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고등학생의 진로교육 및 체험이 진로계획 인식에 미치는 차이
Differences in Career Education and Experience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n Career Plan Recognition 원문보기

JPEE : Journal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12 no.1, 2020년, pp.243 - 254  

정지애 (서원대학교 교양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청소년의 진로교육과 체험의 경험과 만족도에 의한 진로계획(인생목표, 자기기준, 미래조망)의 인식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청소년종합실태조사의 '진로·직업 및 직업관 영역'을 활용하여 만 13세~18세의 청소년 2,998명을 중·고등학생 집단(경험무집단, 경험불만족집단, 경험만족집단)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진로계획의 집단별 차이는 대다수 경험만족집단이 경험무집단과 경험불만족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나 진로교육 및 체험을 경험하고 만족할수록 인생목표, 자기기준, 미래조망에 대한 확신을 나타냈다. 또한 자기기준과 미래조망의 경우 경험불만족집단에 비해 경험무집단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경험에 만족을 할 경우 중학생 집단의 평균치가 고등학생 집단보다 높게 나타나 질적인 측면에 초점을 둔 진로교육의 필요성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focused on the perception of career plans(life goals, self-standards, future prospects) based on the experience and satisfaction of career education and experiences of adolescents. To this end, 2,998 adolescents aged 13 to 18 are divided into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groups(Inexper...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진로교육 및 체험에서는 단순한 경험이 아닌 만족도에 따라서 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14,1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유학기제를 경험한 중학생과 경험하지 않은 고등학생의 진로교육 및 체험이 진로계획에 미치는 효과를 경험여부와 만족도로 구분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여성가족부에서 조사한 2017년 청소년종합실태조사[16] ‘진로·직업 및 직업관 영역’을 활용하여 만13세부터 만18세까지 조사된 청소년을 중·고등학생 집단으로 분류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진로교육과 체험의 경험과 만족도에 의한 진로계획(인생목표, 자기기준, 미래조망)의 인식에 주목하였다. 향후 청소년기 진로발달특성에 맞는 실효성 있는 진로교육 및 체험을 촉진하는 토대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 따라서 향후 패널 변화에 의한 종단분석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여겨진다. 셋째, 본 연구는 청소년기 진로교육 및 체험이 진로계획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패널조사에 응답한 청소년의 인식 및 지각에 초점을 맞추고 살펴보았다. 향후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기 진로교육 및 체험이 진로계획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 변인연구의 양적 연구와 실험연구와 인터뷰 등의 질적 연구로 구체적이고 깊이 있는 후속연구를 제언하는 바이다.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진로교육과 체험의 경험과 만족도에 의한 진로계획(인생목표, 자기기준, 미래조망)의 인식에 주목하였다. 향후 청소년기 진로발달특성에 맞는 실효성 있는 진로교육 및 체험을 촉진하는 토대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청소년종합실태조사를 활용하여 만 13세~18세의 청소년 2,998명을 대상으로 중·고등학생 집단을 경험무집단, 경험불만족집단, 경험만족집단으로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 H. Kim, J. K. Lee, H. S. Yoo, M. H. Hwang, Y. J. Gong, J. H. Son, H. Y. Kang, J. H. Kim, J. Y. Ryu, E. M. Lim, and E. Y. Son, Career Counseling Theory. Seoul: Hakjisa, 2013. 

  2. C. Y. Jyung, J. H. Jeong, J. B. Lee, J. S. Nam, J. E. Jeong, and S. H. Im, "The content analysis of career education curriculum on teacher education institutes,"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vol. 30, no. 3, pp. 151- 171, September 2017. 

  3. D. E. Super, "A life-span, life-space approach to career develop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 16, no. 3, pp. 282-298, 1980. 

  4. R. S. Sharf, "Applying career development theory to counseling," 4th ed. Nelson Education, 2016. 

  5. C. Y. Jyung, J. C. Jeong, J. B. Lee, D. G. Jeong, H. S. Lim, S. J. Lee, and J. H Lim, "Career education in South Korea: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vol. 28, no. 3, pp. 155-171, September 2015. 

  6. S. W. Seo. "A comparative study on caree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in Korea and Japan," The Journal of Practical Arts Education Research, vol. 24, no. 1, pp. 195-218, February 2018. 

  7. Ministry of Education. 2017 Career Education Detailed Implementation Plan(2017.02.23.),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2017. 

  8. S. J. Choi, G. N. Lee, J. S. Nam, H. S. Lim, and K. H. Cho, "Delphi analysis on the operation for a career education intensive semester & grade system,"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 17, no. 10, pp. 109-131, May 2017. 

  9. S. H. Osipow and L. F. Fitzgerald, "Theories of career development,"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73. 

  10. I. B. Song and H. Y. Kang, "Analysis on the Affecting Factors of School Career Educational Activities for Junior-high School Student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6, no. 10, pp. 140-149, August 2016. 

  11. K. Y. Park, "The effect of work-based experiential learning on career planning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adolescence," Journal of Future Oriented Youth Society, vol. 5, no. 3, pp. 115-130, September 2008. 

  12. M. S. Kang and Y. S. Park, Analysis of the Career Decision Process.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1984. 

  13. C. K. Shin and M. J. Park, "The case study of three schools with free-semester policy,"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vol. 33, no. 1, pp. 309-338, April 2015. 

  14. K. G. Lee and C. Y. Kang, "A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areer education satisfaction factors of adolescents: a moderating effect of gender and career decision level by utilizing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 17, no. 6, pp. 61-82, May 2017. 

  15. Y. K. Au, "Estimating change patterns in adolescents'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the satisfaction feeling on career education,"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Career Education, vol. 21, no. 4, pp. 23-41, December 2008. 

  16. H. J. Baek, H. J. Lim, H. C. Kim, and S. C. Yoo, Overall Survey of Youth, Seoul: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7. 

  17. B. O. J. Omatseye, "The adolescent quest for autonomy: Renegotiating a cordial relationship," College Student Journal, vol. 41, no. 3, pp. 623-631, 2007. 

  18. B. W. Tuckman, "An age-graded model for career development educat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 4, no. 2, no. 193-212, 1974. 

  19. E. Ginzberg, Career development.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Applying contemporary theories to practice, pp. 172-190, 1984. 

  20. Ministry of Education, School Career Education Goals and Achievement Standards(career education 2012-1),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2012. 

  21. E. J. Hyslop-Marginson and B. Graham, "Principles for democratic learning in career education," Canadian Journal of Education, vol. 26, no. 3, pp. 341-361, 2001. 

  22. E. J. Hyslop-Marginson and A. McKerracher, "Ontario's guidance and career education program: A democratic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 and Work, vol. 21, no. 2, pp. 133-142, 2008. 

  23.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7 Youth white paper, 11-1383000-000102-10, Seoul: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7. 

  24. H. C. Kim, H. J. Paik and J. Y. Lee, International Comparison Study of Career Experiences In Asian Youth (I. Research Report of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Seoul: Korea Institute for Youth Development, 2016 

  25. K. K. Nelson, How Relevant Career Experiences Influence Career Decision Making. ERIC Documnet Reproduct Service No. ED 333305, 1990. 

  26. G. Y. Park and K. R. Noh,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Verification and Improvement Plan of Youth Vocational Experience Learning Progran, Seoul: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2006. 

  27. M. J. Shin, H. K. Yu, and Y. S. Cho, "Development of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job shadowing,"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vol. 21, no. 1, pp. 39-57, March 2008. 

  28. A. Y. Kim, S. K. Yoo, and B. H. Kim, Career Development Test for Youth(1st year research report), Seoul: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2005. 

  29. C. K. Kim, "A study on the career planning applied concepts of career development approach,"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vol. 10, no. 1, pp. 135-182, June 1999. 

  30. H. J. Joo and S. C. Lee, "Effects of career education in school,"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 12, no. 2, pp. 157-180, 2014. 

  31. J. Moon and K. H. So, "An analysis of implementation of career education in middle school : focusing on excellent schools in curriculum,"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vol. 29, no. 4, pp. 135-155, December 201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