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15 농림어업총조사 지역조사 자료를 이용한 농업공동체 현황과 지역별 입지계수(Location Quotient: LQ) 분석
Analysis of the Status of Agricultural Communities and Location Quotient (LQ) using Regional Survey Data in 2015 Census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원문보기

농촌계획 : 韓國農村計劃學會誌, v.26 no.2, 2020년, pp.83 - 93  

이지민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ural areas have been faced with various problems such as aging and population decline, and in these circumstances, the activation of local communities is suggested as a solution. Agricultural producer organizations are a powerful means of maintaining rural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각 지역은 농업생산 특성과 자연환경이 서로 다르며, 이미 구성된 농업공동체 조직의 현황을 파악함은 앞으로 농촌지역공동체를 활성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지역 발전을 도모함에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업총 조사 지역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농업생산자 조직 현황과 도농교류현황을 비교하여 지역별 특화된 농업공동체 활동을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공동체활동 조직별 특화된 지역과 다양한 공동체활동이 활성화된 지역을 파악하고자 입지계 수를 사용하였다. 입지계수(Location Quotient: LQ)는 특정 산업 또는 산업군의 상대적인 지역 집중도를 측정하는 대표적인 방법이다.
  • 본 연구에서는 농업총조사 지역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지역별 농업생산자조직 현황과 도농교류 현황을 비교하여 농업공동체 활동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농업총조사 지역조사 자료의 행정구역코드를 이용하여 시군구 지역별 공동체조직 참여비율을 비교하고 지역별 공동체조직 입지계수를 산정하여 농업공동체 조직별 특화된 지역을 파악하였다.
  • , 2019).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값을 기준으로 각 지역별 경제활동조직 및 도농교류활동 입지계수 값을 도시화하였으며, 다양한 조직 및 활동에서 큰입지계수 값을 가지는 지역을 살펴보았다.
  • (2016)은 2000년 이후 10년간 농가의 농업경영 전략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요인과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 논문은 농업생산조직에 참여하는 농가 비중, 농산물 가공 및 농촌관광 등에 참여 농가 비중이 크게 늘어났음을 지적하였으며 작목반과 농업법인 참여가 농산물 판매액 확대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고 제시하였다.
  • 현재 농촌이 직면한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공동체 역할이 강조되고 있어, 본 연구는 지역공동체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농업총조사 조사자료의 한계로 공동체의 규모를 고려하지 못하고 공동체 참여 마을 수로만 분석한 한계를 가지지만,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지역별 생산 주요 작물, 지형 등에 의해 서로 다른 공동체 조직과 활동이 이뤄짐을 알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적 자본이란 무엇인가? 지식기반사회의 도래, 세계화라는 시대적 트랜드 속에 사회적 자본의 중요성이 크게 주목받고 있다. 사회적 자본은 사회구성원의 공동이익을 위해 협력가의 참여를 창출하는 무형자산을 의미하며 사회적 자본의 구체적인 축적경로이자 구현체는 ‘공동체 혹은 집단’이다 (Korea Economic Research Institute, 2007). 사회적 자본 뿐만 아니라 사회적 가치에 기반하여 공동의 이익을 목적으로 생산 소비 분배가 이뤄지는 경제시스템인 사 회적 경제의 중요성도 최근 부각되고 있다.
인구과소지역 문제를 해결하기위한 대안으로 강조되는 것은? 농촌 지역의 경우 인구감소시대에 접어들면서 저출산・고령화로 인하여 빈집이 증가하며 동시에 사람 공동화, 토지 공동화, 주택 공동화가 나타나 공동체 공동화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인구과소지역 문제를 해결하기위한 대안으로 다양한 형태의 지역공동체와 스마트 전문화(smart specialization) 전략 등 지역공동체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17).
농업을 담당하는 농업경영체로는 무엇이 있는가? 농촌 이라는 공간에서 농업의 비중은 과거보다 많이 줄어들었 으나 여전히 중요한 요소이다. 농업을 담당하는 농업경 영체는 가족 경영체와 생산자조직으로 나누어지며(Kim, 2008), 가족농의 약화와 가족 내의 후계자 단절로 농업 경영소멸의 대안으로 농업생산자조직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Park et al.,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Hwang, Young Mo, 2008, Opening the agricultural products market, responding to and responding to regional agriculture, Jeollabuk-do. 

  2. Hwang, Young Mo, 2010, Current status of regional agricultural organization and its implications-An example of agricultural producer organization in Jeonbuk area, 2010 Agricultural Rural Road Presentation. 

  3. Hwang Young Mo, 2011, Book Review: Focusing on the basic units of agriculture, rural maintenance, and agricultural producer organizations, The Journal of Rural Society 21(1), 205-212. 

  4. Hwang, Young Mo, Shin Dong Hun, Bae Gyun Gi, 2016, Analysis on Relationship between Strategy and Agricultural Products Sales Performance of Agricultural Management of Farm Households : Based on Data Analysis of Agricultural Area Survey, The Journal of Rural Society 26(2), 87-121. 

  5. Jeon, dae-uk, Park, seong-gue, Choi, Insu, 2012, A study of Strategic Approaches for Community-Driven Development in Korea,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Local Administration. 

  6. Jeong, Young-il, 2016, Alternative for restoration of rural community in modern society, Daesan rural culture webzine (http://webzine.dsa.or.kr/?p4201). 

  7. Kim, Dong-shin, Cho, Deok-ho, Yeo, Chang-hwan, 2016,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of farmers in agricultural corporation on agricultural income.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 Administration Studies 30(4), 161-185. 

  8. Kim, Jungho, 2008, Agricultural corporation is the way of Korean agriculture, Moggeuntong. 

  9. Kim, Solhee, Suh, Kyo, Kim, Yooan, Kim, Chanwoo, Jung, Chanhoon, 2019, Quantitative Evaluation on Geographical Indication of Agricultural Specialty Products using Location Quotient (LQ) Index,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61(2), 75-83. 

  10. Ko, Soonchul, 2011, Region-specific Relevancy of the Majors Offered in the Agricultural Meister College in Terms of Location Quotients,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43(2), 29-55. 

  11. Koo, Jeong-Hyun, 2013, A Study on the Population and Employment Decentralization and the Urban Spatial Structure of Incheon,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25(5), 171-185. 

  12. Korea Economic Research Institute, 2007, Korean economy, social and social capital. 

  13. Lee, Byoungkil, 2013, Assessing the Maturity of Central Place Using Focal Location Quoti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31(3), 221-228. 

  14.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17, Understanding and activation of local communities. 

  15. O'Donoghue, D., & Gleave, B., 2004, A note on methods for measuring industrial agglomeration. Regional studies, 38(4), 419-427. 

  16. Park, Moon-ho, Kim, Tae-gon, Chae, Gwang-seok, 2009, Strategies for establishing and developing rural farming organizations,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17. Statistics Korea, Agriculture Research (2015), Statistics Korea MDIS, download. (Received 2020.1.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