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백반증의 한약 치료에 대한 임상 연구 고찰
A Review of Clinical Researches for Herbal Medicine Treatment on Vitiligo 원문보기

大韓韓方小兒科學會誌 =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v.34 no.2, 2020년, pp.57 - 74  

박슬기 (경희대학교 대학원 소아과학교실) ,  박소현 (경희대학교 대학원 소아과학교실) ,  이선행 (경희대학교 대학원 소아과학교실) ,  이진용 (경희대학교 대학원 소아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linical studies on the efficacy and safety of herbal medicine in vitiligo by analyzing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Methods Three electronic databases including the PubMed, EMBASE, and Cochrane library were used to search for randomized con...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백반증 한약 치료에 대한 국내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국외의 문헌 조사를 통해 백반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한약 치료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으며, 총 11편13-23)의 무작위 대조 비교 임상 연구가 고찰되었다.
  • , 치료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무작위 대조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여러 RCT 논문을 중심으로 백반증 한약 치료의 임상 연구를 분석하여 치료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하고, 향후 백반증에 한약 치료를 적용하기 위한기초 자료로 삼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백반증이란 무엇인가? 백반증은 후천성 탈색소 질환 중 하나로, 멜라닌세포 결핍에 의해 피부에 하얀 반점이 생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24) ,한국 백반증 환자 수가 2010년 5만여 명에서 2018년6만여 명으로 8년 새 25%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아 백반증이 소아기의 조기 진단 및 치료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소아 백반증의 경우 자각이 별로 없어 발견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고, 통증의 부재로 부모들도 발견하지못하는 경우가 많아 나중에 증상이 악화된 뒤 의료기관을 찾는 사례가 많다. 그리고 한번 증상이 발현되면쉽게 치료되지 않고 장기간의 자기관리 및 치료를 필요로 하며, 조기에 치료할수록 예후가 좋다고 알려져있어3) 소아기의 조기 진단 및 치료가 중요하다.
백반증의 한약 치료에 사용된 약재들은 무엇인가? 4. 한약 치료로 가장 많이 사용된 약재의 빈도는 홍화가 6회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그 다음으로당귀, 백지, 황기가 5회, 감초, 단삼, 도인, 독활,백질려, 보골지가 4회, 계혈등, 숙지황, 천궁, 하수오, 흑지마가 3회 사용되었다. 해당 약재들을 분석한 결과 활혈화어약, 보익약에 해당하는 약재들의 활용도가 높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Ezzedine K, Eleftheriadou V, Whitton M, van Geel N. Vitiligo. Lancet. 2015;386(9988):74-84. 

  2. Sehgal VN, Srivastava G. Vitiligo: compendium of clinico-epidemiological features. Indian J Dermatol Venereol Leprol. 2007;73:149-56. 

  3. Ezzedine K, Silverberg N. A practical approach to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vitiligo in children. Pediatr. 2016;138(1).1-14. 

  4. Mohammed GF, Gomaa AH, Al-Dhubaibi MS. Highlights in pathogenesis of vitiligo. World J Clin Cases. 2015;3(3):221-30. 

  5. Lee SD. Study on the effect of various factors on oriental medical treatment and therapeutic effect for vitiligo, incurable skin disease with diagnosis and treatment based on overall analysis of symptoms and signs. J Korean Oriental Med. 1996;4(10):191-214. 

  6. Alikhan A, Felsten LM, Daly M, Petronic-Rosic V. Vitiligo: a comprehensive overview Part I. Introduction, epidemiology, quality of life, diagnosis, differential diagnosis, associations, histopathology, etiology, and work-up. J Am Acad Dermatol. 2011;65(3):473-91. 

  7. Faria AR, Tarle RG, Dellatorre G, Mira MT, Castro CC. Vitiligo-Part 2-classification, histopathology and treatment. An Bras Dermatol. 2014;89(5):784-90. 

  8. Oiso N, Suzuki T, Wataya-Kaneda M, Tanemura A, Tanioka M, Fujimoto T, Fukai K, Kawakami T, Tsukamoto K, Yamaguchi Y, Sano S, Mitsuhashi Y, Nishigori C, Morita A, Nakagawa H, Mizoguchi M, Katayama I.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vitiligo in Japan. J Dermatol. 2013;40(5):344-54. 

  9. Jung JH, Seo HS. One case report of vitiligo.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05;18(3):121-6. 

  10. Lee JH, Kim SY. Four cases of vitiligo patients treated by Oriental medical treatment who have experienced Excimer Laser treatment.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4;27(3):205-12. 

  11. Kim KB, Kim TW. Clinical report of 4 vitiligo cases treated as korean medicine.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5;28(1):143-51. 

  12. Hong YH, Kim SW, Cho YC. Four cases of soyangins vitiligo patients gotten better by Oriental medical treatment who have the symptoms in the hands.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5;28(1):152-9. 

  13. Zhu GD. Clinical observations on the therapeutic results in 232 cases of vitiligo. Chin J Integr Trad West Med. 1986;6(11):669-71,645. 

  14. Xu AE, Zhong XM. Traditional Chinese herbs combined with corticosteroids in the treatment of 186 cases of vitiligo. Chin J Dermatol. 1995;28(4):252-3. 

  15. Liu ZJ, Xiang YP. Clinical observation on treatment of vitiligo with xiaobai mixture. Chin J Integr Trad West Med. 2003;8:596-8. 

  16. Parsad D, Pandhi R, Juneja A. Effectiveness of oral Ginkgo biloba in treating limited, slowly spreading vitiligo. Clin Exp Dermatol. 2003;28:285-7. 

  17. Middelkamp-Hup MA, Bos JD, Rius-Diaz F, Gonzalez S, Westerhof W. Treatment of vitiligo vulgaris with narrow-band UVB and oral Polypodium leucotomos extract: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J Eur Acad Dermatol Venereol. 2007;21(7):942-50. 

  18. Shi N, Chen YJ, Wang J, Ni H. Clinical observation on the effect of Zengse Pill in treating patients with vitiligo of qi-stagnancy and blood-stasis syndrome type. Chin J Integr Med. 2008;14(4):303-6. 

  19. Wang YH. The clinical research on vitiligo due to Qi Stagnation and Blood Stasis treated with integrative therapy of Chinese and western medicine. Henan Tradit Chin Med. 2015;35(1):137-9. 

  20. Lei Y, Wan JJ, Zhang SG. Efficacy analysis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combined with tacrolimus ointment in the treatment of vitiligo. World Chin Med. 2016;11(7):1218-20. 

  21. Lei Y, Zhang SG, Wang JJ. Observation of curative effect of Chinese medicine combined with NB-UVB in treatment of vitiligo. World Chin Med. 2016;11(8):1451-3. 

  22. Zhang C, Zhou L, Huang J, Shi W. A combination of Yiqiqubai granule and 308-nm excimer laser in treatment of segmental vitiligo: a prospective study of 233 patients. J Dermatolog Treat. 2017;28(7):668-71. 

  23. Li L, Ma Q, Li H. Effect of vitiligo treatment using compound glycyrrhizin combined with fractional carbon dioxide laser and topical triamcinolone acetonide on serum interleukin-17 and tissue growth factor- ${\beta}$ levels. J Int Med Res. 2019;47(11):5623-31. 

  24.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Healthcare bigdata hub [Internet]. Available from: http://opendata.hira.or.kr/op/opc/olap3thDsInfo.do 

  25. Masher DB, Fitzpatrick TB, Ortonne JP. Abnormalities of pigmentation. In: Fitzpatrick TB, Eisen AZ, Wolff K, et al, editors. Dermatology in General Medicine. 2nd ed. New York:McGraw-Hill Book. 1979:582-90. 

  26. Lee SD. A documentary study on herb, drugs used for vitiligo -with an emphasis on classifying kinds, excess and weakness syndrome, the changes of medical methods and factors by each epoch mentioned in the relative documentary records. J Korean Med. 1995;16(2):44-61. 

  27. Kim KB, Kim DG, Kim YH, Kim JH, Min SY, Park EJ, Baek JH, Sung HK, Yu SA, Lee SY, Lee JY, Chang GT, Jeong MJ, Chai JW, Cheon JH, Han YJ, Han JK. Hanbangsoacheongsonyeonuihak (ha). Seoul: Ui Sung Dang Publishing Co. 2015:392-5. 

  28. Kim IR, Kim HC, Kuk YB, Park SJ, Park YG, Park JH, Seo BI, Seo YB, Song HJ, Shin MK, Lee YJ, Lee YC, Lee JH, Lim GH, Jo SI, Jung JG, Joo YS, Choi HY. Bonchohak. Seoul: Young Lim Sa Publishing Co. 2010:194. 

  29. Tu YH, Xue YR, Guo DD, Sun LN, Guo ML. Carthami flos: a review of its ethnopharmacology, pharmacology and clinical applications. Rev Bras Farmacogn. 2015;25(5):553-66. 

  30. Dajue L, Mundel HH.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Roma: IPGRI(International Plant Genetic Resources Institute). 1996:29-30. 

  31. Delshad E, Yousefi M, Sasannezhad P, Rakhshandeh H, Ayati Z. Medical uses of Carthamus tinctorius L. (Safflower): a comprehensive review from traditional medicine to modern medicine. Electron Physician. 2018;10(4):6672-81. 

  32. Roh JS, Han JY, Kim JH, Hwang JK. Inhibitory effects of active compounds isolated from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seeds for melanogenesis. Biol Pharm Bull. 2004;27(12):1976-8. 

  33. Liao J, Li PP, Wu CJ, E Z, Wang SZ, Li SL. Photosensitizer screening from chinese medicinal herbs and photodynamic anticancer studies. Chin J Integr Med. 1999;5(3):185-9. 

  34. Huang KC. The pharmacology of Chinese herbs. Boca Raton, FL: CRC Press. 1999: 

  35. Yoon MH. Clinical use of steroid. Korean J Pain. 2004;17:45-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