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원의 넓이를 구하는 공식에서 문자 표기 순서에 대한 연구
On the written order of characters in the formula for measuring the area of a circle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v.59 no.2, 2020년, pp.131 - 146  

이민정 (해강중학교)

초록

원의 넓이를 구하는 공식을 보면, 일반적으로 원주율이 반지름의 길이의 제곱의 앞에 쓰여 지지만 독일과 프랑스에서 원주율이 뒤에 쓰여 진 경우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를 연구 한다: 첫째, 원주율을 뒤에 쓰는 학생이 얼마나 있는가? 둘째, 학생들이 원의 넓이를 구하는 공식에서 문자 표기 순서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가? 국내의 만 14세에서 만 21세까지의 사람들 중 임의 추출한 201명에 대한 온라인 설문 조사 결과 둘 다 가능하다 또는 뒤에만 가능하다는 인식이 86% 이상 있었다. 본 연구에는 원의 넓이에 대한 일반적인 문자 표기 순서와 학교 교육을 통해 자연스럽게 형성된 학생들의 인식에 차이가 있음이 보여 진다. 덧붙여 만 14세에서 만 16세까지의 학생들은 원주율을 뒤에만 써야한다는 인식이 더 강했으나 그 연령대 이후로 둘 다 가능하다는 인식의 변화가 있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의미의 혼동이 없다면, 두 표기 모두 가능하다는 것이 가장 공통적인 인식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교과서에는 원주율을 뒤에 쓴 표현이 추가된 방식으로 표현되어야 학생들의 이해가 더 자연스러울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garding the formula for measuring the area of a circle, the Archimedes' constant is generally written in front of the square of radius length, but there were a few cases where the Archimedes' constant was written after that in Germany and France. In this study, two things are studied: First, how m...

주제어

표/그림 (13)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학교 수학 1 교과서에서 말하는 원의 넓이 S의 공식은? 그래서 반지름의 길이가 r 이고, 중심각의 크기가 aº인 부채꼴의 넓이 S를 S = πr2 ×  와 같은 표현을 사용하여 나타내고 있다. Kim 외(2019)는 중학교 수학 1 교과서에서 일반적으로 π를 숫자와 문자 사이에 쓴다는 표현은 하지 않았지만 원의 넓이 S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 r, 원주의 길이 l 에대하여 l = 2πr, S = πr2이라고 설명하였다. 중학교 1학년 과정에서는 무리수를 배우지 않지만 중학교 3학년 이후 과정에서 실수 전체를 배우므로 본 연구에서 반지름의 길이는 모두 양의 실수로 둘 것이다.
원주율을 반지름 길이의 제곱 앞에 써야한다는 인식과, 뒤에 써야한다는 인식 차이가 시사하는 바는? 결론적으로 의미의 혼동이 없다면 둘 다 가능하다는 것이 가장 공통적인 인식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원의 넓이 구하는 공식에서 문자 표기 순서를 서로 바꾸어 쓸수도 있도록 유연하게 지도할 필요가 있다. 국내의 교과서에서는 ‘원의 넓이는 S,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r에 대하여 S = πr2이다' 대신에 '원의 넓이는 S,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r에 대하여 S = r2π = πr2이다'와 같은 방식으로 표현되어야 자연스러울 것이다.
독일, 프랑스의 원의 넓이를 구하는 공식의 특이점은? 원의 넓이를 구하는 공식을 보면, 일반적으로 원주율이 반지름의 길이의 제곱의 앞에 쓰여 지지만 독일과 프랑스에서 원주율이 뒤에 쓰여 진 경우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를 연구 한다: 첫째, 원주율을 뒤에 쓰는 학생이 얼마나 있는가? 둘째, 학생들이 원의 넓이를 구하는 공식에서 문자 표기 순서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가? 국내의 만 14세에서 만 21세까지의 사람들 중 임의 추출한 201명에 대한 온라인 설문 조사 결과 둘 다 가능하다 또는 뒤에만 가능하다는 인식이 86% 이상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dams, D. Q. (1987). Essential Modern Greek Grammar. New York City, New York: Dover Publications. 

  2. Choi, E. A. (2018). A comparative Analysis of Pi and Area of a Circle in Mathematics Textbooks of Korea, Japan, Singapore and The US.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21(4), 445-467. http://doi.org/10.30807/ksms.2018.21.4.007 

  3. Encyclopedia of mathematics (2015). constant, Seoul: Korean Mathematical Society. 

  4. Go, S. E., Lee, J. H., Lee, S. W., Cha, S. G., Kim, Y. H., Oh, T. G., Jo, S. C. (2019). High school calculus. Seoul: Sinsago. 

  5. Israel, D. Glenn (1992). Determining Sample Size. Florida Cooperative Execution Service FEOD-6. Gainesville: University of Florida. 

  6. Jang, G. W., Gang, H. Y., Kim, D. W., An, J. M., Lee, D. H., Park, J. H., ..., Gu, N. Y. (2019). Middle School Math 1. Seoul: Jihak. 

  7. Karsten, W. J. G. (1768). Lehrbegrif der gesamten Mathematik: Weitere Ausfuhrung der Rechenkunst : Die Buchstabenrechnung. Die ebene und sphaerische Trigonometrie, nebst weiterer Ausfuehrung der Geometrie. Greifswald: Rose 

  8. Karsten, W. J. G. (1786). Lehrbegriff der gesamten Mathematik: Weitere Ausfuhrung der Rechenkunst : Die Algebra mit den vornehmsten Anwendungen auf Zahlenrechnungen, Die ebene und spharische Trigonometrie nebst weiterer Ausfuhr. der Geometrie. 2,1. Greifswald: Rose. 

  9. Katz, V. J. (2009). A History of Mathematics / An Introduction (3rd ed.). Boston: Addison Wesley Longman. 

  10. Kim, W. G., Jo, M. S., Bang, G. S., Im, S. H., Kim, D. H., Gang, S. J., ..., Kim, Y. H. (2019). Middle School Math 1. Seoul: Visang Education. 

  11. KOSIS National Statistical Portal (2020). The resident registration population on administrative districts (eupmyeon-dong)/5 years old. Seoul: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Retrieved April 27, 2020, from http://kosis.kr 

  12. Lee, D. J. (2019). Two new mathematics @3: The Heart of Time. Seoul: Owl Press. 

  13. Lee, J. G. (2007).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Seoul: Kyoyookbook. 

  14. Lee, M. J. (2019). A study on the formula for seeking the width of a circle- Focusing on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2019 Contemporary Perspectives on Learning and Teaching in Mathematics Education, Vol2, 261-264. Seoul: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and the Korea Society of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15. Legendre, A. M. (1858). Elements of Geometry and Trigonmometry (Chales Davies, ed.) NY: A. S. Barnes & Co. 

  16. Ministry of Education (2019).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6-2.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17. National Korean Language Institute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2020). Panel. Seoul: National Korean Language Institute. 

  18. Realschule Schweiklberg (2020). Erklarvideos der Realschule Schweiklberg: Mathematik 9 I , Rottenburg: 2020 RS-Rottenburg. Retrieved April 27, 2020, from https://www.rs-rottenburg.de/faecher/mathematik 

  19. Ryu, H. C., Ryu, S. R., Lee, K. H., Sin, B. M., Kang, S. M., Yun, O. G., ..., Kim, C. H. (2019a). Middle School Math 2. Seoul: Chunjae. 

  20. Ryu, H. C., Ryu, S. R., Lee, K. H., Sin, B. M., Kang, S. M., Yun, O. G., ..., Kim, C. H. (2019b). Middle School Math 3. Seoul: Chunjae. 

  21. Schwartzman, S. (1994). The Words of Mathematics: An Etymological Dictionary of Mathematical Terms Used in English. Washington: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 

  22. Stephan, H. (2012). Saxon Math course 1. Orlando: Houghton Mifflin Harcourt Publishing Company. 

  23. Waddingham, A. (2014). New Hart's Rules: THE Oxford Guide to Style. N.Y.: Oxford University Press.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