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이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Empathy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on Cultur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5, 2020년, pp.367 - 374  

김지영 (중원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공감 능력, 의사소통능력, 그리고 문화적 역량의 정도와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간호대학생들에게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 분석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 문화적 역량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중회귀 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들의 공감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은 문화적 역량과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r=.450, p<.001; r=.579, p<.001)가 있었고,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공감능력, 외국어 실력은 문화적 역량을 37.1%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들의 문화적 역량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공감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을 키워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시행, 콘텐츠의 개발과 뒷받침이 있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cultural competence among nursing students and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cultural competence. The subjects of the study consisted of 173 nursing students. Data were analyzed based on P...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 간호학에서 미래의 간호 제공자인 ‘간호대학생’ 의 문화적 역량을 연구한 논문은 2013년 픽은희, 박재순의 다문화 교육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 공감 능력,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연구를 시작으로 다양한 개념과의 관계성을 알아보는 연구들이 서서히 증가하고 있으나 보다 다양한 개념의 연관성과 영향 요인에 대한 반복연구가 요구된다[10]. 공감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이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었으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 학생의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 및 문화적 역량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앞으로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을 높일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만드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 그리고 문화적 역량의 관계를 파악하고 각각의 관계에서 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 문화적 역량의 관계 및 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과 전략 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른 주요 시사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과 의사소통능력 간에는 순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화적 역량을 설명하는 요인은 의사소통능력, 공감능력, 외국어 능력으로 문화적 역량을 3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월보, 2020년 2월호, 2020. 

  2. 강혜영, 다문화와 건강 -문화다양성과 문화역량-, 현문사, 2018. 

  3. J. Campinha-Bacote, "The process of cultural copetence in the delivery of healthcare services: A model of care," Journal of Transcultural Nursing, Vol.13, No.3, pp.181-184, 2002. 

  4. T. B. Long, "Overview of teaching strategies for cultur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Cultural Diverss, Vol.19, No.3, pp.102-108, 2012. 

  5. 송은주, 양야기, 박숙경, "비판적 사고 성향과 공감 능력이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제25권, 제4호, pp.347-355, 2016. 

  6. 노윤구, 이외선, "간호대학생의 다문화접촉경험과 문화적 공감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제6권, 제11호, pp.374-381, 2018. 

  7. C. L. Jeffrey, "Empathy and competence," The Medical Journal of Australia, Vo.188, No.7, pp.414-416, 2008. 

  8. 임승주, 박언아, "보건소 신규방문간호사의 대인태도와 의사소통능력,"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제23권, 제2호, pp.115-122, 2014. 

  9. 이은미, 간호대학생의 문화역량과 관련 변인 간의 구조분석,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10. 픽은희, 박재순, "다문화 교육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 공감 능력,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제43권, 제5호, pp.690-696, 2013. 

  11. 오원옥,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아동간호학회지, 제17권, 제4호, pp.222-229, 2011. 

  12. 전병성, 공감과 이타행동과의 관계,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13. R. B. Rubin, M. M. Martin, S. S. Bruning, and D. E. Power,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development and test of a self-efficacy model,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communication Association, Atlanta, GA, 1991. 

  14. 허경호, "포괄적 대인 의사소통 능력 척도개발 및 타당성 검증," 한국언론학보, 제47권, 제6호, pp.380-408, 2003. 

  15. 한석영,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 측정도구 개발,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16. 양선이, 임효남, 이주희, "간호대학생의 공감 능력과 문화적 역량과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9권, 제2호, pp.183-193, 2013. 

  17. 서영숙, 권영채,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 영향요인,"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2권, 제6호, pp.415-423, 2014. 

  18. 박동영, 정경화, "간호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문화간 의사소통능력이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11호, pp.337-346, 2014. 

  19. 조영미, 석소현,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인식과 문화적 역량이 다문화 수용성이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10호, pp.190-197, 2019. 

  20. 양선이,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교류 특성 및 자기 효능감과 문화적 역량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7호, pp.334-345, 2014. 

  21. M. S. Cronin, Enhancing the cultura competence of social workers, Yeshiva University in New York, NY, Doctoral Dissertation, 2005. 

  22. 안정원, 장혜영, "외국인 환자 간호에 대한 간호사의 문화역량 영향요인," 보건행정학회지, 제29권, 제1호, pp.49-57, 2019. 

  23. J. N. Giger and R. E. Cavidhizar, Transcultural nursing: Assessment and intervention, 4th ed., St. Louis, M.O: Mosby, 2004.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