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관 영양으로 유발된 소음인 설사에 관한 한방 처치 1례
A Case Report about Diarrhea of Soeumin Caused by Tube Feeding Treated with Korean Medicinal Treatment 원문보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v.41 no.2, 2020년, pp.150 - 158  

하정빈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이수정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유재환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eumin-Seonghyangjeongki-san on diarrhea with tube feeding causing mental deterioration induced by subdural hemorrhage (SDH) in an 83-year-old male patient. Methods: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Soeumin-Seonghyangjeongki-san. His symptoms 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임상례는 치료의 평가에 있어 주관적 평가 지표를 활용하였으며 이후 환자의 전원에 의해 지속 치료 및 추적 관찰이 불가하여 일정 부분 한계점이 있다. 그러나 배변 장애를 일반적인 범주가 아닌 체질의 관점에서 환자의 소증과 병증을 토대로 진단부터 치료 과정을 설계하고 시행했다는 점과 그 결과 환자에게 나타나던 배변 증상이 개선
    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어 보고하는 바이다
    .
  • 각 체질마다 약해지기 쉬운 기능을 ‘偏小之臟의 保命之主’라 표현하여 이를 치료의 주된 대상으로 삼았다. 이로써 각 개인의 상태를 감별하고 체질에 맞는 처방을 사용하여 그 효과를 높이고자 하였다. 사상의학에서 대변은 평소 사람이 지닌 생리적 또는 병리적 증상, 즉, 소증(素證)으로, 체질과 체질 병증(病證)을 진단하는 기준 및 병증을 관리하는 중요한 지표가 된다.
  • 이에 본 치험례에서는 환자의 체형기상, 용모사기, 성질재간 및 소증과 병증을 근거로 하여 장기적인 경관 영양으로 유발된 설사, 즉 배변 장애에 한의학적인 시도를 해보았다. 주소증을 근거로 하여 의식 저하를 고려한 곽향정기산(藿香正氣散)의 가미방인성향정기산(星香正氣散)을 처방하였고 이에 유의미한 결과를 얻게 되어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2) 용모사기 : 인상이 유순하며 차분해 보인다. 얼굴이 갸름한 역계란형으로 이목구비 중 눈이 두드러진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설사란? 설사는 배변 횟수, 대변의 수분량 또는 대변의 양이 증가하는 것으로 대장 점막이 정상 수준의 흡수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거나, 대장으로의 액체 유입 속도가 대장의 최대 재흡수 용량을 넘어설 때 초래된다. 2-3주 이상 지속되는 설사를 만성 설
설사는 언제 초래되나? 설사는 배변 횟수, 대변의 수분량 또는 대변의 양이 증가하는 것으로 대장 점막이 정상 수준의 흡수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거나, 대장으로의 액체 유입 속도가 대장의 최대 재흡수 용량을 넘어설 때 초래된다. 2-3주 이상 지속되는 설사를 만성 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Kim NH, Kim MK, Shim SR, Kim HM, Lee IH, Shin AS, et al. A Case Report of Chronic Vomiting and Diarrhea of Post-acute Cerebral Infarction Patient.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2010;spr:234-40. 

  2. Ko ES, Kim JH, Kang BC, Sung KH, Jung SM, Kim JT, et al. Clinical Report of Diarrhea Treated with Oriental Medical Treatment in Stroke Patients.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2003;fall(1):198-206. 

  3. Heo J. New translation of Donguibogam. Seoul: Bubin Books; 2007, p. 515-8. 

  4. Department of oriental spleen system internal medicine in Korea. Spleen system internal medicine. Seoul: Green Books; 1991, p. 108-15. 

  5. Lee SK, Song IB. The Study about The Discourse on the Constitutional Symptoms and Diseases of Sasangin on the Dongyi Suse Bowon.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1999;11(2):1-26. 

  6. Choi SM, Hong JM, Chi SE, Jung BY, Ahn KS. A Study on the Association between Sasang Constitutions(QSCCII) and Huh's Morphological Diagramming. Korean Journal of Oriental Medicine 2002;8(1):75-92. 

  7. Jung WG, Kim JW. The Bibliographical Investigation of Sasang Constitution Diagnosis.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1999;11(2):95-117. 

  8. Jung SA, Kim SH, Yoo JS, Lee SG. Study about the Psychological Factors of Sasang Constitution Classified by QSCC II.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12;23(1):83-92. 

  9. Park SI, Kang DH, Seo HS, Kim JW. A Case Study of a Serious Antibiotics-associated diarrhea Patient Treated with Modified Hyangsayukgunja-tang. Herbal Formula Science 2014;22(2):121-31. 

  10. Yang JH, Park SG, Kim DW, Moon G, Lee JY. A Clinical Review of Bowel Disorders following Colorectal Cancer Surgery.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2001;22(1):113-8. 

  11. Kim SW, Jang WS. Case Report about Korean and Western Medicine Treatments of a Stroke Patient with Chronic Diarrhea and Clostridium Difficile Associated Diarrhea. J Physiol & Pathol Korean Med 2015;29(6):517-22. 

  12. Benya R, Layden TJ, Mobarhan S. Diarrhea Associated with Tube Feeding the Importance of Using Objective Criteria. Journal Clinical Gastroenterol 1991;13(2):167-72. 

  13. Park MS, Kim JH, Kwak CY. A Study on the Incidence of Diarrhea According to the Density of Nutrients Formulations in Nasogastric Tube-feeding Patient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08;10(2):105-12. 

  14. Kim HJ. Nutritional Intake and Timing of Initial Enteral Nutrition in Intensive Care Patients: A Pilot Stud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3;25(4):444-53. 

  15. Kim YM. Enteral Nutrient Feeding Pump.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Parenteral and Enteral Nutrition 2010;3(1):23-6. 

  16. Edes TE, Walk BE, Austin JL. Diarrhea in Tube-fed Patient, Feeding Formular not Necessarily the Case. The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1990;88(2):91-3. 

  17. Keohane PP, Attrill H, Love M, Frost P, Silk DB. Relation Between Osmolality of Diet and Gastrointestinal Side Effects in Enteral Nutrition. Journal of Brain Medical 1984;288(6418):678-80. 

  18. Lee SH, Yun SP, Kim JJ, Chung HC, Kim YS, Bae HS, et al. Two Cases of The Antibiotics associated Diarrhea Treated with Yijoong-tang (Lizhong-tang) in Stroke Patients. J Int Korean Med 2002;23(3):534-40. 

  19. Guenter PA, Settle RG, Perlmutter S, Marino PL, Desimone GA, Rolandelli RH. Tube Feeding-related Diarrhea in Acutely Ill Patients. Journal Parenter Enteral Nutrition 1991;15(3):277-80. 

  20. Choi JY, Park SS. A Clinical Study of Stool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2002;14(2):58-68. 

  21. Park HJ, Lee YS, Park SS. A Comparativ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Sweat, Stool, Urine, Digestion) of Soyang.Soeumin and Taeyang.Taeumin in Sasang Constitution.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2006;18(1):107-17. 

  22. Lee JH, Lee EJ.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Soeumin Disease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Diagnosis and Algorithm. J Sasang Constitut Med 2014;26(1):11-26. 

  23. Hwang MW, Park HS, Lee EJ.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Soeumin Disease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Greater Yin Symptomatology. J Sasang Constitut Med 2014;26(1):45-54. 

  24. 이제마. 동의수세보원. Seoul: 여강출판사; 2002, p. 94-116. 

  25. 전국 한의과대학 사상의학교실. 개정증보 사상의학. Seoul: 집문당; 2014, p. 560-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