual recognition of qualifications in the EU," Comparative education review, Vol.43, No.3, pp.311-331, 1999. 

  18. D. Crosier and T. Parveva, The bologna process: Its impact in Europe and beyond, UNESCO, 2013. 

  19. A. Rauhvargers, "Improving the recognition of qualifications in the framework of the bologna process," European journal of education, Vol.39, No.3, pp.331-347, 2004. 

  20. 교육부, 국내 고등교육 학위의 대외 신인도 높아진다: 대교협, 한국 국가학위정보센터로 공식 지정, 교육부, 2019. 

  21. UN, International migration report 2017: Highlights, UN, 2017. 

  22. L. Hawthorne, Competing for skills: Migration policies and trends in New Zealand and Australia: Full report, Department of Labour, Government of New Zealand, 2011. 

  23. https://internationaleducation.gov.au 

  24. https://www.aqf.edu.au/what-is-the-aqf 

  25. Department of education and training, Country education profiles: Australia 2015, Canberra, 2015. 

  26. L. Hawthorne, "The impact of skilled migration on foreign qualification recognition reform in Australia," Canadian public policy, Vol.August, pp.173-187, 2015. 

  27. C. Ward and A. M. Masgoret, "Immigrant entry into the workforce: A research note from New Zealand,"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Vol.3, No.4, pp.525-530, 2007. 

  28. https://www.nzqa.govt.nz 

  29. 채재은, "독일, 덴마크, 노르웨이의 해외자격 평가인정제도 비교 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8권, 제3호, pp.12-21, 202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