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RECEDE 모형을 적용한 콜센터 상담사의 삶의 질 구조모형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the Quality of Life in the Call Center Representatives Applying the PRECEDE Model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7, 2018년, pp.396 - 406  

백종태 (충남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조영채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PRECEDE 모델을 적용하여, 콜센터 상담사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인과관계구조방정식 모형으로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조사대상은 D광역시 4개의 콜센터에서 인바운드 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상담사 695명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6년 11월 15일부터 12월 5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설문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 상담사의 삶의 질은 정신건강(우울증, 불면증, 불안감) 및 감정노동과 유의한 음의 상관 관계를 보인 반면, 직무환경, 자기효능감, 조직의 지지, 조직몰입과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구조모형 분석결과, 삶의 질에 정신건강은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직무환경과 자기효능감은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감정노동은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조직몰입과 직무환경은 감정노동 수준을 낮추는 효과가 있었다. 아울러 조직의 지지는 근로자의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을 높이는 효과가 있으며, 조직몰입은 감정노동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콜센터 상담사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실시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QOL) of call center representatives by applying the PRECEDE model to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695 consultants engaged in inbound work at four cal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 2005년 Green과 Kreuter가 제시한 수정모델[20]을 사용하여 가설적 모형을 도출하고, 콜센터 상담사의 삶의 질 수준과 감정노동, 정신건강, 직무환경과 자기효능감, 조직의 지지 및 조직몰입의 요인들을 구조방정식 모형에 통합적으로 적용하여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명확하게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PRECEDE Model 이론에 근거하여, 콜센터 상담사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정신건강, 감정노동, 직무환경, 자기효능감, 조직의 지지, 조직몰입도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PRECEDE 모델에 근거하여 콜센터 상담사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을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조사대상은 D광역시 4개의 콜센터에서 종사하고 있는 상담사 695명으로 하였다.
  • 둘째, 본 연구에서 사용된 삶의 질, 정신건강, 감정노동, 직무환경, 자기효능감, 조직의 지지, 조직몰입 등의 측정은 응답자의 주관적 자기기입식 방법으로 측정하였기 때문에, 응답편의(response bias)가 개재할 가능성을 배제 할 수 없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의의는, PRECEDE Model을 적용하여 선행연구에서 확인된 변수 간 단방향의 상관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에 모두 투입하여 그 방향성을 재정립하여 제시한 점이다. 특히 콜센터 감정노동자들의 삶의 질을 정신건강 측면에서 설명하고 예측하였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 상담사를 대상으로 측정 가능하였던 삶의 질, 정신건강(우울증, 불면증, 불안감), 감정노동, 직무환경, 자기효능감, 조직의 지지, 조직몰입이 상호 유의한 상관성이 있음을 확인한 뒤, 삶의 질과 유의한 변수들간의 영향 관계를 분석하고자 PRECEDE 모델을 적용한 연구모델을 구축하였다. 또한 기존 연구결과에 따라 삶의 질에 대한 상관성과 경로분석을 근거로 하여, 가설모형은 상담사의 정신건강, 감정노동, 직무환경, 자기효능감이 삶의 질에 영향을 줄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때 직접적으로 측정이 불가능한 삶의 질, 정신건강, 감정노동, 직무환경을 잠재변수로 구성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객과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감정노동이 지속적으로 반복될 경우 어떤 문제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아지는가? 이처럼 고객과 직접 접촉이 없는 콜센터 감정노동자들은, 보이지 않는 고객으로부터 욕설과 분노 및 적대감 등에 쉽게 노출되어 스트레스와 감정부조화에 따른 감정소진을 경험하고 있다[5]. 특히 고객과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감정노동이 지속적으로 반복될 경우 감정노동 격차와 부조화 현상으로 우울증, 불안감 등의 건강상의 문제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아진다[6].
Hochschild는 감정노동을 하는 직업이 어떤 특성을 가진다고 보았는가? Hochschild는 감정노동을 하는 직업은 고객과 대면 (face to face), 또는 일대일 통화를 하는 비대면(voice to voice)의 특성을 가진다고 보았다[4]. 이처럼 고객과 직접 접촉이 없는 콜센터 감정노동자들은, 보이지 않는 고객으로부터 욕설과 분노 및 적대감 등에 쉽게 노출되어 스트레스와 감정부조화에 따른 감정소진을 경험하고 있다[5].
삶의 질(Quality of life) 수준의 측정을 위해 사용한 삶의 질 척도(WHOQOL-BREF)는 어떻게 구성되어있는가? 삶의 질(Quality of life) 수준의 측정은 세계보건기구 (World Health Organization)에서 개발한 삶의 질 척도 (WHOQOL-BREF)를 민성길 등[22]에 의해 표준화된 한국어판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총 26문항으로 전반적 삶의 질을 묻는 2문항과 4개 영역(신체적 건강영역 7문항, 심리적 영역 6문항, 사회적 관계 영역 3문항, 생활환경 영역 8문항)의 24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마다 5점 Likert 척도를 이용하여 「전혀 아니다」1점에서 「매우 많이 그렇다」5점을 주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 of contact center for job creation and direction of development", Hanbat University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2015. 

  2. J. H. Lee, U. G. Baek, I. I. Han, S. J. Lee, "Distribution Industry Emotional Labor Studies", Seoul Labor Center, 2015. 

  3. H. J. Kim, S. Y. Shin, M. H. An, J. E. Lee, H. C. Jeong, "Research Report on the Best Collective Agreement for Employment Labor in the Call Center", Korean Finance & Service Workers' Union. 2016. 

  4. Hochschild AR, "The managed heart: Commercialization of human feeling",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3. 

  5. Sharma R, Yadav R, Aggarwal P, Singh N, "Burnout and quality of life among call centre executives", J Organ Hum Behav, vol 1, no. 3, pp. 43-48, 2012. 

  6. C. I. Park, S. R. Lee, H. G. Shin, B. S. Kang, M. G. Mum, J. J. Kim, J. H. Lee, "Emotional Labor Studies in Service Industry", Korea Labor Institute, 2012. 

  7. Korea Occupation Safety & Health Agency, "Emotional Labor Status of Employment Labor Workers, Risk Factors, Health Effects Research", Occupational Safety & Health Research Institute, 2015. 

  8. Mannocci A, Natali A, Colamesta V, Boccia A, Torre GL, "How are the temporary workers? Quality of life and burn-out in a call center temporary employment in Italy: a pilot observational study", Ann Ist Super Sanita, vol. 50, no. 2, pp. 153-159, 2014. 

  9. Mensah AO, Lebbaeus A, "The influence of employees self-efficacy on their quality of work life: The case of cape coast, Ghana", IJ-ARBSS, vol 4, no. 2, pp. 195-205, 2013. 

  10. S. O. Shin, E. K. Roh, E. S. Kim, "Caregiver's of the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vol. 8, no. 3, pp. 85-91, 2014. 

  11. J. W. Lee, Y. H. Jang, I. H. Kang,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Job Involvement and Life Satisfaction", Korea Academic Society of Tourism Management, vol. 1, no. 3, pp. 277-295, 2016. 

  12. Molino M, Emanuel F, Zito M, Ghislieri C, Colombo L, Cortese CG, "Inbound call centers and emotional dissonance in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Front Psychol, vol. 7, p. 1133, 2016. DOI: https://doi.org/10.3389/fpsyg.2016.01133 

  13. M. J. Kim, E. J. Ryu,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Quality of Work Life in Clinical Nurses based on the Culture-Work-Health Mode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45 no. 6, pp. 879-889, 2015. DOI: https://doi.org/10.4040/jkan.2015.45.6.879 

  14. B. I. Lee, H. S. Jung, "A Predictive Model of Workers' Quality of Lif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 20, no. 1, pp. 35-45, 2011. DOI: https://doi.org/10.5807/kjohn.2011.20.1.035 

  15. T. Y. Lee, W. S. Kim, H. E. Lee, "The Multilevel Analysis for Factors effecting o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Dental Technician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5, no. 6, pp. 3625-3634, 2014. DOI: https://doi.org/10.5762/KAIS.2014.15.6.3625 

  16. H. L. Jeong, K. H. Lim, "Effects of Emergency Department Nurses' Emotional Labor on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Dissonanc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11, pp. 491-506, 2016.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6.17.11.491 

  17. Green LW, Kreuter MW, "Health promotion planning: An educational and environmental approach", (3rd ed.) Mountain View: Mayfield, 1991. 

  18. Bertera RL, "Planning and implementing health promotion in the workplace: A case study of the Dupont Company Experience", Health Educ Quart, vol. 17, no. 3, pp. 307-327, 1990. DOI: https://doi.org/10.1177/109019819001700307 

  19. Glanz K, Rimer BK, Viswanath K,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4th edition, JOSSEY-BASS A Wiley Imprint, pp. 405-433, 2008. 

  20. Green LW, Kreuter MW, "Health program planning: An educational and ecological approach", 4th edition, NY: McGraw-Hill Higher Education, 2005. 

  21. Faul F, Erdfelder E, Lang AG, Buchner A,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science", Behav Res Methods, vol. 39, no. 2, pp. 175-191, 2007. DOI: https://doi.org/10.3758/BF03193146 

  22. S. K. Min, K. I. Kim, S. Y. Suh, D. K. Kim,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Scale(WHOQOL)",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vol. 39, no. 1, pp. 78-88, 2000. 

  23. K. K. Chon, S. C. Choi, B. C. Yang, "Integrated Adaptation of CES-D in Korea",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 6, no. 1, pp. 59-76, 2001. 

  24. M. J. Cho, K. H. Kim, "Diagnostic Validity of the CES-D(Korean Version) in the Assessment of DSM-III -R Major Depression",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vol. 32, no. 3, pp. 381-399, 1993. 

  25. Bastien CH, Vallieres A, Morin CM, "Validation of the insomnia severity index as an outcome measure for insomnia research", Sleep Med, vol. 2, pp. 297-307, 2001. DOI: https://doi.org/10.1016/S1389-9457(00)00065-4 

  26. Spitzer RL, Kroenke K, Williams JBW, Lowe B, "A brief measure for assessing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rch Intern Med, vol. 166, pp. 1092-1097, 2006. DOI: https://doi.org/10.1001/archinte.166.10.1092 

  27. S. J. Chang, H. T. Kang, S. Y. Kim, I. A. Kim, J. I. Kim, H. R. Kim, "Study on Applied Research Tools for Korean Emotional Labor Scale and Korean Workplace Violence Scale(2013)", Korea Occupation Safety & Health Agency, 2014. 

  28. S. J. Chang, S. B. Koh, D. M. Kang, S. A. Kim, M. G. Kang, C. G. Lee, et al, "Developing an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Korean Employees", Korean J Occup Environ Med, vol. 17, no. 4, pp. 297-317, 2005. 

  29. Y. K. Ko, "Identification of Factors related to Nurses' Individual Performance using a Multi level Analysis",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Doctoral thesis, 2006. 

  30. K. H. Cho, "Anteceden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Korean Public Services : An Application of LISREL", The Korean Association For Public Administration, vol. 27, no. 4, pp. 1203-1226, 1993. 

  31. J. P. Woo, "Structural Equation Model Concept and Understanding", Hannarae Publishing Co, 2012. 

  32. Templeton GF, "A two-step approach for transforming continuous variables to normal: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IS Research", CAIS, vol. 28, no. 4, pp. 41-58, 2011. 

  33. T. M. Song, G. S. Ki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Health & Welfare Research", Hannarae Publishing Co, 2012. 

  34. Y. H. Chang, "A Study on Beauty Service Worker's Stress,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consequent on Emotional Labor", Graduate School of Seokyeong University, Doctoral thesis, 2015. 

  35. Raja JD, Bhasin SK. Health issues amongst call center employees, an emerging occupational group in India, Indian J Comunity Med 2014; 39(3): 175-177. DOI: https://doi.org/10.4103/0970-0218.137156 

  36. Celik DA, Oz Eu. The effects of emotional dissonance and quality of work life perceptions on absenteeism and turnover intentions among turkish call center employees, Procedia Soc Behav Sci 2011; 30: 2515-2519. DOI: https://doi.org/10.1016/j.sbspro.2011.10.491 

  37. Malik SA, Bashir N, Khan MM, Malik SA, "Predicting employees turnover in telecom mobile communication call centers of Pakistan", Middle East J Sci Res, vol. 17, no. 4, pp. 481-494, 2013. 

  38. M. S. Chung, "Mediating Effects of Job Stress and Moderating Effects of Autonom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vol. 16, no. 3. pp. 121-138, 2015. DOI: https://doi.org/10.15703/kjc.16.3.201506.1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