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펙트럼 분석을 통한 2016년 하계 한국연안의 수온변동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ummer Water Temperature Fluctuations by Spectral Analysis in Coast of Korea in 2016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26 no.2, 2020년, pp.186 - 194  

서호산 (부경대학교 해양산업개발연구소) ,  정용현 (부경대학교 생태공학과) ,  김동선 (부경대학교 생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동해, 서해 및 남해안에서 하계 수온의 단기적인 변화에 영향을 주는 환경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국립해양조사원에서 제공하는 2016년 하계 조위관측소의 수온, 기온, 조위 및 바람자료를 이용하여 스펙트럼 분석을 실시하였다. Power spectrum 분석 결과, 평균조차가 100 cm 이상인 서해안(인천, 평택, 군산 및 목포)과 남해안(완도, 고흥, 여수, 통영 및 마산)에서는 수온, 조위가 동일한 주기에서 peak가 나타났다. 반면에 서해안과 남해안에 비해 평균조차가 상대적으로 작은 동해안(묵호, 포항 및 울산)과 부산에서는 수온의 주기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Coherence 분석에서 서해안과 남해안의 3개 정점(완도, 고흥, 통영)은 수온과 조위의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완도와 통영에서 수온과 조위의 상관성은 반일주기에서 0.96으로 높았다. 여수는 조석과 담수의 유입이 수온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마산의 수온은 남풍의 바람 영향이 가장 크지만 조석과 담수의 영향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동해안은 조차가 작고 해류의 영향이 크기 때문에 수온에 대한 조석의 영향이 작은 것으로 사료된다. 환경 요인의 시계열그래프를 비교한 결과, 수온과 조위가 상관성이 높게 나타난 정점은 창조 시 비교적 저수온의 외해수가 유입되고 낙조 시 빠져나가는 것으로 판단된다. 일주기의 수온 변화는 조석의 영향이 크지만 전체적인 수온의 상승과 하강은 기온의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spectral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environmental factors af ecting short-term changes in water temperature in the East, West and South coasts of Korea. The data used in the spectrum analysis is the 2016 summer water temperature, air temperature, tide level and wind data prov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동해, 서해 및 남해안을 대상으로 하계 수온변화를 일으키는 해양환경 요소를 파악하고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그 상관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 본 연구는 한국 연안에서 어떤 환경요인이 수온의 단기적인 변화에 영향을 크게 주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수온, 기온 및 조위자료를 이용하여 power spectrum 및 coherence 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 설정

  • 96으로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여수의 수온은 조석 외에도 섬진강 담수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 마산에서는 남북방향의 바람과 수온의 상관성이 일주기에서 0.
  • , 2003). 해양생태계는 수온의 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Zhang et al., 2000). 특히 양식이 발달한 남해안은 양식 생물이 고수온에 의해 대량폐사하기도 한다(Na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서해안의 지형적 특성은? 동해는 동한난류와 북한한류가 교차하며(Kim and Kim, 1983), 그로 인해 어장형성에 유리한 것이 특징이다. 서해안은 평균수심이 약 44 m로 얕으나, 조차는 가장 큰 곳이 9 m 이상으로 크기 때문에 뻘 조간대가 발달되어 있다. 뻘 조간대는 육상의 유기물 공급으로 인해 해양생물의 서식처로 쓰이기도 한다.
동해의 특성은? 한국의 동해, 서해 및 남해안은 지형적인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해양환경특성이 나타난다. 동해는 동한난류와 북한한류가 교차하며(Kim and Kim, 1983), 그로 인해 어장형성에 유리한 것이 특징이다. 서해안은 평균수심이 약 44 m로 얕으나, 조차는 가장 큰 곳이 9 m 이상으로 크기 때문에 뻘 조간대가 발달되어 있다.
서로 다른 해양환경특성으로 인한 영향은? 또한 생물체들이 서식하기 좋은 환경이기 때문에 연안을 중심으로 양식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해역 특성으로 인하여 해양생물은 다양하게 분포하지만 먹이섭취와 성장 및 대사율은 수온, 염분 등의 해양 환경에 따라 다양한 반응을 보인다(Bayne et al., 198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ayne, B. L., D. A. Brown, K. Burns, D. R. Dixon, A. Ivanovici, D. R. Livingstone, D. M. Lowe, M. N. Moore, A. R. D. Stebbing, and J. Widdows(1985), The effects of stress and pollution on marine animals (Praeger special studies), Praeger Scientific, Westport, C.T. p. 9. 

  2. Cho, K. D., C. H. Hong, K. H. Lee, J. H. Yoon, S. K. Yang, Y. K. Choi, D. S. Kim, K. W. Cho, H. D. Kim, and S. W. Kim(2005), Descriptive Physical Oceanograph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Press, pp. 119-121. 

  3. Choi, H. S., J. I. Myoung, M. A. Park, and M. Y. Choi(2009), A Study on the summer mortality of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in Korea, J. Fish Pathol., 22(2), pp. 155-162. 

  4. Choi, Y. H., Y. J. Ro, and H. K. Jun(2002), Variability of Seawater Temperature in the Coastal Water off the Dangjin Power Plant, Asan Bay, Korea, J. Korean Soc. Oceanography, 7(2), pp. 43-50. 

  5. Choo, H. S., G. H. Lee, and Y. H. Yoon(1997), Variation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in Kugum Suro Channel, J. Korean Fish. Soc., 30(2), pp, 252-263. 

  6. Emery, W. J. and R. E. Thomson(1998), Data Analysis Methods in Physical Oceanography, Pergamon Press, pp. 468-487. 

  7. Hue, H. K., D. H. Kim, S. H. Ahn, and G. W. Park(2000), Characteristics of the Sedimentary Environment in Yoja Bay in the Summer of 1998, Korean J. Environ. Biol. 18(2), pp 227-235. 

  8. Ichiye, T.(1984), Ocean hydrodynamics of the Japan and East China Seas, Elsevier Oceanography Series, Amsterdam, Netherlands, 39, p. 423. 

  9. Kim, C. H. and K. Kim(1983), Characteristics and origin of the cold water mass along the east coast of Korea, J. Oceanol. Soc. Korea, 18, pp. 73-83. 

  10. Kim, C. W., E. O Kim, H. D. Jeong, C. G. Jung, M. W. Park, and S. G. Son(2009), Variation of Body Composition and Survival Rate According to Spawning of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in Gamak Bay, Kor. J. Fish Aquat. Sci., 42(5), pp. 481-486. 

  11. Kim, S. J., S. H. Woo, B. M. Kim, and S. D. Hur(2011), Trends in Sea Surface Temperature (SST) Change Near the Korean Peninsula for the Past 130 Years, Ocean and Polar Research, Vol. 33(3), pp. 281-290. 

  12. Lee, C. I., J. H. Lee, and D. S. Kim(2007), Effects of Meteorological Factors on Water Temperature, Salinity in the West Sea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13(1), pp. 29-37. 

  13. Lee, J. C., H. S. Choo, K. H. Lee, and K. D. Cho(1995), Tides and Currents of Kamag Bay in July-August 1994, J. Korean Fish. Soc. 28(5), pp. 624-634. 

  14. Lee, Y. S.(2002), An Influence of Inflowing Freshwater on the Diatom Blooms in the Eastern Coast of Dolsan, Yosu, Korea. J. of KSSE Vol. 24. No. 3. pp. 477-488. 

  15. Miita, T. and Y. Ogawa(1984), Tsushima currents measured with current meters and drifters, Elsevier Oceanography Series, Vol. 39, pp. 67-76. 

  16. Min, H. S. and C. H. Kim(2006), Interannual Variability and Long-term Trend of Coastal Sea Surface Temperature in Korea, Ocean and Polar Research, Vol. 28(4), pp. 415-423. 

  17. MLTMA(2009),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A Study of Total Amount Management of Coastal Pollution in Masan Bay, pp. 1-977. 

  18. Na, G. H., C. S. Lee, and W. J. Choi(1991), The Effect of Dissolved Oxygen on the Estival Mass Mortality of sea quirt, Halocynthia roretzi(Drasche), Bull. Korean Fish, Soc. 42(1), pp. 52-58. 

  19. Oh, S. Y., S. W. Jang, and H. J. Yoon(2011), Variations of catch of Anchovy and Saury due to oceanic climate change in the Korean seas, J.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15(3), pp. 740-746. 

  20. Oh, S. Y., S. W. Jang, D. H. Kim, and H. J. Yoon(2012),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SL/SST in the Korean Peninsula by Remote Sensing, Jour. Fish. Mar. Sci. Edu., 24(2), pp. 333-345. 

  21. Seong, K. T., J. D. Hwang, I. S. Han, W. J. Go, Y. S. Suh, and J. Y. Lee(2010), Characteristic for Long-term Trends of Temperature in the Korean Waters, J.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16(4), pp. 353-360. 

  22. Suh, Y. S., L. H. Jang, and J. D. Hwang(2003), Anomalous Variation of the Oceanic Features around Korean Waters Related to the Global Change, J.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2(3), pp. 257-263. 

  23. Vinay, K. I. and G. P. John(1999), Digital signal processing using MATLAB, Thomson-Engineering, pp. 139-190. 

  24. Zhang, C. I., J. B. Lee, S. Kim, and J. H. Oh(2000), Climatic regime shifts and their impacts on marine ecosystem and fisheries resources in Korean waters, Progress in Oceanography, 47, pp. 171-1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